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비스의 새로운 주방

데비스의 새로운 주방

데비스의 새로운 주방

창덕궁 전각의 기와 지붕이 그림처럼 펼쳐지는 원서동 끝자락. 앤디앤뎁 윤원정 상무의 새로운 주방이자 일터, 비스트로 데비스가 문을 열었다.

 

마치 어느 가정집에 초대된 듯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데비스의 주방 모습.

 

2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김석원 대표와 함께 패션 브랜드 앤디앤뎁을 이끌어온 윤원정 상무. 하루아침에 유행이 변모하는 변화무쌍한 한국 패션계에서 묵묵히 걸어온 발자취는 그리 가볍지만은 않다. 현재 운영 중인 앤디앤뎁의 매장 수는 20여 곳. 패션 디자이너로 본업에 충실했던 윤원정 상무는 또 다른 자아인 ‘부캐’에도 누구보다 진심이었다. 1996년 미국에서 차린 부부의 신혼집은 늘 친구들로 북적는데, 식탁에는 언제나 그가 손수 만든 요리들이 올랐다. 20대 시절을 보낸 뉴욕에서 여러 나라의 음식을 접했고, 늘 새로운 맛과 풍미를 탐닉했다. 한국에 정착한 뒤 패션 위크 출장 차 찾은 파리 아파트먼트 숙소에서도 그는 꽤 오랫동안 부엌에서 시간을 보냈다. 그의 홈메이드 요리를 맛본 후배들은 #데비스키친이라는 해시태그를 달아 SNS에 업로드하기 시작했다. 맛깔스러운 음식과 어우러지는 근사한 테이블 세팅, 사람들은 그가 만든 음식과 그릇, 소품에 관심을 보였다. “어느 시점에는 제 SNS 피드가 온통 음식 사진뿐이더라고요(웃음). 몇 년 전에 어쩔 수 없이 새로운 계정(@debbieskitchen_official)을 만들어야 했어요. 주말에 집에서 만든 메뉴들의 레시피를 올리거나 쿠킹 팁을 공유하는데, 나중에서야 제가 패션 디자이너인 걸 알게 된 분들도 있어요.”

 

벽에 붙어 있는 나무 패널과 계단 등 1968년에 지은 양옥집의 내부 장식을 최대한 살렸다.

 

하나, 둘 쌓인 사진과 게시물은 그의 부캐를 더욱 단단하게 만들었다. 2016년 <메종> 5월 호에도 부부의 친구들인 패션 스타일리스트 한혜연과 김성일, 메이크업 아티스트 박태윤을 집으로 초대해 음식을 만들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모습이 소개되기도 했다. 그로부터 7년이 흐른 2023년 여름, 창덕궁 담장을 면한 창덕궁길에 브런치 비스트로 데비스를 오픈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이 공간은 원래 1968년에 지어진 양옥집이었어요. 쭉 주거용으로 사용하다 처음 매물로 나왔는데, 궁궐 뷰에 반해서 30분 만에 덜컥 계약을 해버렸어요. 그때까지만 해도 이곳을 앤디앤뎁의 오프라인 접점을 늘리고자 살롱처럼 활용할 계획이었는데, 볼수록 공간이 아깝더라고요. 더 많은 분이 이곳의 경치와 운치를 누렸으면 하는 바람에서 데비스 키친의 확장판을 생각하게 된 거죠.” 얼었던 땅이 녹기 시작할 무렵 시작된 공사는 5월 되어서야 마무리되었다. 리모델링 공사는 다운타우너, 노티드 등 다수의 식음 공간 프로젝트를 경험한 코발트 스튜디오가 맡았다. 그가 바랐던 리모델링의 방향은 총 세 가지였는데, 먼저 오래된 집의 정취를 잘 살려줄 것. 둘째, 라꼬르뉴 오븐이 있는 오픈 주방을 만들어줄 것. 셋째, 과거와 현재, 동양과 서양이 잘 어우러진 분위기일 것.

 

창덕궁 담장을 마주한 데비스의 이국적인 파사드.

