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에 담긴 무게

파멸 속에서 피어난 안젤름 키퍼

파멸 속에서 피어난 안젤름 키퍼

 

안젤름 키퍼가 그린 작품은 파멸 속에서 피어났다. 작가 자신도 그랬다. 그 끝에는 희망이 있음을 믿기에, 그냥 계속 나아간다.

 

안젤름 키퍼 Anselm Kiefer의 작품은 첫인상이 무겁다. 작품 앞에 서면 작가가 무엇을 말하려는 것인지 잘 몰라도,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감각부터 느껴지는 아우라까지 그 주제가 심오하고 어둡다는 것을 금세 알아차린다. 키퍼는 작품의 소재로 납이나 콘크리트, 흙, 말린 식물, 유리, 철조망, 책, 낫 등 일반적이지 않은 오브제를 사용한다. 거대한 작품의 크기와 어두운 색채에서 오는 중압도 고스란히 관람자에게 전달된다. 작품에서 느껴지는 무게는 그의 삶에서 비롯됐다. ‘1945년생 독일 미술가’, 단 한 줄의 정보가 안젤름 키퍼와 그의 작품을 설명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 집이 없는 사람은 이제 집을 짓지 않습니다’ 2022. ©Anselm Kiefer

 

2차 세계대전, 키퍼는 참담한 비극과 고통 속에서 태어났다. 전후에도 전범국이자 패전국으로 혼란했던 환경에서 유년기를 거쳤고, 가늠할 수 없는 자괴와 고뇌 끝에 예술가의 운명을 선택했다. 사회적으로 당시 독일은 큰 과제를 당면하고 있었다. 독일이란 오염된 국가적 정체성과 국제적 이미지를 반전시키는 것. 독일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 중 하나가 미술이었다. 미술이란 보기 좋은 구실로 과거의 오류를 청산하고, 현재를 극복하는 변혁을 꾀한 것이다. 하지만 1960년대 말, 미술을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보다 직접적이고 전위적인 각성을 촉구했던 젊은 세대가 있었으니 안젤름 키퍼였다. 그는 갖은 반향에도 불구하고 나치 시대뿐만 아니라 독일의 역사와 문화에 비판적인 시각을 투영했으며, 이로 인해 상처를 치유하고 자국의 이상주의를 실현하길 바랐다.

 

작품 상단에 키퍼가 직접 쓴 작품 제목이 있다. 가늘고 연하게 쓴 부자연스러운 글씨는 일종의 재료처럼 표현상의 기법으로 기능한다. ‘지금 집이 없는 사람…’ 2016~2022. ©Anselm Kiefer

 

안젤름 키퍼는 체험에서 비롯한 경험을 중시했고, 그의 작품에서 찾을 수 있는 오브제는 이러한 자극을 위한 중요한 상징이자 수단이 되었다. 작가는 자신의 기억과 정체성 그리고 역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기반으로 역사적, 문화적, 신화적 소재에서 촉발한 다층적인 주제에 천착했다. 지난 40년간 작업의 형식도 꾸준히 발전했다. 그리고 2022년, 타데우스 로팍 서울에서 열리는 안젤름 키퍼의 개인전 <지금 집이 없는 사람 Wer Jetzt Kein Haus Hat>에서 그의 근작을 만나볼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오스트리아 시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시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회화와 설치작품을 선보인다. “주여, 가을이 왔습니다”라는 구절로 시작하는 릴케의 시 ‘가을날’은 가을을 주제로 계절의 변화와 덧없음, 부패와 쇠퇴를 노래한다. 키퍼는 “릴케의 시는 60여 년간 내 기억 속에 존재해왔다. 나는 그의 많은 시를 암송할 정도로 알고 있고, 그들은 내 안에 존재하며, 이따금씩 수면 위로 올라온다”고 말한다. 키퍼의 작품은 어스름한 나무의 윤곽과 단풍이 물든 나뭇잎, 속절없이 떨어지는 낙엽 그리고 서서히 회색빛을 띠는 겨울 나무를 담고 있다. 여기에 더해 작가는 실제로 작품이 자연에 풍화될 수 있도록 일부러 빗속에 내놓는 등 더위와 추위 같은 날씨까지 작품에 담았다. 이는 흘러가는 시간의 황폐함과 삶의 덧없음에 대한 환기인 동시에 시인 릴케에 대한 일종의 오마주다.

