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이 빚은 흙

자연을 기록한 도자 예술 작품

자연을 기록한 도자 예술 작품
  예쁘고 반듯하게 잘 다듬어진 도자와는 거리가 멀다. 생각을 흙으로 전달하고 싶다는 박상준 작가는 조각과 공예의 범주를 넘나들며 시간과 계절, 기억을 작품에 담아낸다.  
그릇에 기억을 담아 쌓아올린 ‘Memory of Longview’.
  그릇이 아슬아슬하게 서로를 지탱하며 겹겹이 벽에 붙어 있거나 성인 키를 훌쩍 뛰어넘을 만큼 높게 쌓여 있다. 이는 동양의 물레 기법과 서양의 조형적 장점을 접목시켜 자신만의 새로운 도자 예술을 선보이는 박상준 작가의 작품이다. 태극기를 연상시키는 빨간색과 파란색, 도자에 장식된 인화 문양 그리고 우리나라 사발 형태의 그릇…. 조은숙 갤러리에서 열린 박상준 작가의 <Perfect Imperfection in Ceramic>전에서 마주한 작품들의 첫인상이다.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박상준 작가.
  언뜻 보기에는 동양의 특징만 품고 있지만, 그 내막에는 미국에서 이방인으로 긴 세월을 살아온 작가가 자연스레 얻은 문화적 영향과 기억이 녹아 있다.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전통 도예가인 당숙아저씨로부터 3년간 분청도자를 배웠어요. 조금 더 넓은 세상에서 예술을 배우고 싶다는 열망으로 26살에 미국 브루클린으로 떠났어요. 벌써 만 30년 정도가 되었네요.” 한국에서 기본적인 물레 기법을 터득한 덕에 실용적인 그릇을 만들 줄 알았던 그는 미국에서 배운 서양 예술을 접목시켜 자신만의 스타일을 정립해 나갔다. 동양과 서양, 어느 한곳에 치우칠 수 없었기에 코리안 아메리칸으로 살아온 그의 삶이 작업에도 반영된 것. 하지만 처음부터 미국 학교에서 그가 원하는 배움을 얻기는 힘들었다. “대학에서 어느 교수님께서 그릇은 예술이 될 수 없다고 말씀하셨어요. 평생 그릇을 만져온 저로서는 약간의 반항심도 생기더군요. 그릇을 어떻게 하면 예술로 표현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 우연히 선반에 쌓여 있는 그릇들을 봤는데 그 자체가 매우 흥미롭게 다가왔어요. 작가란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물을 바라보는 시각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고, 꼭 그릇이 누군가에게 사용되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고 싶었어요.” 완성된 결과물보다 아이디어나 과정을 하나의 예술로 바라보는 개념미술을 시도하게 된 계기를 설명했다. 그 과정에서 탄생한 작품이 바로 ‘Memory of Longview’다. 작가는 처음 미국으로 건너갔을 때 깊은 향수병에 걸렸다고 한다. 매일 숲길을 걸으며 마음을 다스리고 생각에 빠지곤 했는데, 그때의 기억을 그릇에 하나하나 담아 쌓아올린 작품이라고. 사람 키를 훌쩍 뛰어넘는 높이로 그 당시 걸었던 숲길의 나무를 표현했다고 한다.  
겨우내 5개월 동안 숲에 방치되어 자연을 오롯이 담은 ‘Snow in the Bowl’이 탄생하기까지의 과정.
 
겨우내 5개월 동안 숲에 방치되어 자연을 오롯이 담은 ‘Snow in the Bowl’이 탄생하기까지의 과정.
   
가을을 담은 ‘Fall in the Bowl’의 과정과 그 결과물.
 
