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미래의 컨셉트카에서 시작해 과거 주거 환경의 변화를 거쳐 시공간을 초월한 듯한 미래의 쉘터로 이어지는 현대모터스튜디오 부산의 <홈 스토리즈> 전시가 시작됐다. 이동 수단이 아닌 하나의 ‘집’처럼 확장될 모빌리티의 미래가 기다려진다.
집과 나만의 안식처가 그 어느 때보다도 새삼 중요해진 요즘, ‘미래에 우리는 어디에서 어떻게 살게 될까?’ 하는 질문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 현대모터스튜디오 부산에서 진행 중인 <홈 스토리즈 Home Stories> 전시를 보고 나면 각자에게 맞는 답을 상상할 수 있을지도. 인간을 풍요롭게 하는 디자인의 힘 Design to Live by를 추구해온 현대모터스튜디오 부산에서 현재 진행 중인 <홈 스토리즈>는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과 협업한 이래 두 번째 프로젝트다. 전시는 현대자동차 아이오닉의 컨셉트카인 ‘세븐 SEVEN’에서 시작해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의 아카이브와 전시의 대미를 장식하는 스튜디오 스와인 Studio Swine의 몰입형 설치작품 ‘흐르는 들판 아래’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관람객은 공간을 넘나들며 그동안 인류의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진화해온 주거 문화와 한 단계 진화한 모빌리티 그리고 미래의 주거 환경을 꿈꿔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흐르는 들판 아래
by 스튜디오 스와인
전시는 스튜디오 스와인의 몰입형 설치작품으로 끝을 맺는다. 두툼한 커튼을 젖히고 들어가면 온통 푸른빛으로 감싼 공간에 들어서게 되는데, 뿌연 스모그와 천장에 달린 60개의 네온 튜브가 들판에 부는 바람, 별똥별 혹은 새의 움직임처럼 계속 움직이고 멈춘다. 갑자기 시공간을 초월해 전혀 다른 세계에 와 있는 듯한 착각마저 든다. 스튜디오 스와인은 ‘에피머랄 테크’라고 이름 붙인 기술로 플라즈마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네온 튜브를 만들었다. 플라즈마가 반응하면서 내는 소리는 눈을 감고 들으면 마치 귀뚜라미 소리 같기도 하다. 구불구불한 뱀 같기도 한 곡선의 벤치는 아이오닉 컨셉트카 세븐에서 사용된 것을 재활용한 것으로 스튜디오 스와인의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열정을 엿볼 수 있다.
INTERVIEW
<홈 스토리즈> 전시에서 몰입형 설치작품 ‘흐르는 들판 아래’를 선보인 스튜디오 스와인의 알렉산더 그로브스 Alexander Groves와 전시장에서 나눈 인터뷰.
세실 비튼의 서커스 베드를 본 후 커튼을 열고 들어서자 마치 순간이동한 것 같았다.
전시장에 들어오면 방향, 공간감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자세히 봐야 거울이 앞에 있다는 걸 알게 되는데 천장에 달린 네온 튜브는 그림자가 없어 마치 우주에 와 있는 것 같은 착각마저 들게 만든다. 푸른빛과 미스트 같은 연기 그리고 네온 튜브의 빛과 소리만이 공간을 감싼다.
특별히 신경 쓴 부분이 있나?
정말 노력했던 부분은 전시에 사용되는 요소를 아주 최소화하려고 했다는 점이다. 긴 벤치는 아이오닉 컨셉트카 세븐에 사용된 섬유로 만들었고, 네온 튜브도 재활용할 수 있다. 또 플라즈마는 우주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인데 반응을 통해서 소리를 낼 수 있다는 걸 알게 됐고, 그 고유의 소리도 작품의 일부로 포함했다.
많은 소재 중에서도 플라즈마라는 소재를 선택한 이유가 궁금하다.
현대자동차에서 모빌리티, 쉘터, 지속가능성 등 큰 주제를 먼저 제안했고, 이에 맞는 작품을 구상하다 플라즈마에까지 이르렀다. 아이오닉 컨셉트카 세븐은 전기차로 아이오닉, 즉 이온은 전기적인 성질을 지닌 입자다. 플라즈마 역시 이온화된 기체인데 전기가 통할 수 있어서 이를 눈으로 보고, 소리로 들을 수 있게 해보고 싶었다. 우리 주변에는 에너지가 많지만 이를 보는 건 어렵지 않나. 전시에서는 이를 가시적으로 드러내고 싶었다.
모빌리티와의 연관성은 어떻게 찾았나?
60개의 네온 튜브는 끊임없이 흐르고 이동하고 움직인다. 또 거울에 반사돼서 계속 뻗어나가는 듯한 뱀 모양의 벤치에서도 생동감과 운동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런 부분에서 모빌리티를 표현하고자 했다.
쉰다는 것은 에너지를 다 내려놓는 것이 아닐까. 전시는 오히려 에너지를 보여준다.
