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절하기 일보 직전의 팬덤을 몰고 다니는 아이돌 그룹 ‘빅뱅’을, 그리고 탑을 잠시 잊자. 싱가포르 아트 위크 중 3박4일간 <메종>은 현대미술과 디자인 가구, 나아가 예술을 사랑하는 탑 그리고 최승현과 함께했다.
지난 1월 17일부터 25일까지 싱가포르에서는 올해로 3회째를 맞이하는 국제적인 아트 페어 ‘싱가포르 아트 위크’가 열렸다.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 컨벤션 센터를 중심으로 싱가포르 전역에 포진한 미술관에서 열리는 이 행사는 국내 갤러리들도 참여할 만큼 아시아의 현대미술 시장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중요한 행사로 급부상했다. 탑이 이곳을 방문한 것도 영국의 사치 Saatchi 갤러리와 푸르덴셜 생명, 패러럴 미디어 그룹이 주관하고 아시아의 신진 작가들을 발굴하고 후원하는 시상식인 ‘제2회 푸르덴셜 아이 어워즈’에서 비주얼 컬처 어워드 부문을 수상하기 위해서였다.
↑ 싱가포르에서의 일정 중 하나였던 아트 스테이지 참관. 부스를 꼼꼼히 돌아보며 마음에 드는 작품을 체크하고 감상하는 시간도 가졌다. 부스에서 만난 그림 속 여인이 반대편으로 걸어가고 있는 탑과 오버랩된다.
↑ 위 싱가포르 아트 뮤지엄에서 만난 ‘빅뱅’ 같은 작품. 태국 작가 아린 렁장의 ‘골드 티어 드롭’ 앞에 선 탑. 아래 수잔 빅터의 임프린트 전시가 진행 중인 STPI 갤러리. 탑은 디렉터 에미 이우로부터 앨범 작업에 필요한 다양한 프린트 기법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디자인과 인테리어 관계자들의 입소문 속에서 탑은 80여 점의 의자를 수집한 컬렉터였고 디자인 가구로 무장한 집의 세대주였다. 전문가의 식견이 감지되는 디자인 가구를 뮤직비디오에 등장시키기도 할 만큼 깊은 이해와 애정은 어디에서 온 것일까? “스무 살 초반부터 디자인 가구를 모으기 시작했어요. 초창기에는 마크 뉴슨이나 론 아라드의 디자인처럼 유기적인 옷을 입은 모던한 디자인을 좋아했는데, 해가 거듭될수록 샬롯 페리앙이나 장 푸르베, 이코 파라시, 지오 폰티처럼 시대를 초월해 사랑받는 빈티지 가구에 관심을 갖게 됐어요.”
빠르게 바뀌는 유행의 홍수 속에서 스스로 작품 같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 탑에게 미술과 디자인 가구는 영감을 주는 대상이자 유일한 스트레스 탈출구였다. 예술은 인간의 감성과 세상을 바라보는 색다른 시각을 볼 수 있는 창구 역할을 해준다는 사실을 일찌감치 깨달은 것 같다. 탑에게 미술과 디자인은 삶과 음악을 지탱해주는 힘이었다. 대화를 나누다가도 가구와 디자인에 관한 이야기만 나오면 강렬하게 빛나는 눈빛에서 그 열정을 실감할 수 있었다. “만약 1백원을 벌면 90원은 가구와 미술 작품을 구입해요. 어느 순간 일과 생활에 설렘이 없어진 후 시작된 습관인데 저의 모든 것이 송두리째 들어가 있을 만큼 삶을 이끌어가는 절실한 수단이기 때문이에요.”
1 신비로운 영상 작품 앞에서 사뭇 진지해진 모습. 2 일본 작가 코헤이 나와와 프리랜스 큐레이터 이영주 씨가 동행한 싱가포르 여정. 3 마음에 드는 작품 앞에서 신중히 고민하고 있다. 4 STPI 갤러리의 소장 작품을 감상하고 있다. 5 최우람 작가의 키네틱 아트 작품 ‘쿠스토스 카붐’. 6 아트앤사이언스 뮤지엄에 전시된 코헤이 나와의 사슴 시리즈 작품을 둘러보고 있다.
탑은 좋아하는 가구나 작품은 상전처럼 모시기보다는 생활하며 직접 써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의 집을 훑고 싶다는 욕망이 여기저기서 심심치 않게 들릴 정도로 멋진 집이라는 소문의 실체가 궁금했던 건 나 역시 마찬가지. 집 인테리어에 관해 묻자, “아끼는 의자 중 하나는 알레산드로 멘디니가 디자인한 1970년대 빈티지 프로스트 체어예요. 색색의 원단을 입힌 의자가 아니라 직접 채색한 의자를 가지고 있는데 하얀색으로 비워져 있는 벽 앞에 두니 하나가 작품 같은 공간이 만들어졌어요. 주방에는 장 프루베 테이블 위에 무라노 샹들리에를 달았어요. 주변에는 일본 작가 코헤이 나와가 만들어준 조각 작품과 직접 와서 벽에 그려준 그림 작품들도 있고요.” 그는 집을 꾸미는 자신만의 노하우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가죽 소파 주변에는 철, 돌, 나무, 패브릭 소재가 섞여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소재에는 저마다의 기운이 있는데 이런 요소들이 하나로 합쳐졌을 때 공간이 좋은 기운으로 채워지는 것 같거든요.” 그동안 모아온 가구와 미술품들은 탑의 디렉팅 아래 입장과 퇴장을 반복하며 새로운 공간 레이아웃의 주인공이 되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