가을을 담은 ‘Fall in the Bowl’의 과정과 그 결과물.
  이번 전시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롭게 다가왔던 작품은 벽에 걸린 ‘Fall in the Bowl’과 ‘Snow in the Bowl’이다. 이 두 작품은 가을과 겨울로 나누어 계절의 변화를 오롯이 담아낸 결과물이다. 그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우선 가마에 굽지 않은 그릇 수십 개를 숲에 설치하고 약 5개월을 기다린다.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비와 바람에 쓸려 무너지면서 형태가 변하기도 하고 그릇 위로 떨어진 나뭇잎과 도토리의 자국도 선명하게 남게 된다. 작가의 손을 떠난 작품이 자연의 힘에 의해 마무리되는 것이다.  
층층이 쌓은 그릇을 벽에 설치한 ‘Memory of Jersey’.
  “마치 농부가 곡식을 거두 듯 어느 정도 알맞은 때를 기다렸다 그릇들을 주워 와요. 너무 오래 방치해도 형체가 망가질 수 있기 때문에 그‘때’를 작가의 시각으로 캐치해내죠. 이후 초벌과 재벌의 과정을 거쳐 계절과 시간을 오롯이 담은 그릇의 형태로 벽에 설치해서 작품으로 승화시키는 거죠.” 그의 설명에 따라 자세히 바라보니 정말 나뭇잎의 문양이 선명하게 찍혀 있는 조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번 개인전이 그의 작가 인생에서 처음으로 한국에서 열리는 전시인 만큼 아직 국내에서는 낯설게 다가올 수 있지만 박상준 작가는 이미 해외에서 인정받은 작가다. 미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공예쇼 ‘스미스소니언 크래프트쇼’에서 최고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그간 30회 이상의 전시를 개최한 이력을 지녔다.  
그릇에 기억을 담아 쌓아올린 ‘Memory of Longview’.
 
가을을 담은 ‘Fall in the Bowl’의 과정과 그 결과물.
  “사실 10년 전 미국 전시회를 통해 조은숙 대표님을 알게 되었어요. 그때 제게 개인전을 제안하셨고요. 당시만 해도 한국에서 제 작품을 어떻게 받아드릴지에 대한 걱정과 우려로 전시를 미뤄오다 이제서야 개인전을 열게 되었네요.” 그는 2년 후 백자와 청자를 활용한 새로운 작업을 가지고 또 한번 조은숙 갤러리에서 전시를 가질 예정이라며 다음을 기약했다. 2024년, 한국에서 다시 만나게 될 박상준 작가의 작품이 기대된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이현실
TAGS
So! Paris

여유로운 휴식을 위한 파리 호텔 추천

여유로운 휴식을 위한 파리 호텔 추천
  파리의 패션, 예술, 건축을 품고 있는 하나의 거대한 갤러리 같은 쏘 파리 호텔로 예술 여행을 떠나보자.  
쏘 파리 호텔의 로비를 비롯해 객실 곳곳에는 패션 하우스 파투Patou의 아트 디렉터 기욤 앙리가 큐레이션한 작품들로 토마스 푸제롤, 올라프 엘리아슨 등 화려한 시각적 체험을 선사한다.
  지난 4월 이후 엔데믹으로 돌아선 파리는 그동안 여행에 갈증을 느낀 이들의 방문이 늘고 있다. 힘들게 버티던 관광산업이 다시 활기를 찾으면서 새로운 호텔 또한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파리의 동쪽 바스티유와 생루이 섬에 론칭한 아코드, 합작 투자한 이니스모어 그룹의 명품 럭셔리 패션 호텔 쏘 파리 So Paris 도 그중 하나다. 1960년대 지어진 옛 건물이 건축가 앨버트 라프레이드, 피에르-빅투아르 푸르니에와 레네 퐁텐느의 주도로 새 옷을 입은 것이다.  

