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사 로이 Rosa Loy와 네오 라우흐 Neo Rauch의 한국 전시가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두 작가 모두 작품성과 스타성을 두루 갖추고 있어 미술 애호가 사이에서는 죽기 전에 꼭 한 번은 봐야할 전시로 손꼽히고 있기 때문. 특히 네오 라우흐는 세계 최고의 갤러리 데이비드 즈위너 David Zwirner의 전속 작가로 인기가 어찌나 높은지 아무리 돈이 많아도 작품을 소장하기 어렵다. 미술계에서도 특별한 VVIP만 소장할 수 있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로사 로이는 여성 미술가이기에 상대적으로 저평가받고 있지만 결코 남편에게 작품성이 뒤지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세계적인 스타가 되고 나서도 여전히 라이프치히에 거주하며 작품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이들은 독일 신라이프치히 화파를 대표하는 현대미술계의 거장이기도 하다. 신 라이프치히 화파는 구상 회화가 강했던 동독과 추상회화가 돋보이는 서독의 화풍이 더해졌다는 평가를 받는 독일 라히프치히 작가들의 작품 경향을 뜻한다. 전통 회화이지만 추상적으로 화면을 구성한 그림인 셈이다. 라히프치히는 우리나라에서는 잘 알려져있지 않지만 독일에서 여덟 번째로 큰 도시이며, 음악가 바그너, 바흐, 멘델스존, 말러가 활동했던 음악의 고장이다. 이제 이들 부부 덕분에 미술 도시로 새로운 명성을 더했다. 부부는 라이프치히에서 만났고 한번도 이곳을 떠난 적이 없을 만큼 그곳을 사랑한다. “이곳에는 신비한 에너지가 있습니다. 우리는 라이프치히에서만 그림을 그릴 수 있어요. 아침에 일어나 강과 마을을 보며 영감을 얻지요.” 두 사람은 종종 해외 출장을 떠나지만 결국 고향으로 돌아가게 된다고 설명한다. 두 사람이 함께하는 전시는 이번이 5번째이며, 둘이 함께 그린 작품 ‘경계’를 선보일 만큼 서로에 대한 애정이 깊다. 전시의 제목이 ‘경계에 핀 꽃 Flowers on the Border’인데, 아마도 두 사람이 함께 그린 작품의 제목에서 영향을 받은 듯하다.
“‘경계’는 마치 핑퐁게임을 하듯 서로 번갈아 그림을 그렸습니다. 한 사람이 그림을 그려서 이야기를 전하면 뒤이어 또 그림을 그려서 답했습니다. 누가 어떤 부분을 그렸는지는 굳이 말씀 드리지는 않을게요.” 두 사람은 완성본의 흥미로움에 놀랐고, 앞으로도 계속 공동 작품을 만들고 싶다고 했다. 전시가 열리는 스페이스K는 환상적인 작품으로 가득 차 있는데, 그림을 한 점씩 들여다 보면 두 작가의 차이를 감지할 수 있다. 로사 로이는 여성 인권에 관심이 많아 여성과 그녀의 자아를 중심으로 쌍둥이 같은 구상화를 그리며, 네오 라우흐는 꿈과 현실을 오가는 초현실적인 그림이 특징이다. 로사 로이는 동독 출신으로 남녀평등이 엄격하게 실현된 사회주의 체제에서 성장했다. 오히려 독일이 통일되자 남녀차별을 느끼게 된 그녀는 작품을 통해 여성인권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있는 것. “쌍둥이로 생각하는 분이 많은데, 자세히 보면 조금씩 다릅니다. 그림 속의 여성은 내 모습이자 친구이기도 하고, 나의 또 다른 자아이기도 하지요. 여러 쌍으로 인물을 그리기도 하는데, 이들이 서로 이야기를 할 수 있으니 혼자인 것보다 좋고 대화를 나누면 자신이 지금 어디에 있는지 더 잘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로사 로이는 일반 물감이 아니라 카제인을 사용한다는 것도 특징이다. 카제인은 우유 단백질 성분으로 만드는데, 이탈리아의 성당 벽화를 보고 반해서 수십년간 이를 사용하고 있다.