 

“어슴푸레하게 해 질 무렵 이 길을 걷다 보니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가 떠오르는 거예요. 택시를 타면 1920년대 경성이나 1600년대 조선 시대로 갈 수 있을 것 같다는 느낌이었어요. 바깥 풍경이 굉장히 한국적이라 내부 공간만은 오래전 유럽에서 건너온 뉴욕의 비스트로 같은 분위기면 좋겠다 싶었죠.” 리모델링 과정에서는 벽과 타일, 소파 같은 소품 하나까지 섬세하게 그의 손이 닿았다. 1층의 벽은 바닐라 컬러의 벽에 청록색 벨벳 소파로 포인트를 주었고, 2층은 창 너머 보이는 창덕궁의 누각색에서 따온 민트 컬러로 벽을 칠했다. 기존에 있던 나무 소재 계단과 난간, 천장, 벽 패널, 문, 찬장 등 살릴 수 있는 요소는 최대한 살려 아늑한 집의 분위기를 더했다. 메뉴를 구성하는 일 또한 온전히 그의 몫이었다. 마치 패션쇼의 흐름을 짜듯 메뉴를 하나씩 잡아 나갔다. 레스토랑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레시피를 정량화하는 과정은 부산 달맞이고개에 자리한 프라이빗 레스토랑 차경의 조마리아 오너 셰프의 도움을 받았다.

 

 

“저희 집에 손님을 초대할 때 만들었던 메뉴들을 그대로 가지고 왔어요. 주로 브런치와 와인에 어울리는 안주들이죠. 화려한 맛은 아니지만 좋은 재료로 정직하게 만든 홈메이드 요리를 알아봐주시는 것 같아요. 집에서 쓰던 르크루제 냄비도 다 가지고 왔거든요(웃음). 앤디앤뎁의 집에 놀러 온 듯한 편안함을 느꼈으면 하는 바람이죠.” 시그니처 메뉴인 데비스 베네딕트는 가장 자신 있게 추천하는 음식. 좋은 달걀의 노른자와 버터만 넣어 전통 방식 그대로 만든 홀랜다이즈 소스를 곁들이는데, 한국에서는 소스가 너무 달거나 되직한 경우가 많아 직접 만들기 시작했다고. 그 외에도 루콜라와 페타 치즈, 오렌지의 조합이 돋보이는 시트러스 샐러드, 특제 드레싱과 파슬리 오일로 맛을 낸 광어 세비체, 카펠리니 면 위에 바질 마리네이드한 토마토를 가득 올린 콜드 파스타 등 샴페인, 와인과 곁들이기 좋은 다양한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한국도자기와 협업한 데비스 로고 그릇은 화려한 패턴과 색감이 다이닝의 흥취를 한층 돋운다.

 

동양과 서양의 조화가 느껴지는 2층 전경. 민트 컬러 벽은 창덕궁의 누각색에서 따온 것이다.

 

“판매 문의가 생각보다 많아서 주방 앞에 디스플레이 존을 따로 마련했어요. 앞으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제품을 이곳에서 소개하는 섹션으로 운영하려고 해요. 앤디앤뎁 닷컴에서 데비스 큐레이션이라는 프로젝트로 리빙 소품이나 올리브유, 발사믹 비니거 등을 판매했던 경험이 있거든요. 제가 추천하는 제품에 호응하고 관심 보이는 분이 많다는 사실이 굉장히 신기하더라고요. 데비스를 통해 패션 디자이너를 넘어 라이프스타일 큐레이터로 새롭게 성장해보고 싶은 마음이에요.” 이제 갓 오픈 3개월 차를 맞이한 새내기 윤원정 대표의 평온했던 일상은 매일 주방을 쉴 새 없이 오가는 하루로 변했지만, 그의 삶에는 되레 활력이 생겼다. 1999년 앤디앤뎁의 첫 압구정동 부티크에서 손님들에게 느꼈던 설렘과 희열, 보람이 다시금 되살아났기 때문이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태준

TAGS
정성으로 만든 달콤한 선물

정성으로 만든 달콤한 선물

정성으로 만든 달콤한 선물

 

구 옛날 과자, 현 K-디저트로 불리는 한국의 전통 과자가 프리미엄 선물로 각광받고 있다. 소중한 사람에게 다가오는 추석을 빌려 감사한 마음을 전해보자.