  앨버트 라프레이드는 파리의 오랜 건물을 새롭게 탄생시키는 건축가로 유명하다. 162개의 우아한 객실과 노트르담 성당, 센 강과 에펠탑 등 아름다운 파리를 조망할 수 있는 스위트룸을 보유하고 있다. 호텔 레스토랑과 바는 파리 소사이어티 그룹에서 담당했으며, ‘보니’라는 이름으로 함께한다. 가수 세르주 갱스부르의 노래에 등장하는 여인의 이름을 따온 것으로 자유롭고 싱그러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호텔 투숙객이 아니라도 레스토랑에서 바라보는 파리의 멋진 풍경을 감상하며 여유로운 시간을 즐기기에 적격이다. 바스티유와 생루이 섬 지역에는 최근 주목할 만한 호텔이 뜸했기에 더욱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호텔에서 걸어서 10분 거리에 있는 노트르담 성당, 바스티유 광장, 마레로까지 손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관광지와 파리지앵의 로컬 문화를 모두 경험할 수 있다. 파리 중심부와 서쪽 지역에 비해 조금은 뒤처졌던 동부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쏘 파리 호텔에서 보헤미안의 정신적 풍요를 느껴보길!

ADD 10 rue Agrippa d’Aubigné 75004 Paris
TEL 33 1 78 90 74 00

Photographed by Gaelle Le Boulicaut
Styled by Virginie Lucy-Duboscq
Instagram : @gaelleleboulicautpics
Web : www.gaelleleboulicaut.com

CREDIT
에디터

writer 진병관(파리 통신원)
TAGS
Jakarta Art Now

인도네시아 아트페어, 아트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아트페어, 아트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최고의 아트페어 아트 자카르타가 8월 26일에 열렸다. 아트 자카르타에서 발견한 인도네시아 미술 경향은 감탄을 자아냈고, 자카르타 대표 갤러리와 미술관은 꼭 한번 방문할 만한 가치가 있다.  