 

안젤름 키퍼. ©Anselm Kiefer

 

전시장 가운데는 진흙 벽돌로 된 설치작품이 있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건물과 잔해 사이에서 자랐던 작가의 유년 시절이 만든 결과다. 부재했던 쉼터에 대한 상기이자 인간이 만든 것을 자연 순환계로 연결시키기 위한 의도로 작품에 파괴와 재건 그리고 재탄생의 의미를 담았다. 이로써 전시장에는 과거로부터 혹은 현재 반쯤 지어지거나 반쯤 파괴된 작품이 있다. 작가의 여타 작품처럼 작품 세계 전반에 드리워진 어둠과 무게가 여전히 느껴진다. 하지만 이번 <지금 집이 없는 사람>전에는 희망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릴케의 시에서 여름에서 가을로,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듯 자연의 주기처럼 파괴와 소멸 뒤에 탄생과 성장을 기대하는 것이다. 다시 겨울이 가고 봄이 올 것이기 때문에. 전시는 10월22일까지.

CREDIT

어시스턴트 에디터

강성엽

TAGS
Maison&Objet Paris Design Week 2022 #2

파리디자인위크2022 하이라이트

파리디자인위크2022 하이라이트

 

자벤템 아틀리에 Zaventem Ateliers

브뤼셀 옆에 있는 자벤템이라는 마을에는 벨기에 인테리어 디자이너 리오넬 자도 Lionel Jadot가 만든 6,000㎡ 규모의 자벤템 아틀리에가 있다. 과거 산업 황무지였던 이곳은 현재 컬렉터블 디자인 작품을 위한 창작과 실험을 하는 장소로 활용 중인데, 장식예술에 대한 열정으로 모인 신진 디자이너와 예술가들이 각자의 노하우를 공유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아이디어 인큐베이터이자 길드 정신이 지배하는 비정형 디자인 허브라는 표현이 어울릴 수도 있겠다. 이런 특수성을 지닌 자벤템 아틀리에가 그 모습 그대로 파리로 진출했다. 지난 6월 밀란디자인위크 동안 도시 외곽의 공장 부지를 빌려 진행한 전시가 푸오리살로네의 전례 없는 멋진 전시로 주목받은 것에 탄력을 받아 파리까지 진출한 것.

 

자벤템 아틀리에 팽탕 전시 전경. ©AmberVanbossel

 

외곽에 위치한 도시 팽탕의 강철 튜브 공장을 선택해 12명의 디자이너 가구와 소품을 전시했다. 넓은 산업 황무지에 버려진 듯 연출한 전시 디자인은 누가 봐도 인상적이다. 특별한 에너지가 존재하고 거대한 공간과 그 속에 전시한 작품이 주고받는 아우라는 도심에서는 쉽게 느낄 수 없는 경험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포스트 아포칼립스 환경에서 창조적인 르네상스의 비전을 보여주고 싶었다는 관계자의 설명이 다소 이해되었다. 어려운 시기에 희망의 메시지와 문화 교류의 장으로 이정표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표가 읽혀졌다.

 

자벤템 아틀리에 팽탕 전시 전경. ©AmberVanbossel

 

WEB zaventemateliers.com

 

메이아트 Meillart

2020년에 론칭한 온라인 디자인 공예 마켓 플레이스 메이아트에서는 150명의 디자이너와 장인들이 제작한 2만 5000개의 실내장식 제품과 소품이 거래되고 있다. 높은 수준의 공예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통해 라이프스타일이 더욱 유쾌하고 풍요로워지길 바라는 것이 메이아트가 추구하는 비전이다. 이런 가치를 오프라인에서 소비자들한테 직접 전달하기 위해 처음으로 파리의 오스마니안 양식의 아파트를 빌려 여성 디자이너, 공예가 6명의 작업을 전시하는 쇼케이스를 열었다. 가구, 식기, 소품, 태피스트리, 페이퍼 아트, 조명을 만드는 작가들이 모여 실제 아파트를 채우니 완벽한 삶의 공간이 연출됐다.

 

검정색으로 산화한 양은으로 제작한 메종 아르망 종케르Maison Armand Jonckers의 스툴. ©AmberVanbossel

 

까르띠에 매장에서 사용하는 미드리아즈 Mydriaz의 아름다운 황동 조명 아래 이탈리아 세라믹 일러스트레이터 프란체스카 콜롬보 Francesca Colombo의 꽃과 새가 그려진 서정적인 식기와 마리안느 겔리 Marianne Guély 스튜디오에서 수작업으로 제작한 종이꽃으로 장식된 멋진 테이블 세팅은 모든 방문객들의 마음을 설레게 했다. 리플렉션 코펜하겐의 화려한 크리스털 소품과 거실 중앙에 놓인 거대한 종이꽃 부케, 코르크로 제작한 모노 에디션 Mono Editions의 미니멀한 가구까지 6명의 각기 다른 소재와 제품을 다루는 여성 디자이너, 공예가들의 아름다운 조합을 통해 메이아트의 가치를 제대로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을 것이다.

