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음식이라도 담는 그릇에 따라 음식의 맛이 좌우되기도 한다. 맛과 향은 물론이고 온도 유지와 입맛을 돋우는 시각적인 효과까지. 도자와 나무, 유리, 유기 등 그릇의 종류가 다양한데 구리가 지닌 성질과 질감에 매료되어 구리 판재를 사용해 작품을 만드는 김윤진 공예가의 작업실을 찾았다. 금속공예를 전공한 그녀는 학부 시절 금속을 활용한 테이블웨어를 만들어본 것이 발판이 되어 현재까지 금속 작품을 만들고 있다. “기계를 사용할 때도 있고 직접 손으로 망치질을 해서 모양을 내기도 해요. 어느 정도 형태가 갖춰지면 그 위에 안료를 넣은 법랑 유약을 바르고 800°C 이상의 가마에서 소성하죠. 사실 가마 안에서는 제가 통제하기 힘든 부분이 생기기도 해요. 어느 정도는 제가 무시하기도 하고 방향을 전환해 포용하기도 하죠. 마음의 여유가 필요한 양면성을 가진 재료예요.” 김윤진 작가가 설명했다. 우리에게 친숙한 도자 그릇에 비해 구리는 낯선 선택지일 수 있다. 하지만 구리가 지닌 고유의 성질을 잘 활용하기만 하면 그 쓰임과 아름다움은 배가 될 수 있다. 우선 구리 그릇은 쉽게 깨지지 않는다. 색감을 칠한 법랑 부분이 깨질 수는 있지만 완파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또 열전도율이 좋아 그릇을 따듯하게 데워 음식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차가운 음료를 담을 때에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볼 수 있다. 형태에 있어서도 뚜렷한 특징을 띤다.
얇게 늘어지는 구리의 특성으로 접시의 끝 부분을 샤프하게 마무리할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구부리면 유려한 곡선을 만들 수 있다는 것. 또한 까다로운 공정을 통해 직접 입에 닿거나 음식을 담아도 인체에 아무런 해가 없다. 하지만 피해갈 수 없는 단점도 뒤따른다. “아무래도 노출 된 금속 부분이 산화되어 색이 변할 수 있어요. 또 유기그릇처럼 항상 닦아주고 물기를 말끔히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죠.” 사실 구리는 원체 비싼재료이거니와 제작 과정에서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므로 값이 꽤 나간다. 이처럼 확실한 장단점을 가져서일까. 그녀의 작품을 구입하는 고객 역시 대부분 다양한 종류의 그릇을 경험해본 이들이라고. “구리 그릇은 매일 사용하는 데일리용이 아니기 때문에 애초부터 특별한 날에 쓰는 용도로 생각하고 만들었어요. 그럼 평소에는 어떻게 쓰이면 좋을까 생각했고, 하나보다는 세트 개념으로 쌓아두어 장식적인 용도로 오브제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도록요.” 그녀의 말처럼 작업실 장식장에 진열된 작품들이 음식을 담는 기능적인 용도를 넘어 공간을 채우는 작품 같은 효과를 낸다. 김윤진 공예가는 식기류를 비롯해 화병과 촛대, 거울, 조명의 갓 등 품목을 늘려가고 있으며 직사광선을 받아도 색이 변하지 않는 법랑과 구리의 장점을 살려 최근에는 소가구와 액자등의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재료가 지닌 한계를 뛰어넘어 그 속에서 가능성과 아름다움을 찾아내는 김윤진 공예가가 앞으로 만들어낼 작업이 기대된다.
SPECIAL GIFT
김윤진 작가에게 증정한 끌레드뽀 보떼의 더 세럼은 피부 본연의 힘을 일깨워 생기 있고 매끄러운 피부를 완성시킨다. 피부에 고르게 퍼지고 빠르게 흡수되어 24시간 보습 효과를 유지하고 피부의 길을 열어 다음 단계 제품의 흡수를 높여준다. 50ml, 30만원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