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생 브라질 작가 페르난다 갈바오는 몸속 깊은 곳에 자라난 악성종양을 발견한 것을 계기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불현듯 찾아온 불행에 당차게 맞선 그녀의 작품에는 담담히 눌러낸 경험과 감정이 녹아 있다.
암 진단을 받고 마음을 추스르기에도 모자랐을 텐데, 자신의 종양에서 영감을 받아 이를 예술로 표현했다는 점이 인상 깊다. 어떠한 점이 큰 울림을 줬나?
인생과 작품은 서로 큰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점에서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고 믿는다. 내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직접 보고 이해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행동이었다. 세포들, 엄밀히 말하자면 조직 구조를 들여다보면서 ‘어떤 모양이지? 이렇게 작은 것이 어떻게 내 삶을 이토록 한꺼번에 바꿔버릴 수 있지? 심지어 느껴지거나 감지하지도 못하는 존재가 내 몸속에서 이렇게 파괴적일 수 있단 말인가?’ 하고 생각하면 놀라웠다. 현미경으로 그렇게 조그맣고 복잡한 것들을 들여다볼 수 있다는 사실도 정말 놀라웠다. 마치 천체망원경으로 행성을 들여다보는 듯했다. 현미경을 들여다보고 있자니 우주에서는 한낱 모래 알갱이가 인간에게는 커다란 행성처럼 느껴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본격적으로 생물학과 조직학에 대해 공부하고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어떠한 것을 발견했나?
호기심이 꽤 왕성한 편이다. 이러한 구성 요소를 면밀히 관찰하고 탐구하는 것은 작품을 재구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됐으며 매우 유익한 과정이었다. 그러면서 SF를 떠올렸는데, SF 역시 실존하는 요소를 근거로 가설을 세우고 이야기와 예술 작품, 미래를 구축해내기 때문이다. 또 기존의 존재를 사용해 다른 세계를 위한 새로운 법칙을 창조해내는 모습과도 닮아 있다.
SF적 열망은 어떻게 작품에 표현되나?
나는 SF를 픽션, 과학, 생물학, 인간 해부학, 풍경 그리고 그림과의 소통 속에서 현재의 사건을 관찰하고 그 사건을 추정의 상황으로 가져가는 하나의 방편으로 간주한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환경 문제에 대해 인류 또는 지구에 닥칠 가능성 있고, 즉각적인 파괴에 대해 생각하고, 자연 현상이 세계를 지배하여 인간에게는 비우호적이고 다른 생명체에게는 우호적인 가상의 세계에 대한 가설을 만드는 것이다. SF는 세포에 대해 그리고 거기에서 살아가는 수많은 미생물의 가능성에 대해 생각하고 행성과 은하와 무한함에 대해 생각한다. 생물학 및 과학의 연구를 통해 다른 생태계와 물리적 법칙과 시간성을 지닌 다른 세상을 상상할 수 있게 된다. 그러고 나면 SF에서 시작해 자연과 내 주변 환경으로 이어지고 상상 속의 세상을 그려본다. 그림, 영상, 설치를 이용해 연구를 발전시킨다. 식물, 돌, 기상 상황, 생태계 등의 풍경과 자연의 탐구에서 시작해 제스처(온몸을 사용해 그림을 그리는 방식)와 그림으로 발전시켜 나간다.
생물과 자연, SF는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키워드다. 이것들을 어떤 방식으로 표현해냈나?
종양 또한 자연이다. 자연은 통제 가능하다는 발상이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삶은 예측 불가하고 가변적이며 유동적이다. 종양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면 몸의 다른 세포에 비해 비정상적이고 ‘잘못된’ 방식으로 발전하는 작은 세포다. 그 기형적이고 비정형적, 유기적인 형태 그리고 예측 불가한 모습이 흥미로웠다. 내 작품도 이런 관점에서 접근했다. 작품이 어떤 식으로 진행될지 전혀 확신할 수 없었다. 나는 보통 회화 작업을 할 때 얼룩과 재료 간의 관계, 캔버스 표면에 흐르는 물을 고정시키는 오일 사용부터 시작해 드로잉과 스크래치, 제스처 등의 추가적인 방식을 뒤섞는 형태로 구성한다. 물감을 더했다가 빼기도 하고 다양한 붓 터치와 색깔 등을 시도하면서 천천히 진행된다. 또 오랫동안 수집해온 참고 자료를 비롯해 보고 경험한 것을 통해 구체적인 분위기를 찾는다.