  세계 최고 아트페어로 군림하고 있는 아트바젤이 바젤, 마이애미, 홍콩을 오가며 미술계를 지배하고 있다(팬데믹 기간에는 아트페어의 열기가 다소 수그러들었지만, 올해부터 다시 뜨거워지는 분위기다). 그래서인지 우리나라뿐 아니라 국제적 아트페어가 아트바젤과 나날이 닮아가는 현상이 이어졌다. 항상 등장하는 갤러리와 작가들이 각국 아트페어에 연이어 참여해 굳이 모든 아트페어를 관람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마저 나오고 있는 판국이다. 그런 점에서 아트 자카르타 Art Jakarta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트 자카르타는 아트바젤이나 프리즈 Frieze를 흉내 내는 것이 아니라, 인도네시아와 동남아시아 현대 미술에 집중한다.  
아트 자카르타 전시장 곳곳의 대형 설치작품이 포토 스폿이 되었다. ISA 아트갤러리에서는 인도네시아 작가 좀펫 쿠스위다난토의 대형 작품을 아트페어 전시장 복도에 설치했다.
  인도네시아는 부유한 상류층에서 대대로 컬렉션을 하는 전통이 있으며, 컬렉티브 루앙루파가 이번 카셀 도큐멘타15의 예술감독으로 선임될 만큼 아시아 미술의 강국이다. 중국 작가들이 세계 최대 인구수와 자원에 걸맞는 대륙의 스케일과 역사의 상흔을 담은 작품을 보여준다면, 인도네시아 작가는 중국 뺨치는 시원한 스케일에 아픔도 부드러운 예술로 승화시키는 인간미 넘치는 작품이 특징이다. 2019년 아트 자카르타를 방문했을 때 이미 개성 있는 구성에 감복했기 때문에, 솔직히 이번 페어는 기대하지 않았다. 팬데믹 기간에는 온라인으로 개최 되었으므로, 올해 페어가 2019년보다 특별하지 않더라도 당연히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 하지만 아트 자카르타는 더 강력해졌고, 더 스펙터클해졌다. 아트바젤 못지않은 스케일에 동남아시아의 매력적인 콘텐츠를 가득 채운 성공적인 페어였다. 아시아 최고 아트페어인 아트바젤 홍콩과 중국 넘버원 아트페어인 상하이 웨스트번드 아트&디자인이 부럽지 않은 행사였다. 올해도 자카르타 컨벤션 센터(JCC)에서 개막했는데, 총 62개의 갤러리가 메인 섹션에 참여했다. 인도네시아 갤러리 39개, 아시아 갤러리 23개가 주인공이다.  
말레이시아 아트미스 Artemis 갤러리에서는 인도네시아 작가 데디 수프리아디의 책으로 만든 대형 설치작품을 선보였다.
  서구 메이저 갤러리가 하나도 참여하지 않는다는 것이 오히려 참신하다. 그래도 될 만큼 페어의 중심을 이루는 인도네시아 갤러리들의 작품성이 훌륭하다. 아트 자카르타 디렉터는 기업가 출신의 톰 탄디오 Tom Tandio다. 그는 미술에 매료되면서 인생이 완전히 달라졌기 때문에 가업으로 이어받은 회사도 그만두고 2019년 아트 자카르타에 뛰어들었다. JCC 로비에는 나무로 긴 테이블로 설치하고, 인도네시아 인기 작가 에코 누그로흐의 작품 등을 곳곳에 배치했다. 동선도 흥미로운데, 기다란 입구를 통해 가벼운 전시를 보면서 들어갔다 메인 공간의 대형 전시와 마주하게 된다. 페어를 모두 보고 나오는 길에 신진 작가, 아트컴퍼니의 작은 부스를 지나며 마지막 쇼핑을 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전시장 곳곳에 배치한 15개의 대형 설치작품은 관람객에게 즐거움을 준다. 이러한 거대한 작품들은 대부분 인도네시아 작가의 대표작으로 아트페어의 특색을 과시하는 마스코트이자 포토 스폿으로 관람객의 관심을 모았다. 미술관, 기업과 같이 대형 작품을 구매할 수 있는 수집가의 리스트 일순위에 오르기도 한다. 데디 수프리아디 Dedy Sufriadi는 수만 권의 책으로 만든 3m가 넘는 설치작품으로 모두의 시선을 압도한다. 인기가 높아서 사진 한 장 촬영하려면 한참을 기다려야 했다.  
린다갤러리에서는 인도네시아 대표 작가 뇨만 누아르타가 구리와 동으로 만든 기차 모양의 5m 작품을 전시장 중앙에 설치했다.
  바로 옆에는 뇨만 누아르타 Nyoman Nuarta가 구리와 동으로 만든 기차 모양의 5m 작품이 있는데, 건너편 린다갤러리 부스에서 뇨만 작가의 작품을 대거 만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아라리오갤러리에서 전시했던 좀펫 쿠스위다난토 Jompet Kuswidananto와 지난해 청주공예비엔날레에서 선보였던 뮬야나 Mulyana의 대형 작품도 멋졌다. 인도네시아를 대표하는 갤러리가 총출동한 만큼 자카르타, 발리, 욕자카르타, 반둥 지역의 갤러리 작품을 비교해보는 재미도 있다. 대체로 자카르타에는 컬렉터가 있고, 욕자카르타와 반둥에는 미술대학이 있어 작가들이 많이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카르타 대표 갤러리로는 로 갤러리 ROH, ISA 아트 갤러리, 스리사산티 갤러리, 나디 갤러리 등이 있는데, 이들은 자국 작가를 중심으로 부스에 작품을 설치해 호평을 받았다.  
로 갤러리의 바거스 판데가 Bagus Pandega의 설치작품. 바로 뒤에 로의 전시 부스가 보인다.
 
VIP는 아트 자카르타뿐 아니라 자카르타 대표 갤러리와 미술관도 탐방했다. 로 갤러리는 최근 주택가 건물을 개조해 이전했는데, SNS 시대에서 영감을 받은 컬렉티브 트로마마의 전시가 열리고 있다.
 
