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의 실현

전하고픈 이야기를 실현하는 것이 디자인이라 정의한 마르텐 바스

전하고픈 이야기를 실현하는 것이 디자인이라 정의한 마르텐 바스
마르텐 바스는 전하고픈 이야기를 실현하는 것이 디자인이라 정의한다. 매번 새로운 소재와 기법, 혁신과 위트를 가미하며 오늘보다 더 새로운 작업에 골몰하는 그는 타고난 스토리텔러다.
2014년 라노에서 개최한 개인전의 풍경.
 
마르텐 바스.
마르텐 바스 MaartenBaas를 설명하라 묻는다면 열에 아홉은 ‘실험적’이라는 말로 그를 묘사할 것이다. 나아가 과감히 가구를 불에 태워버리는 그의 모습을 ‘기행’이라는 단어로 표현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디자인과 예술에서만큼은 정석적인 것이 진부함이 되는 만큼, 그의 행보에 대한 세간의 관심은 시작부터가 남달랐다. 에인트호벤 아카데미 출신의 그는 디자이너로서의 첫 발돋움이 되어줄 졸업 전시회에서 ‘스모크 Smoke’라 명명한 의자를 선보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의자 표면에 불을 붙여 태운 다음 이를 에폭시 레진으로 코팅한 것이다. 색은 물론이고 실루엣까지 온통 규칙적이지 못한 것투성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본래 의자던 것이 의자가 아닌 것은 아니다. 미학적인 것에 쫓겨 의자라는 가구의 본질을 잊지 말 것을 표현한 셈이다. 해당 작품은 그 다음 해 모오이의 새로운 컬렉션으로 론칭되며, 마르텐 바스는 그해 가장 주목받는 디자이너로 거듭났다. 그러나 일찍 세간의 관심을 받게 된 탓일까. 그는 몇 년간 방황의 길에 들어섰다. 슬럼프에 빠진 마르텐 바스를 다시금 세계 무대로 등장시킨 것이 바로 그의 시그니처 컬렉션, 클레이 퍼니처다.  
리얼 타임 시리즈.
 
클레이 퍼니처 시리즈 중에는 조형이나 오브제가 포함되어 있다.
금속으로 뼈대를 잡고 점토를 계속 덧입히는 작업의 가구다. 8가지 색의 합성점토로만 제작됐는데, 정형화된 틀이 없을뿐더러 손으로 점토를 덧입히는 작업을 거치는지라, 모양과 크기가 제각기인 것이 특징이다. 그가 다시 작업에 임하게 된 것은 2005년 방황하던 시절 자신의 든든한 파트너 바스 덴 하르데 Bas den Herder의 덕이 컸다. 급작스럽게 얻은 유명세로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그저 자기 자신을 인정하며 하고픈 이야기와 디자인을 담은 작업을 지속하고자 한 그의 뜻에 동참한 이가 바로 하르데이기 때문. 그는 작은 규모의 작업실을 차린 다음, 대중적이고 대량생산을 위한 가구 디자인 대신, 도전적이고 실험적인 아이디어로 새로움을 좇는 데 일관한다. 여타 디자이너들과의 독립된 행보는 결국 2014년 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첫 개인 전시 <Baasisin Town>을 개최할 만큼 빛을 발했다. 물론 마음가짐에는 변화가 없었다. 여전히 작업실에서 동료들과 새로운 디자인에 골몰했을 뿐이다. 이후 그는 뉴욕 카펜터스 워크숍 갤러리와 함께한 카라 페이스 체어, 초침이나 시침 대신 시계추 뒤에 몸을 넣은 남자가 현재 시간을 그리는 모습을 담은 리얼 타임 시리즈 등 매번 상상이 거듭되다 비로소 실현된 독창적인 작업물을 선보이며 초심을 지켰다. 작년 8월 마르텐 바스는 그의 신작을 한국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그의 작품 스위퍼즈 클락을 전시하며 연을 맺었던 갤러리아 광교와 다시 한번 합을 맞춰 신작 컨페티 클락을 선보인 것이다. 그렇다면 마르텐 바스의 다음은 어떤 모습일까. 예상은 섣부른 것일 테지만, 다시 한번 세간을 놀라게 할 것이다. 자신이 원했고 세상도 반응하게 할 새로운 디자인을 들고서.
카라 페이스 체어.
1 클레이 퍼니처 체어. 2 스모크 시리즈로 제작된 의자.
CREDIT
에디터

