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술의 공간 속으로

마술의 공간 속으로

마술의 공간 속으로
어둡고 침체된 시기를 겪고 있는 요즘, 희망과 자발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아트 트렌드는 우리를 단숨에 마술적인 감상에 빠지게한다.
 
거대한 동물 오브제와 동화적인 분위기로 꾸며진 루이비통의 우르스 피셔 전시.
 
거대한 식빵과 아보카도, 바나나 위에 누워 잠든 고양이로 장식된 우르스 피셔의 새로운 작품은 루이 비통 메종 4층을 마술적인 공간으로 바꿔버렸다. 코로나19로 우울하고 침체된 분위기를 바꿔줄 매직 스페이스다. 벽과 바닥, 천장 전체를 명화로 바꿔버리는 미디어아트 전시회는 또 어떤가? 유명한 반 고흐의 작품으로 여행하는 느낌이다. 우리의 현실을 마술처럼 바꿔주는 신기술 AR도 속속 핸드폰에 탑재되는 중이다. 이런 예술의 흐름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1980년대 이후 현재까지 점점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는 스트리트 아트가 있다. 지난 여름 서울 강남의 거리를 시원한 파도로 장식한 디스트릭트 d’strict의 공공미술도 그중 하나다. 장 미셸 바스키아, 키스 해링 등 이제는 고인이 된 전설적인 인물들과 함께 활동을 시작했고, 긴 시간 동안 잊혀지거나 사라지지 않고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케니 샤프의 행보는 그래서 더욱 인상적이다. 뉴욕 현대미술관, LA 라크마 미술관, SF 현대미술관 등 세계 주요 미술관을 돌며 전시중인 ‘코스믹캐번 Cosmic Cavern’은 무려 198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뉴욕 타임스퀘어의 아파트에서 키스 해링과 함께 살며 집 안의 옷장에 설치했던 코스믹 클로젯 Cosmic Closet이 출발점이다. 팝 아트와 스트리트 아트에 경도된 두 젊은 작가는 텔레비전, 붐박스 등 신기술에 밀려 금세 쓰레기가 되어버린 폐기물에 형광 페인트를 칠해 예술로 되살려냈다.
 
Kenny Scharf, Beyond the street 전시장면, 2019.
  무려 40년 전의 작품이 여전히 소환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애초부터 미술관의 소수 엘리트를 위한 작품이 아니라 누구나를 위한 소통의 예술이었기 때문은 아닐까? “자발적인 에너지가 보는 이들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보는 것도 신나는 것 같다. 때때로 나는 그것을 마술이라 부른다. 왜냐하면 외부의 어떤 요소가 내게 흘러 들어와 발현된 것이기 때문이다”라는 그의 설명은 왜 그의 작품이 마술적 공간을 제안하려는 최근의 아트 트렌드와 맞아 떨어지는지 설명한다. 이러한 작품은 필시 관객이 있어야만 완성되는 것이다.  
Kenny Scharf, cosmic cavern, MoMA 전시장면, 2018.
  지난 2019년 스페인 이비자 섬의 신비로운 미술 전시장과 나브 살리나 La Nave Salinas의 전시가 대표적이다. 멀리 바다가 보이는 독특한 이곳에서 처음으로 전시한 예술가는 바로 카우스 Kaws. 그 뒤로 키스 해링, 빌 비올라, 케니 샤프에 이르기까지 마술적 공간을 제시하는 예술가들이 초대받았다. 수백 점의 동그란 얼굴은 작가의 내면에 존재하는 여러 성격을 나타낸다. 마치 영화 <인사이드 아웃>에서처럼 우리 속에 존재하는 기쁨이와 투덜이, 까칠이, 슬픔이, 버럭이이다. 괴기한 얼굴은 멀티페르소나 시대에 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프로필이자 공격적인 에너지를 방출시킨다. 이 프로젝트는 세계적인 미술 기획자 제프리 다이치의 눈에 들어 LA 다이치 프로젝트를 통해 더 넓은 세계로 알려졌고, 마이애미 아트바젤 프로젝트에서도 크게 호평을 받았다. 전염병이 세계를 덮친 지난해, 케니 샤프는 예술가로서 자신이 해야할 일은 반성하고 경고하고 희망을 제공하는 것 뿐이라고 말한다. 사실 그건 오랫동안 예술이 해온 일이다. 희망과 색다른 제안이 더없이 필요한 지금, 그래서 미술은 이렇게 흘러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앞서 소개한 작가들 외에도 젊은 작가군이라 할 수 있는 니콜라스 파티, 오스틴 리를 비롯해 앞선 세대에서는 조지 콘도와 조나스우드 등이 우리를 마술의 공간으로 인도하며 시대의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Kenny Scharf, La Nave Salinas 전시장면, 2019.
   