정신적인 휴식과 신체적인 휴식이 있다고 생각한다. 움직이는 물을 가만히 보고 있으면 마음이 편해진다. 편안한 벤치에 원하는 대로 앉아서 빛의 움직임을 보고 있으면 몸도 마음도 충분히 휴식하는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2017년 밀라노에서 브랜드 코스 COS와 협업한 <뉴 스프링> 전시는 나무에서 나오는 버블을 관람색이 가까이에서 보고 만질 수 있었다. 몰입형, 체험형 전시를 선호하나?
어떤 형태로든 새로운 느낌을 계속 전달하고 싶다. 혁신을 통해 새로운 기술, 새로운 프로세스를 발견하고 이를 보는 이들에게 놀라움을 안겨주고 싶다.
해양 폐기물로 만든 시 체어 Sea Chair도 그렇고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물론이다. 전시 후에 버려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가능한 한 재사용하려고 한다. <뉴 스프링>에서 선보인 나무 형태는 모듈식이어서 해체했다가 다른 용도로 여섯 번 정도 재활용했다(웃음). 최소한의 재료로 최대의 효과를 내는 것이 목표다.
아티스트로서 감각을 유지하는 비법이 있다면?
호기심인 것 같다. 한 가지만 일관되게 작업하는 작가에 대해 존경심을 갖고 있지만 스튜디오 스와인은 그런 스타일과는 거리가 멀다. 매번 새로운 프로젝트를 하고자 하고, 그것이 가능한지 아닐지를 끈질기게 탐구한다. 우리가 해온 프로젝트를 보면 해양 쓰레기부터 알루미늄 캔, 아마존 정글, 버블 그리고 플라즈마까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 또 어떤 것에 관심이 생길지는 아직 모르겠다.
‘흐르는 들판 아래’를 보며 관람객이 느꼈으면 하는 것이 있는가?
우주와 생명체, 환경 등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기를. 또 경이로움을 찾을 수 있다면 좋겠다. 예술 작품과 교감하고 나면 좋은 감정을 갖게 되고, 이는 가까운 가족부터 주변으로 퍼져나간다고 믿는다. 우리의 작품이 선한 영향력으로 확대되기를 바란다.
신개념 모빌리티
아이오닉 컨셉트카 세븐 전시장 입구에는 녹색의 아이오닉 컨셉트카 ‘세븐’이 전시돼 있다. 자율주행 기능을 갖춘 세븐은 작은 쉼터나 라운지처럼 내부를 구성해 장시간 이동할 때도 쾌적하고 편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앞문과 뒷문이 마주보고 열리는 방식인 코치 도어를 적용해 넓은 개방감을 자랑하고, 좌석이 회전돼서 각자 원하는 방향에서 쉴 수도 있다. 근미래에는 차를 탄다는 개념 대신 신개념의 쉘터로 이동한다는 것이 더 자연스러워질지도 모르겠다.
100년간의 주거 환경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
아이오닉 컨셉트카 세븐을 둘러보고 다음 장소로 이동하면 <홈 스토리즈: 20개의 혁신적인 인테리어로 보는 100년의 역사> 전시가 이어진다. 우리가 살고 있는 주거 공간은 시대에 따라 당시의 사회나 경제, 기술 등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받으면서 변화해왔다.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은 시대를 역행하는 순서로 네 개의 인테리어 변화기를 대표하는 가구와 사진, 영상 자료 등을 엄선해 소개했다. 기능을 넘어 새로운 자산, 자원으로써의 목적을 지니게 된 2000년부터 현재까지의 집에서 시작해 인테리어의 대격변 시기였던 1960~80년대, 자연친화적인 것을 추구했던 1940~60년대, 실용적이고 산업적인 발전을 이룩한 1920~30년대로 이어진다. 비트라 디자인 뮤지엄의 총괄 큐레이터인 요헨 아이젠브랜드는 “이미 알고 있는 논리를 예측하지 않고 한 시대마다 집중하길 바랐기 때문에 시대 흐름을 역순으로 구성했다. 유명한 작품부터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는 작품을 적절히 배치했고, 영상물도 함께 감상하면 흥미로울 것이다. 특히 장식적인 요소가 강한 세실 비튼의 서커스 침대 그리고 전혀 다른 스타일인 ‘프랑크푸르트 키친’을 놓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스몰 주택의 표본인 건축 스튜디오 엘리이의 아파트 ‘요지겐 포케토’, 최근 다시 인기를 얻고 있는 멤피스 시대를 대표하는 책장 ‘칼톤’, <홈 스토리즈>의 포스터이기도 한 건축가 리나 보 바르디의 집 ‘카사 드 비드로’,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이끈 핀 율의 오리지널 ‘치프테인 체어’, 현대 시스템 주방의 효시인 ‘프랑크푸르트 키친’ 등 각 시기의 특징을 알아볼 수 있는 마스터피스를 보며 흐름에 따라 변화해온 주거 문화와 환경을 두루 살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