 

 

골든피스
지난 5월,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에 프리미엄 약과 브랜드 골든피스가 문을 열었다. 한국어로 금쪽, 아주 귀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참깨, 흑임자, 쑥 등 친숙한 재료로 만든 찹쌀 약과 세트는 쫀득한 식감을 자랑하고 초코, 라즈베리, 치즈 등 독특한 재료로 만든 개성 약과는 켜가 살아 있는 파삭한 식감이 특징이다. 벌써 예약이 꽉차 간다고 하니 서둘러야겠다.
INSTAGRAM @goldenpiece_korea

 

 

연경당
창덕궁의 목조 건물 ‘연경당 演慶堂’의 이름을 가져와 경사를 널리 퍼트린다는 의미를 담아 한과를 만드는 연경당. 흑임자로 만든 작은 다식 위에 청포 가루로 한 땀 한 땀 수놓듯 장식을 올렸다.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 등 한 폭의 동양화를 보듯 고아한 꽃다식이다. 화학 첨가물과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만든 프리미엄 디저트로 답례품이나 선물용으로 제격이다.
INSTAGRAM @yeongyeong_dang

종종백화
사계절의 맛과 멋을 표현하는 다과 브랜드 종종백화가 가을을 맞아 찹쌀말이와 찹쌀 모나카를 내놓았다. 찹쌀말이는 꿀 반죽으로 만든 구움과자로 쫀득한 찹쌀을 폭신한 반죽으로 말아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을 자랑한다. 반면 찹쌀 모나카는 바삭한 식감으로 팥알이 살아 있는 소와 찹쌀피가 조화로워 차를 마실 때 더욱 달콤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씁쓸한 차와 함께 가을의 풍미를 즐겨보자. INSTAGRAM @jongjongbaekhwa

 

 

 

CREDIT

에디터

TAGS
건축이 아름다운 카페

건축이 아름다운 카페

건축이 아름다운 카페

카페의 완성이 커피 맛이라면, 공간의 완성은 아름다운 건축이다.
맛있는 건축 경험을 누릴 수 있는 카페를 모았다.

삶의 세 번째 공간, 공간태리

오늘날 삶에는 꼭 필요한 공간이 있다. 첫 번째는 ‘집’이 있고, 두 번째로 ‘일터’가 있다면, 세 번째로는 커뮤니티 공간이다. 휴식과 일이 아닌,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대화하고 관계를 맺는 공간. 카페 공간태리는 커피 한잔으로 연결되는 교류의 가치를 담은 곳이다. 대전 계룡산 자락 아래 위치한 이곳은 마주 보는 두 개의 건물이 하나로 연결된 듯 이어지는 디자인이 특징이다. 마치 종이를 말아 쥔 듯 벽과 바닥의 경계가 사라진 형태로 산과 하늘을 품은 둥지처럼 느껴진다. 건물 사잇길 끝에는 계룡산으로 오르는 산책로가 있다. 건물을 짓기 전부터 수많은 사람이 오갔던 산책길이다. 나은중 건축가는 이 자리에 들어설 건물이 산책로를 가로막기보다 자연스럽게 이어지길 원했다. 일상과 자연이 연결되는 교차점에 건물이 서 있지만 지금까지 이어졌던 동선이 자연스레 흐를 수 있게 배려한 것이다. 흘러내리는 벽은 내부에서도 연속되어 계단식 공간을 형성했고, 계단에 앉아 창밖을 바라볼 수 있게 설계했다. 공간태리는 사람과 사람, 건축과 자연을 연결하는 상징으로 기능한다.
ADD 대전시 유성구 수통골로 9 INSTAGRAM @o.ganteri.official

 

비워진 나를 채우는 곳, 묵리459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묵리459에 소재한 카페 묵리459는 지명을 그대로 이름으로 가져왔다. 예부터 먹을 만들었던 곳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고자 했던 옛 선인의 마음을 생각하며, 한 폭의 수묵화를 그리는 정성으로 지은 건물이다. 연면적 396㎡ 규모의 브런치 카페로, 건물 한 동은 식음 공간으로 만들었고, 나머지 한 동은 묵리의 자연을 온전히 느낄 수 있는 쉼의 공간으로 구성했다. 입구는 물론 공간 전체가 먹색으로 어둡게 채색되어 있는데, 문을 열고 들어설 때 자신을 덮치는 낯선 어둠이 차차 편안함으로 다가오는 이색적인 경험을 의도했다. 힘든 일상에서 벗어나 나를 비워내는 시간이 되길 바라며 ‘비움의 공간’으로 명명하고, 가구나 오브제 대신 사람들의 경험으로 공간이 채워지길 바라며 장식을 최소화했다. 명상적인 이 공간에서는 자연을 잠시 빌린다는 겸허한 자세로 사계절의 빛을 만끽할 수 있다. 여름에는 푸른빛이, 가을에는 형형색색의 빛이 비워진 공간과 나를 다시 채워주는 것이다.
ADD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묵리459 INSTAGRAM @mukri459_official