TAGS
바닥에 깔린 아트 작품

유앤어스의 두 번째 아트 에디션 카펫 시리즈 협업 소식

유앤어스의 두 번째 아트 에디션 카펫 시리즈 협업 소식
아티스틱한 디자인은 물론 합리적인 가격으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은 유앤어스의 아트 에디션 카펫 시리즈가 두 번째 협업 소식을 알렸다.
오하이오 ‘Spring is Coming’
1S1T 김민범 ‘OGB’

아티스틱한 디자인은 물론 합리적인 가격으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은 유앤어스의 아트 에디션 카펫 시리즈가 두 번째 협업 소식을 알렸다. 또 어떤 아티스트의 작품을 카펫에 그려냈는지 눈을 반짝일 만한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즈잇 1S1T 크리에이티브 콜렉티브에 소속된 김민범 포토그래퍼와 일러스트레이터 오하이오 OHIO 그리고 정은주 인테리어 디자이너가 아티스트로 나섰다. 건축, 공학, 디자인, 사진, 파인아트의 경계를 뛰어넘으며 다양한 작업을 선보이는 이즈잇의 멤버 김민범 작가는 사진이라는 매체를 활용해 5가지 카펫을 디자인했다. 보고 있자면 마음이 잔잔해지는 바다를 주제로 변화하는 바다의 풍경을 담아냈고, 이미지 픽셀을 가공해 새로운 이미지를 도출한 추상적인 작업물로 아티스틱한 터치를 더했다. 이와 상반되는 사랑스러운 일러스트가 프린트된 오하이오의 작품에는 작은 이야기가 깃들어 있는 듯하다. 6개의 작품 모두 마치 하나의 일러스트 포스터를 보는 듯해 벽에 걸어 월 데코로 활용해도 좋겠다. 정은주 인테리어 디자이너는 공간에서 카펫의 역할에 집중해 리빙신에서 완성도를 끌어올릴 수 있는 카펫 6가지를 디자인했다. 각자의 능력과 재능을 십분 활용해 17가지의 다양한 디자인의 아트 카펫이 탄생했다. 지난 아트 에디션 카펫 시리즈와 달리 선택의 폭이 넓어졌지만 가격은 역시 착하다. 유앤어스 온라인숍에서 만날 수 있으니 원하는 스타일과 자신의 취향에 따라 즐겁게 고르기만 하면 되겠다. web youandus.co.kr

 
1S1T 김민범 ‘Moonlight’
 
정은주 ‘Hommage M. R’
CREDIT
에디터

TAGS
두 작가가 품은 작은 자연

자연을 품은 두 작가의 시너지가 빛을 발한 예술

자연을 품은 두 작가의 시너지가 빛을 발한 예술
반대되는 물성을 지닌 재료가 만나니 더없이 아름답다. 재료가 지닌 성질만큼이나 서로 다른 성향의 오수, 오선주 작가는 함께할 때 더욱 큰 시너지를 낸다.
생동감 있는 이끼와 식물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채도의 초록색 실.
 