 WEB meillart.com

 

 

 

특별한 공간과 디자이너 컬렉션의 조우

수많은 쇼룸과 전시가 진행되는 가운데 관람객들의 시선을 끌기 위해서는 멋진 컬렉션 외에도 또 다른 요소가 필요하다.
그런 이유로 특별한 장소를 섭외하는 것이 브랜드와 디자이너의 미션이 되어가고 있다.

 

앙토니 게레의 프래그먼트 컬렉션 : 메종 라 로슈

 

메종 라 로슈 내부에 자연스럽게 배치된 앙토니 게레×엠 에디시옹의 대리석 가구와 소품. ©Alexandre Tabaste

 

파리 16구에 위치한 메종 라 로슈 Maison La Roche는 르 코르뷔지에와 피에르 잔느레가 디자인한 건축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지금은 르 코르뷔지에 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다. 정기적으로 예약을 통해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단 한번도 외부 전시를 진행한 적 없는 이곳에서 이례적으로 파리디자인위크를 맞아 특별전을 준비했다. 디자이너 앙토니 게레 Anthony Guerrée가 엠 에디시옹 Méditions과 협업한 대리석 가구 컬렉션을 메종 라 로슈에서 선보인 것. 그리스 건축과 르 코르뷔지에라는 공통분모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된 작품은 천년 역사와 근대성의 기초를 모두 담고 있다.

 

 

더욱이 모든 작품은 대리석 유통회사 마브르리 드 라 센 Marbreries de la Seine에서 사용하고 남은 조각으로 제작되었는데, 호텔 크리용의 칼 라거펠트 룸 욕실에 사용된 대리석은 비누 트레이로, 파리 생로랑 매장에 사용된 블랙 대리석은 스툴로 변신했다. 그렇게 파편이라는 의미의 ‘프래그먼트 Fragments’가 컬렉션 이름으로 결정되었으며, 커피 테이블에서부터 필통, 콘솔, 플로어 조명에 이르기까지 기능적인 가구와 오브제로 구성되었다. ‘도릭 Dorik’, ‘로닉 Lonik’, ‘코린스 Corinth’의 라인은 세 가지 고대 건축 질서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특유의 원칙이 작품에 고스란히 투영되었다. 앙토니 게레는 르 코르뷔지에가 파르테논 신전을 발견했을 때 느꼈던 경이로움에 대해 언급하는 한편, 이번 컬렉션을 통해 위대한 건축가가 만든 공간과 자신의 작품이 아름답게 대화하는 모습과 천연자원의 합리적인 사용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WEB anthony-guerree.com meditions.com fondationlecorbusier.fr

 

알린 아스마 다만 : 페오 브와즈리

호텔 크리용의 리뉴얼과 칼 라거펠트와 함께 가구 컬렉션을 진행한 바 있는 인테리어 디자이너 알린 아스마 다만 Aline Asmar d’Amman의 첫 번째 가구 컬렉션이 공개됐다. 3년이라는 준비 기간을 거쳐 완벽한 라인업을 갖춘 컬렉션을 발표한 장소는 1875년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온 몰딩 아틀리에 페오 브아즈리 Féau Boiseries다.

 

페오 브아즈리의 100년이 넘은 몰딩 작업과 알린 아스마 다만의 모던한 가구가 함께한 모습이 드라마틱하다. ©Jacques Pépion

 

알린 아스마 다만는 자신의 첫 컬렉션에 현대 여성성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표현했는데, 메인 제품이라 할 수 있는 핑크 모헤어 패브릭이 사용된 관능적인 둥근 모양의 ‘조지아’ 소파는 할리우드 글래머 정신을 불러일으키고, 블랙 메탈과 흰색 실크를 사용한 ‘스모킹’ 조명은 마치 검정색 수트를 입은 세련된 여성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그리고 장인과의 협업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그녀의 의지로 탄생한 드 고네의 꽃무늬 벽지 ‘크리스털 페탈’의 디테일은 놀랍기도 한데 벽지에 크리스털로 수를 놓은 부분은 절로 감탄이 나온다.

