SUSTAINABLE FUTURE
극단적인 환경 변화가 우리 삶에 위협이 되기 시작하면서 많은 이들이 ‘지속 가능성’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먹거리뿐 아니라 예술, 패션, 주거 등 전방위로 확대되고 있는 지금의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살펴봤다.
제로 웨이스트 라이프
지속 가능한 소비를 통해 건강한 지구 환경을 만들어나가는 데 힘 쓰는 더 피커의 송경호 대표에게 건강한 소비란 무엇인지 물어봤다.
더 피커는 제로 웨이스트 라이프스타일 컨셉트의 플랫폼이다.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6년에 시작했다. 그 당시 다양한 분야에서 쓰레기 처리 과정을 두고 노력하는 분들이 있긴 했지만, 왜 이렇게 끊임없이 문제가 심화되는지 앞뒤가 안 맞는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 속에 무언가 빠진 고리가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쓰레기가 나오게 되면 그것을 처리하는 방식도 중요하지만, 애초에 양적인 부분을 줄이는 제로 웨이스트, 프리사이클링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더 피커를 열게 되었다.더 피커는 어떤 곳인가?
크게는 식재료와 생활용품으로 나뉜다. 식재료는 농장 직거래를 통해 쌀류, 곡류, 콩류 등으로 상시 운영되고 있다. 이 또한 생산 과정에서 쓰레기를 줄이는 것에 초점을 두어 비닐하우스와 무농약을 지양하고 농기계를 적게 쓰는 등의 기준이 있기 때문에 대형 농장보다는 다품종 소량 생산하는 분들과 거래하고 있다. 리빙 제품은 부엌, 욕실 등 전반적인 생활용품으로 나뉜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제품 가운데 플라스틱이나 일회용품을 줄일 수 있고, 또 우리가 세운 기준으로 생산, 유통되고 사용하고 나서 폐기되는 과정에서도 쓰레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 위주로 선정했다.더 피커의 컨셉트인 제로 웨이스트와 프리사이클링이란 정확히 무슨 뜻인가?
프리사이클링과 비슷한 단어로는 업사이클링과 리사이클링이 있다. 두 가지 모두 이미 나온 쓰레기를 다시 제품화하거나 재사용하는 기능이라면, 프리사이클링은 순환되는 쓰레기 자체가 원천적으로 생기지 않게 하는 행동 양식을 말한다. 제로 웨이스트도 재활용을 할 만한 쓰레기조차 만들지 않는 생활양식을 뜻하기 때문에 같은 결을 지니고 있는 비슷한 의미로 보면 될 것 같다.이곳은 쇼핑 방법도 색다르다. 직접 용기를 가져와야만 구입할 수 있나?
맞다. 장바구니와 주머니 등을 직접 챙겨와 필요한 만큼 담아서 구입하는 방식이다. 용기를 챙겨오지 않았을 경우 사용할 수 있도록 깨끗하게 세척된 재활용 용기가 구비되어 있다.일상에서 환경을 살리기 위해 쉽게 실천할 수 있는 팁을 공유해달라.
사람마다 직업도, 활동 시간대도 다르기 때문에 일단 어떤 제품을 써서 쓰레기를 줄여라 하는 것보다는 먼저 자신이 어떤 쓰레기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지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 내 경우는 욕실에서는 고체 비누와 대나무 칫솔을, 주방에서는 세제를 만들어 쓴다. 공산품을 사용하더라도 재활용할 수 있는 소재인지부터 봐야 한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건 이를 실천해보고, 그 노력의 끈을 놓지 않는 것이다.최근 들어 눈에 띄는 친환경 아이디어나 제품이 있다면?
사실 많은 이들이 플라스틱이나 비닐이 썩게 된다면 세상이 바뀔 거라고 생각하는데, 그보다는 먼저 소비 문화가 회복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떤 제품을 써서 세상을 바꾼다기보다는 조금 더 오래 쓰고 고쳐 쓰는 등 물건에 대한 애착과 소통이 필요하다. 기술이 발전해 상용화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할 텐데, 사실 쓰레기 문제는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어 기술의 발전만 기다리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요즘은 야외 행사 시 다회용 컵을 대여해주는 서비스 등 일회용품을 줄일 수 있는 아이디어를 심화해 창업하는 분이 늘고 있는 듯하다.숍 외에도 외부 행사나 이벤트를 진행하는가?
작년부터는 기업과 협업하거나 정부의 환경 관련 부처와 함께 정책 관련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자급자족을 키워드로 기술적인 반전보다는 옛날에 쓰레기가 없을 때는 어떻게 살았지 하는 생각으로 돌아가 세제와 화장품, 다회용 랩 등을 만들어보는 클래스를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