다소 어두운 컬러가 주를 이루는 것 같다. 색감을 통해 슬픔과 아픔 등의 감정을 표현한 것인가?
색깔은 공간성, 분위기, 색조, 감정, 형태를 창조하는 기본적인 도구라 생각한다. 주로 색조는 조화에 대한 탐색에서 출발한다. 나는 조화를 생태계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는데, ‘유기적인’ 방식으로 양립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어떤 것도 완전히 똑같을 수는 없으며, 모든 염료와 제스처는 아무리 미세하더라도 전체에 영향을 준다. 때문에 나의 회화 작업은 아주 느리게 진행된다.
회화를 중심으로 작업하고 있지만 설치와 조각, 영상까지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번 파운드리 서울에서 선보이는 ‘Electric Dream’ 작품에 대한 설명 부탁한다.
‘Electric Dream’은 분홍색 모래 섬 위에 놓인 TV에 영상이 재생되는 설치작품이다. 이전에 만들어둔 오브제에서부터 시작된 것인데, 밀랍, 순수 안료, 폴리우레탄 스펀지를 다량의 물감에 섞어 만든 복합물이었다. 이 작업을 통해 결국 페이퍼 마셰와 의료용 색소로 분홍색 화산 조형물을 만들었다. 그때부터 나는 이 화산을 폭발시킬 온갖 방법을 궁리했다. 그때 영상 제작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어느 크로마키 스튜디오에서 화산 영상을 만들었고 이를 몽타주 기법으로 풀어냈다.
영상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달라.
이 비디오는 크로마키 스튜디오에서 촬영한 높이 1m의 페이퍼 마셰 조형물을 찍은 것이다. ‘Lunar Body’에서 표현한 질감으로, 분홍색과 빨간색 모래, 스티로폼 조각, 레진으로 표면을 덮었는데 분홍색 모래 섬에도 같은 재료를 쓴다. SF 분위기가 감도는 이 영상은 분홍색 질감을 상세하게 보여주면서 시작한다. 이 섬에 감도는 고요함은 분홍색 토끼 프레데리코가 나타나는 순간 깨진다. 마치 카스파르 프리드리히의 그림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처럼 자연의 광대함을 보여주려는 듯 분위기가 불안해진다. 이어서 지진, 강풍, 산사태 등 몇몇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결국 봉우리의 분화구에서 심홍색 연기가 뿜어져나온다.
이번 개인전 출품작 중 특별히 애정하는 작품이 있나?
‘Anemona’와 ‘Bloody’를 가장 좋아한다. ‘Bloody’는 작년부터 발전시킨 새로운 유형의 회화이다. 보통 충분한 기간을 두고 정말 느리게 작업하는 나의 작업 방식에 완전히 반하는 작품이다. 스케치 자체를 그저 다른 무엇을 위한 길잡이가 아닌 하나의 도구로 인정한 것이다. 이는 더 큰 그림에서 어느 한 요소를 택해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확정하는 것과도 같다. 이 작품은 이빨이 달린 치명적인 식물 같다. 나의 기호 체계 속에 출현한 새로운 종 種이다. 또 하나, 정말 중요한 작품인 ‘Anemona’는 다른 움직임에서 출발했다. 깊은 물에 대한 작품인데, 내가 본 것과 우리가 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했다. 상파울루 일랴벨라 섬 해안에서 잠수를 몇 번 하다 모레야(바다뱀 비슷한 해양동물)를 본 경험을 바탕으로 연작을 진행했다.
WEB spaceb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