 

페오 브아즈리의 100년이 넘은 몰딩 작업과 알린 아스마 다만의 모던한 가구가 함께한 모습이 드라마틱하다. ©Jacques Pépion

 

알린 아스마 다만 컬렉션의 아이코닉 피스인 조지아 소파. ©Jacques Pépion

 

핸드 페이팅과 섬세한 자수 작업을 보고 있노라면 오트 쿠튀르 벽지라는 감탄이 흘러나오며, 가장 위대한 여성인 어머니에 대한 찬가를 영원한 꽃이 만발한 장면으로 표현했다는 디자이너의 설명을 듣고 나면 벽지에 담긴 특별한 애정이 느껴진다.  이번 전시는 지난 3월 인비지블 컬렉션 전시와 마찬가지로 페오 브아즈리의 역사적인 컬렉션에 현대 가구 작품을 초대해 과거와 미래 간의 흥미로운 대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알린 아스마 다만의 가구는 디자이너 가구 온라인 플랫폼인 인비지블 컬렉션을 통해 독점 판매한다.

WEB cultureinarchitecture.com theinvisiblecollection.com feauboiseries.com

 

유크로니아 : 마레 지구의 오래된 보석점

 

맥시멀리즘은 지향하는 유크로니아의 쇼룸. ©Uchronia

 

1990년대생 디자이너 줄리앙 세반 Julien Sebban이 이끄는 파리 디자인계의 악동 같은 존재 유크로니아 Uchronia. 평범하지 않은, 독특한, 재미있는 같은 형용사가 따라다니는 이들은 고전적인 디자인 회사에서 탈피해 다학제적인 집단으로 평가받길 원한다. 그런 이유로 이름도 존재하는 않는 시간을 의미하는 유크로니아다. 심상치 않은 아이디어를 가진 이들이 선보이는 새로운 컬렉션 전시 제목은 ‘바다에서 도난당한 물건 Stolen Objects from the Sea’인데, 이를 선보이는 장소 또한 파리 마레 지구의 오래된 보석점으로 결코 평범하지 않다.

 

유크로니아의 디자이너 줄리앙 세반(위)과 골동품 수집가 앙투안 비요르(아래). © Uchronia

 

양쪽 벽면에 자리한 거대한 보석 진열장에는 골동품 수집가 친구인 앙투안 비요르 Antoine Billore가 수집한 수백 개의 세라믹 어패류 조각품으로 채웠고, 중앙에는 바다에서 영감을 받은 웨이브 컬렉션 가구가 놓여 있다. 둥근 파도, 은빛으로 반짝이는 물고기, 산호의 눈부신 색, 해초들의 움직임 등이 작품에 표현됐다. 세라믹, 레진, 뜨개질 등 다양한 소재와 기술이 어우러져 엮어내는 화려한 색상의 제품을 보고 있노라면, 초현실주의 그림 속에 들어온 듯한 착각마저 든다. 불가사리 모양의 술이 달린 거울, 뜨개질로 제작한 해파리 설치물까지 악동들이 이끌어갈 흥미로운 하이엔드 디자이너 가구의 미래가 한껏 기대된다.

 

대리석과 레진으로 만든 테이블은 물결치는 바다의 모습을 형상화했다. ©Uchronia

 

WEB uchronia.fr

CREDIT

WRITER

양윤정

TAGS
IMAGINARY ART FURNITURE

한국 작가들의 다채로운 아트퍼니처

한국 작가들의 다채로운 아트퍼니처

 

패션 화보를 보듯 화려하고 다채롭다. 갤러리와 상업 공간을 오가며 존재감을 드러내는 젊은 아트 퍼니처 작가 9인의 작품을 모았다. 이들이 가구에 담아낸 상상력은 낯설지만, 기분 좋은 호기심을 자극한다.

 

가구에 담은 동심

홍익대학교 섬유미술 패션디자인과 목조형가구학을 전공한 아트 퍼니처 작가 겸 아트 디렉터 서수현은 지극히 일상적인 것에서 얻은 영감을 바탕으로 가구와 섬유 공예품을 선보인다. 금방이라도 살아 움직일 듯한 생동감 넘치는 색감과 단순한 형태, 풍성한 볼륨감이 특징이며, 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든 세대가 마음껏 상상하고 체험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INSTAGRAM @suhyunarchive

따뜻한 지렁이가 꿈틀거리는 것을 의미하는 웜 웜 위글 Warm Worm Wriggle 시리즈는 소파와 거울 그리고 러그로 구성된 공간 작업이다. 동심으로 돌아가 현재를 살아가는 어른들에게 이 공간을 선사한다.