카우스의 컴패니언 오브제.
CREDIT
에디터

라이터 김영애(이안아트컨설팅대표)
TAGS
어른들의 문방구 ③

어른들의 문방구 ③

어른들의 문방구 ③
업무와 생활 공간의 경계가 점점 허물어지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아무런 개성 없이 기능에만 충실했던 사무실에 테마가 있는 문구를 가미해 감각적인 홈 오피스로 변신해보는 건 어떨까.

 

GRAPHIC

밋밋한 사무 공간에 경쾌하고 세련된 인상을 더하고 싶다면 그래픽 패턴을 추천한다.  
입체감이 돋보이는 반복되는 아치 무늬의 패턴 벽지는 LG지인 베스띠 제품으로 LG하우시스에서 판매.
 
기하학 패턴의 유쾌한 목각 인형은 알렉산더 지라드가 디자인한 제품으로 비트라에서 판매.
 
자석으로 쉽게 닫히는 스트라이프 패턴 정리함은 루밍에서 판매.
 
전통 한지에 현대적인 그래픽디자인을 담은 알록달록한 부채는 TWL에서 판매.
 
독특한 문양으로 구성된 페이퍼 북은 매트한 질감의 패턴 북에 친환경 콩기름으로 인쇄되어 테이블 매트 또는 어린이를 위한 아트 재료로 사용하기 좋다. 키티버니포니에서 판매.
 
모던한 그래픽 무늬를 입힌 펜슬 파우치는 도톰한 두께의 안감으로 필기구를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키티버니포니에서 판매.
 
다양한 패턴의 헤이 연필은 이노메싸에서 판매.
 
투알 드 주이 Toile de Jouy를 모티프로 한 패턴과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장식한 파일 박스는 완전히 열거나 닫을 수 있어 내용물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디올에서 판매.
 
여러 디자이너들과의 협업으로 다양한 패턴과 컬러를 생산하는 MT 마스킹테이프는 루밍에서 판매.
CREDIT
에디터

TAGS
버려진 것의 힘

버려진 것의 힘

버려진 것의 힘
디르크 판더르 코이는 그가 개발한 3D 프린팅 기술과 로봇 팔을 결합해 만든 특별한 가구를 선보인다. 그는 디자이너와 발명가, 그 사이 어딘가에 머물러 있는 듯하다.
 
처비체어.
 
네덜란드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가구 디자이너 디르크 판더르 코이 Dirk Vander Kooij의 시작은 에인트호벤 아카데미에서부터 시작된다. 졸업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던 그는 버려진 플라스틱을 새로운 방식으로 접목해 가구를 제작할 수 없을까 하는 열망에 사로잡혔다. 그런 그의 눈에 자동차 공장 등에서 작은 부품을 대량생산하는 작업에 사용되다 버려진 로봇 매니퓰레이터가 눈에 들어왔다. 그는 로봇 팔이라고도 불리는 이 기계를 개조해 가구를 만들어볼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했다. 결국 저해상도 3D 프린팅에 사용되는 기술과 로봇 팔을 결합하는 시도를 꾀했다. 버려진 플라스틱을 가루로 만든 다음, 이를 로봇 팔과 이어진 노즐로 압출시킨 후 실처럼 뽑아내며 층층이 쌓아 형태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말이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가구 제작 방식처럼 정형화된 일련의 과정을 요하지 않기에 제작에 있어 형태와 크기에 구애받지 않을 뿐 아니라, 시간까지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그의 가구는 디자인 업계의 열렬한 주목을 받게 되며, 이 기술은 그의 시그니처처럼 자리했다. 특히 냉장고에 사용되는 특수 플라스틱으로 제작한 엔들리스 플로 로킹 체어 Endless Flow Rocking Chair로 그는 2011년 네덜란드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후 이 작품은 뉴욕 현대미술관 등 많은 박물관의 한 켠을 차지하게 됐다. 이외에도 마치 치약을 층층이 짜놓은 듯한 형상의 처비 체어 Chubby Chair 등의 작품이 런던의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 컬렉션에 선정되고, 화병이나 테이블, 조명 등 분야를 넓혀가고 있는 그는 네덜란드를 넘어 세계적인 인지도를 지닌 디자이너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멘히어 벤치.
 
네덜란드 디자이너 디르크 판더르 코이.
 
멜팅팟 테이블 콜라주.
 
H형 선플라워 스탠드 조명.
 
스노맨 스피커.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