오수, 오선주 작가의 모습.
실제 돌에 낀 이끼인 줄 알았는데, 살아 숨 쉬는 식물인 줄 알았는데 자세히 들여다보니 포슬포슬한 섬유의 질감이 느껴진다. 서로 모르던 사이였던 오수, 오선주 작가는 2019년 서촌도감에서 열린 기획전에서의 첫 만남을 계기로 현재까지도 함께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서촌도감이 처음 문을 열었을 때 이곳 기획자가 저희 두 사람을 섭외했어요. 거기서 처음 만났죠”라며 두 작가가 입을 열었다. 처음부터 듀오 작가로 시작한 게 아니라서 어떻게 협업해야 할지 고민이 컸다. 텍스타일을 기반으로 핸드 니팅 작업을 선보이는 오수 작가는 움직이거나 생명력이 느껴지는 것에서 영감을 얻어 작업한다. 정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자연물, 예를 들어 이끼나 식물 등이 자라나는 형태나 손과 얼굴처럼 신체의 제스처를 표현하고 이를 재현해내는 것에 관심을 갖는다. “자연물과 생명력에 흥미를 가져요. 섬유 구조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자연물을 관찰했을 때 보여지는 일정한 패턴과 닮아 있거든요. 나뭇잎의 패턴이나 나무의 결처럼 말이에요. 자연의 패턴이 섬유 구조에도 보여지는 유사성이 흥미롭게 다가왔죠. 게다가 재료의 무게가 가벼울 뿐 아니라 무한대로 커지거나 줄일 수 있어 매우 유동적이죠”라고 오수 작가가 설명했다. 반면 도예가 오선주는 오수 작가와 동일한 자연을 모티프로 작업하지만 분명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녀는 숲이나 하늘 등 정적이고 멈춰 있는 풍경을 선호한다. “흙이 가진 물성과 시각적, 촉각적인 것에 중점을 두고 작업하다 보니 이것이 더욱 잘 표현될 수 있는 방법이 무얼까 고민했어요. 때문에 유약은 최소한으로만 쓰고 흙의 색이나 질감을 더욱 강조할 수 있는 작업을 주로 해요.” 오선주 작가가 덧붙였다.  
실제 식물과 가짜 식물의 조화가 인상적이다.
오수 작가는 어두운 곳에서 서식하는 이끼나 독버섯 같은 기괴한 것에 관심을 갖고, 오선주 작가는 보다 고요하고 정적인 사물을 좋아한다. 그렇다. 이들은 같은 자연물인데도 보는 시각도 다르고 관점도 달랐던 것. 그래서 오히려 둘의 시너지가 빛을 발할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이렇게 다른 듯 비슷한 취향을 가진 두 작가는 각자 평소 해온 작업을 결합해 돌 위의 이끼가 얹어진 형태의 ‘영원한 초록’ 시리즈를 서촌도감을 통해 선보였다. 이후에도 3년간 꾸준히 소규모 전시를 준비했고 함께 논의하고 연구하는 시간을 거쳐 작업적으로 많은 발전을 이뤘다. “이번 식물관PH에서의 전시는 계절 감각을 넣어보면 어떨까 했어요. 돌과 화분에 색을 더하고 실제 식물이 화분에서 성장하는 것처럼 가짜 식물이 화분의 영역에서 벗어나 화분 밖으로 넘어서는 형태를 표현했어요.” 이들 둘은 특히 상반된 성격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고 한다. “제가 작업적으로도 그렇고 둥둥 떠 있는 것이 많아요. 제 자체도 선주 작가와 있으면 차분해지더라고요. 작업적으로 밸런스가 잘 맞지 않나 싶어요(웃음).” 오수 작가가 말했다. 실은 가볍고 흙은 묵직하다. 소재가 지닌 무게감의 차이만큼이나 다른 두 작가는 반대라서 더욱 조화로워 보였다. 앞으로 둘이 함께 보여줄 행보에 대한 물음에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줬다. “사실 손 안에 있는 아주 작은 자연물이 계속 이동한다는 아이디어에서 시작했어요. 그런데 조금 더 스케일을 키우거나 실제 풍경처럼 보이도록 만들어도 좋을 것 같아요. 여러 개의 유닛으로 쌓아 설치작업을 할 수도 있고, 꼭 함께 결합된 형태가 아니라도 같이 그 자리에 있는 것만으로도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확장 가능성은 생각하기 나름인 것 같아요. 또 맨 처음 만든 것부터 지금까지 약 80개의 작업물이 있는데, 모두 형태도 다르고 실의 장식이나 기법도 다르기 때문에 사진으로 남겨두었어요. 이게 100개쯤 모이면 아카이브 형식으로 출판해볼까도 생각 중이에요. 물론 2년에 한 번씩 둘이 함께하는 개인전도 열 예정이고요.”  

1,5,7 오수+오선주 ‘영원한 초록’. 2  오수+오선주 ‘자라나는 초록’. 3  오선주 ‘여름은 더 크게 울린다’. 4  오선주 ‘Bigger Water’.  6  오수 ‘습지’.  8  오선주 ‘깨진 잔에 이끼수리’.
 
오수+오선주 ‘두 번째 계절’.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이예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