마칸 뮤지엄 MACAN Museum에서는 인도네시아 작가 아구스 수와게의 개인전이 열렸다. 그는 1990년대 격동의 시대에서 영감을 받은 중견 작가로, 자화상을 통해 희망과 좌절을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페어를 찾은 아시아의 VIP는 자카르타 주요 미술관과 갤러리를 투어하기도했다. 마칸 뮤지엄은 인도네시아 작가 아구스 수와게 Agus Suwage의 전시를 축하하며, 밤늦게까지 디제잉 파티를 열었다. 인도네시아인은 한국 사람 능가하는 엄청나게 흥이 있는 민족으로 어떤 행사, 어떤 장소에서도 밤새 노래하고 춤추는 것이 일상이다. 아구스 수와게는 1990년대 격동의 시대에서 영감을 받은 중견 작가로, 자화상을 통해 희망과 좌절을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그의 작품 주제는 무겁지만, 그의 얼굴로 나타나는 형태는 유머러스해 보이기도 한다. 신생 갤러리 루바나 갤러리, 아트 어젠다 갤러리, 디스트릭트 센니는 도보로 이동 가능한 같은 지역에 위치하니 한꺼번에 돌아보면 좋을 것이다. 루바나와 아트 어젠다는 같은 건물에 있다. 디스트릭트 센니는 쇼핑센터로 유명한 사리나 탐린 빌딩 6층에 위치한다. 루바나 갤러리는 인도네시아 젊은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며, 아트 어젠다는 근대미술에 집중하는 갤러리다. 아트 어젠다에서 선보인 미술가 포포 이스칸더 Popo Iskandar 작품은 우리나라 근대 추상과 공통점이 있어 더욱 시선을 사로잡았다. 디스트릭트 센니에서는 6개층을 모두 사용하며 인도네시아 근현대 미술가의 그룹 전시가 열렸다.  
호주, 싱가포르 거점 갤러리 설리반 플러스 슈톰프 Sullivan + Strumpf는 인도네시아 작가 이판 헨드리안 Irfan Hendrian의 종이 작품으로 아트 자카르타에 참여했다.
 
VIP는 아트 자카르타뿐 아니라 자카르타 대표 갤러리와 미술관도 탐방했다. 로 갤러리는 최근 주택가 건물을 개조해 이전했는데, SNS 시대에서 영감을 받은 컬렉티브 트로마마의 전시가 열리고 있다.
  프리즈 서울에도 참여한 로 갤러리는 주택가 건물을 개조해 얼마 전 이전했다. SNS 시대에서 영감을 받은 컬렉티브 트로마마 Tromama의 전시가 열리고 있다. 로 갤러리는 아트 자카르타에 항상 두 개의 부스로 출전한다. 로 ROH와 로 프로젝트 프로젝트가 그것이다. 로 갤러리가 진중한 대표 작가의 작품으로 참여한다면, 로 프로젝트 프로젝트는 재기발랄해서 이것이 과연 팔릴 것인지 의문을 주는 작품을 선보인다. 로 프로젝트 프로젝트는 아트페어에서만 존재하는 가상의 갤러리인 것. 가자 갤러리는 싱가포르 거점 갤러리인데, 자카르타에도 2호점을 열어 맹활약을 펼치고 있다. 에리잘 아스 Erizal As 가 파당 지역의 자연을 유화로 그리며, 섬나라 인도네시아의 광활함을 과시하고 있다. 더불어 에코 누그로흐, 해리 도노, 우지 하한 등의 작가들도 세계적으로 활약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인도네시아 미술 시장은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어 아쉽다. 인도네시아의 활발한 현대미술 신에 탄복한 백아트 갤러리가 오는 11월 자카르타에 세 번째 갤러리를 개관할 예정이라는 반가운 소식도 있다. 로스앤젤레스와 서울에서 갤러리를 운영하고 있는 백아트 갤러리의 수잔 백 대표는 2019년 아트 자카르타에 참여한 바 있다. 자동차와 예술을 접목시킨 전시를 보여주는 현대모터스튜디오 역시 얼마 전 일곱 번째 공간을 자카르타에 열어, 문화 확대를 간접적으로 시사했다. 아트 자카르타의 성공을 보니 우리나라의 대표 아트페어 KIAF와 아트부산에도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세상은 넓고 미술가는 많다. 제3세계의 미술에도 관심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CREDIT
WRITER 이소영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