 

새 생명을 입은 폐기물

젊은 디자이너 그룹 크리에이티브 콜렉티브 1S1T(이즈잇)의 강영민 작가는 공장의 폐기물을 새로운 가치로 재생산하는 제로웨이스트 매뉴팩처링 개념을 기반으로 버스 손잡이나 계단 핸드레일 등의 강철 파이프에 플라스틱을 입히는 공장과 협업하여 작품을 만든다. 직관적인 형태와 강렬한 색 조합이 특징으로 버려지는 플라스틱이 예술을 입은 가구나 오브제로 재탄생되는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INSTAGRAM @1s1t_youngmin.k

 

낯선 재료가 주는 즐거움

금속공예를 전공한 방효빈 작가는 세공 기법을 재해석하고 확대하여 조형 언어로 사용한다. 주목받지 못하는 요소에 관한 호기심을 바탕으로 소재를 다각적으로 활용해 가구로 표현한다. 단순히 연결 요소로만 사용되었던 링과 장난감이라는 인식이 강한 탱탱볼이 작업의 주재료다. 특히 탱탱볼을 쿠션으로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가구 소재에서 탈피한 오링 O-ring 시리즈가 대표적이다. INSTAGRAM @hyobeenbang

 

현실로 나온 디지털 디자인

예술과 실용의 경계에 걸친 사물을 만들어내는 최동욱 작가는 경계를 허무는 것을 즐기고 상상 속 디지털 디자인을 현실의 개체로 구현해낸다. 손으로 두드린 듯한 불규칙한 곡선과 플라스틱의 겉면을 메탈릭 도료인 크롬으로 얇게 도색한 작품은 보기와 달리 매우 가벼운 것이 특징이다. INSTAGRAM @dwchoi_

 

사유에서 탄생하는 가치

산업디자인과 공예적 시각을 기반으로 작업 활동을 하는 최원서 디자이너는 사물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탈피한 사유를 바탕으로 오브제와 가구, 공간 등 다방면의 작품을 선보인다. 기존의 소재가 표현하지 못한 이야기를 상상하고 이를 가구의 조형 언어로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용도와 가치로 자유롭게 표현한다. INSTAGRAM @oneseo

 

상상속의 의자

상상 속에나 존재할 만큼 형태도, 질감도, 소재도, 색감도 제한 없이 한없이 자유롭다. 그의 작품은 실물이 아닌 3D 작업이기 때문. 인스타그램에서 머디캡 Muddycap이라는 이름으로 의자 혹은 의자의 기능을 가진 실험적인 오브제를 만들어 꾸준히 업로드하고 있다. INSTAGRAM @muddycap

 

금속으로 채우는 감각

최일준 작가는 금속이라는 특정 재료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눈에 보이지 않지만 감각적으로 느껴지는 것을 작품으로 표현한다. 용접 방식인 플라즈마 아크를 이용해 금속 표면에 음각의 선을 그리는 ‘플라즈마 드로잉’과 금속 가루를 안료로 하는 ‘메탈 페인팅’ 기법을 주로 사용한다. 가구뿐만 아니라 회화와 조각, 순수예술까지 평면과 입체 작업을 넘나들고 있다. INSTAGRAM @iljun_choi

 

 

일상에 깃든 자연스러움

금속 디자인을 전공한 김성수 작가는 장식적이면서도 실용적인 디자인에 대한 고찰로 가구뿐만 아니라 작품 영역을 확장해 활동하고 있다. 어떠한 것으로부터 얻는 특별한 영감보다는 현재 처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고민 속에서 규칙과 생각을 표현해 나간다. 투명한 아크릴과 거울처럼 비치는 소재를 사용해 구조와 형태를 과감하게 드러낸 SLT 시리즈가 대표적이다. INSTAGRAM @seongsookeem

 

조각적인 모듈 가구

목조형가구학과와 디자인을 전공한 김정섭 작가는 조각적 입체 미술로 가구를 탐구한다. 가공이 쉽지 않은 구리를 주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공예와 산업 생산 방식을 혼용하되, 재료 본연의 느낌을 유지하고 강조할 수 있는 제작 방식과 디자인을 선보인다. 웍스아웃, 루이 비통, 칼하트 등 글로벌 브랜드와 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국내외로 활동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INSTAGRAM @jeongseob_kim

CREDIT

에디터

,

어시스턴트

홍수빈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