 

생경하고 낯선 경험, 문화비축기지

앞세대의 흔적을 통해 새로운 이야기를 써내려 가는 장소가 있다. 과거 석유비축기지로 사용했던 곳을 새롭게 탈바꿈한 문화비축기지가 그곳이다. 다섯 개의 오일 탱크에 가득 찼던 석유는 이제 비워지고 사람들이 향유할 수 있는 문화와 예술로 가득 채워졌다. 서울 마포구, 하늘 높게 솟은 직사각형의 건물 사이로 납작한 원통형의 탱크 다섯 개가 놓여 있다. 1번 탱크는 기존 외장재를 들어내고 유리를 둘렀다. 탱크를 둘러싼 암벽과 하늘이 공간을 가득 메우고 있다. 2번 탱크는 옹벽을 무대로 야외 공연장이 들어섰고, 3번 탱크는 원형 그대로 존치했다. 미래를 위한 유보 영역으로 자연과 동화되어 가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4번 탱크는 기획 전시장으로, 5번 탱크는 상설 전시장으로 사용한다. 카페 공간인 6번 탱크는 1번 탱크의 내장재와 2번 탱크의 외장재로 만들었다. 사람들은 이곳에서 익숙하지 않은, 전혀 다른 모습에 압도되는 건축을 경험하는 동시에 아늑한 휴식을 즐길 수 있다.
ADD 서울시 마포구 증산로 87 INSTAGRAM @culturetank

 

흙과 태양이 만든 풍경, 디스케이프

꿈의 풍경(Dream of Escape)을 뜻하는 495㎡ 규모의 카페 디스케이프는 건축주가 그린 한 장의 그림을 재해석해 만들었다. 평면 위에 그려진 선과 면을 삼차원의 공간으로 입체화하는 과정에서 이곳이 그림처럼 누군가의 낙원이 되길 바랐다. 인적이 드문 오래된 기찻길 옆, 파란 하늘과 선명하게 대비되는 붉은 땅에 주목했고, 그 땅은 매끄럽고 반듯한 붉은색 건물로 이어졌다. 벽의 질감에선 흙처럼 거칠지만 따뜻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실내로 이어지는 붉은 벽은 높고 긴 창에서 들어오는 빛으로 밝게 물들고, 빛은 마치 형광펜으로 그은 듯 선명하게 새겨진다. 해가 진 밤에도 최소한의 조도를 유지해 흙과 태양빛의 온화한 기운을 오롯이 담고자 했다. 현실과 동떨어진 생경한 공간, 디스케이프는 일상에서 벗어나 낙원을 갈망했던 꿈의 풍경이다.
ADD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장길 97 INSTAGRAM @dscape_thecafe

 

자연과 뒤섞인 놀이, 논스페이스

 땅은 다양한 기억을 가지고 있다. 이천은 과거 가장 먼저 모내기를 하고 가장 먼저 쌀을 수확하는 곳으로 유명했지만, 지금은 고령화와 인구 유실로 그 명성을 잃었다. 유창길 건축가는 이런 옛 기억을 복원하는 건축을 설계했다. 논길의 수로처럼 벽으로 조직된 건물, 벽돌로 직조된 공간 사이사이 비어 있는 곳은 나무와 들, 물과 하늘로 채웠다. 실내와 실외, 사람과 자연이 같은 건물에서 숨 쉬는 것이다. 블록을 쌓은 듯한 독특한 건물 형태는 논과 산의 높낮이처럼 자연스러운 자연의 흐름을 반영한 결과다. 내부도 과거의 기억을 환기시키는 볏짚 콘크리트로 마감했다. 볏짚과 노출 콘크리트가 뒤섞인 천장은 자연적이면서도 미래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분절된 각각의 공간에서 마음껏 자연을 누리면서 전시와 콘서트, 클래스와 팝업 스토어를 함께 즐길 수 있다.
ADD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동산로395번길 139-12 INSTAGRAM @nonspace_2000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