유화보다 더 빨리 마르고 냄새가 없는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일반 물감에 비해 그림을 그리는 방법이 까다로운데, 그녀는 이러한 제작 과정을 자신이 개발한 연금술이라고 낭만적으로 표현한다. 아크릴 물감과 달리 인위적이지 않고 신비로운 그녀의 그림을 직접 감상해보자. 네오 라우흐의 슬픈 어린 시절은 작품에 곧바로 투영되고 있는 듯하다. 라이프치히 미술대학에 재학 중이던 그의 부모는 네오가 생후4주때 기차 사고로 사망했다. 그는 부모의 뒤를 이어 라이프치히 미술대학에 입학했지만, 마음의 상처는 그림 속 고뇌에 빠진 남자의 모습으로 짐작할 수 있다. ‘밤의 수호자’에서 잠못 이루는 남자를 따뜻하게 위로하는 노부부의 모습이 아마도 자신과 부모인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국제적인 스타 작가가 되었지만 그에게도 어려운 시기는 있었다. “30년 전에는 추상과 같은 유행하는 미술 경향을 따르기 위해 노력하기도 했어요. 하지만 내가 갈 길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수평적 사고에서 벗어났지요. 1993년부터 대세를 신경 쓰지 않고 확고하게 나만의 화풍을 개척했습니다.” 네오 라우흐는 유화물감으로 그림을 그리며, 5m가 넘는 대작도 있을 정도로 박력이 넘친다. 거대한 그림에 숨어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구석구석 살펴보는 재미가 있다. 반면에 로사 로이는 큰 작품을 즐겨 그리는 편은 아니다. “회화는 끝났다(Painting is over)는 말이 있을 만큼 추상이 인기였던 때가 있었습니다. 우리가 생각만 하면 꿈을 구걸하는 사람이지만, 꿈을 꾸면 신이 될 수 있습니다. 사람들에게 그림으로 꿈을 전달하는 것이 제 의무입니다.” 네오는 그림은 프로파간다가 아니라 예술이라고 단언한다. 로사 역시 인간은 8만 년 전부터 그림을 그려온 만큼 그림은 마음과 눈, 뇌와 심장으로 읽을 수 있다고 예찬한다.
두 사람의 러브 스토리를 물어보지 않을 수 없다. 이들은 40년 전 커스튬 파티에서 만났다. 네오 라우흐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온통 녹색으로 치장한 로사 로이를 보고 한눈에 반했고, 곧장 여자친구와 헤어지고 그녀에게 사랑을 고백했다. 35년간의 결혼 생활중 25년간 스튜디오를 공유하며 주고받은 영감이 없을 수 없다. 그림을 그리다 어떻게 해야할 지 막막할때 두 사람은 서로 조언해주고, 무의식적으로 교감을 나눈다. 두 사람은 격변하는 현대미술계의 증인이다. 네오가 태어났을 때 베를린 장벽이 생겼고,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1990년에 그들의 아들이 태어났다. 하지만 두 사람은 이러한 격동의 시기를 기억하지 못할 만큼 조용히 작품 활동에만 매진해왔다. 마지막으로 그들에게 초보 미술 애호가의 자세에 대해 물었다. 로사는 판화처럼 가벼운 작품으로 컬렉션을 시작할 것을 권한다. 네오는 전문가의 이야기보다 마음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라고 조언했다. 자신이 작품에 매력을 느끼는 것이 컬렉션의 시작이니 귀가 아니라 눈으로 보라는 것이다. “당신의 직관을 믿으세요. 첫인상이 좋다면 그것은 분명히 좋은 작품입니다.” 두 거장의 마음속 내밀한 이야기를 담은 아름다운 그림은 스페이스k 서울에서 2022년 1월 26일까지 만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