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용의 공간

포용의 공간

포용의 공간
클래식, 모던, 빈티지 등 다양한 스타일이 모노톤으로 통일감을 이루며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는 집.

  강렬한 색채와 과감한 시도로 패션 브랜드의 쇼룸 인테리어를 담당해온 바운더리 디자인의 홍혜진 실장. 얼마 전 한남동으로 이사했다는 소식을 듣고 그녀의 집을 찾았는데 절제된 색감에 차분한 분위기가 예상 밖이었다. 단조로울 것 같지만 찬찬히 들여다보면 개성 강한 소품들이 눈에 띄었다. 또 클래식, 인더스트리얼, 모던에 키치한 스타일까지 다양하지만 의외로 잘 어우러지는 모습에 놀랐다. “작업할 때는 화려한 색감을 자주 쓰지만 원래는 어두운 톤을 좋아해요. 제 취향은 한 가지 스타일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잡다한 것에 관심이 많죠. 다만 여성적인 느낌이 드는 프로방스풍이나 거친 느낌이 드는 핸드메이드 제품은 피했어요. 세련되고 시크한 느낌을 내고 싶었거든요.” 또 그녀는 요즘 인테리어에 관심 있는 이들이라면 누구나 집에 하나쯤 가져다 놓는 북유럽 디자인의 가구와 소품은 피했다. 검정과 흰색으로 치장했지만 전형적인 느낌이 들지 않는 이유다. “한남동에 사무실이 있는데 이사할 즈음이 되어 근처로 오게 되었죠. 지은 지 10년 정도 된 69m² 크기의 빌라인데 양쪽에 베란다도 있어 함께 지내는 반려묘 달이와 지내기에 제격이에요.” 홍혜진 실장은 인테리어 업종에 몸담고 있는 만큼 사는 집을 항상 손보고 들어왔는데 이번에는 결혼하기 전에 마음껏 해보자 싶어 한껏 자신의 취향대로 꾸몄다. 안방과 서재의 바닥재를 검은색 마루로 선택하고 걸레받이 몰딩과 천장 몰딩, 문과 창호를 모두 같은 색으로 맞춘 것. 하얗게 칠한 벽과 천장이 극명하게 대비되면서 그래픽적인 인상을 주었다. “직선의 각을 맞추는 것에 예민한 편인데 몰딩과 문 색깔이 통일되지 않으면 공간이 정돈되어 보이지 않더라고요. 전에 살던 집은 몰딩과 문, 창호를 모두 회색으로 칠했더니 붕 뜨는 느낌이 들어서 이번에는 무게감 있는 검정으로 골랐죠.” 그녀는 가구와 소품을 고를 때 브랜드를 따지기보다는 얼마나 끌리느냐에 따라 결정하고 저가와 고가 제품을 적절히 섞어 멋을 낸다. 욕실 앞에 둔 화장대는 방콕에 살 때 구입한 이케아 제품으로 본래는 주방에서 쓰는 철제 팬트리라고. 온라인으로 저렴하게 구입한 원형 식탁은 색상이 마음에 들지 않아 검은색으로 칠해 사용하고 있다. 조명은 더욱 고심해서 고르는 편. 식탁 위에 설치한 펜던트 조명은 한 달 전 일본으로 출장을 갔다가 도쿄의 빈티지 거리인 메구로 지역에서 구입했고, 서재의 천장 등은 진짜 공장에서 쓰는 산업 등으로 2년 전쯤 부산에 있는 조명 공장에서 공수해온 것이다. 그녀의 집은 다른 가구와 소품의 색상을 절제했기에 약간의 색채만 더해도 유독 강렬해 보였다. 키티버니포니에서 구입한 커튼 옆에는 비슷한 색상의 그림을 놓아 거실에 포인트를 주었고, 서재에는 친하게 지내는 그래픽디자인 스튜디오 CMYK의 멤버들이 생일 선물로 주었다는 그림을 두었는데 대범한 터치와 색상이 주목도를 높인다. 온통 검정과 흰색이라면 부족하거나 허전한 느낌이 들 법하지만 여러 가지 요소가 적절히 버무려지며 그녀만의 공간이 완성되었다.    

 

주방 | 타일을 붙이는 게 번거로워 벽면 전체에 스레인리스스틸 판을 부착했다. 또 기존 주방 가구를 그대로 써야 해서 수납장을 회색으로 칠하고 손잡이를 교체했다. 원형 식탁은 저렴하게 구입했는데 색상이 마음에 들지 않아 까만색으로 칠했다.

   

 

1 안방 | 퀸 사이즈 침대 하나로 꽉 들어찬 안방. 바닥과 침대 프레임은 검정, 벽과 천장, 침구색이 모두 흰색으로 단순화시켜 좁거나 복잡한 느낌이 들지 않는다.

2 거실 | 거실을 자유로이 누비는 달이는 6년 전 데려온 길고양이다. 고양이마저 검은색과 흰색이라는 것은 공교롭다.

   

 

서재 | 홍혜진 실장이 집에서 작업을 하는 공간. 선반과 수납함은 검정으로 통일해 산만함을 없앴다.

   

 

1 거실 | 키티버니포니에서 구입한 화려한 커튼이 어두운 톤 일색인 거실을 화사하게 만들어준다.

2 침실 | 한눈에 반해 구입했다는 사이드 테이블과 포르나세티의 세라믹 수납함이 모노톤의 공간에 위트를 준다.

   

*<메종> 홈페이지 내의 오픈하우스 게시판에 독자 여러분의 감각으로 꾸민 집을 자랑해주세요. 채택된 집은 <메종>에 소개해 드립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안종환
TAGS
꼭대기 층의 남자

꼭대기 층의 남자

꼭대기 층의 남자
자재가 훌륭하면 그것만으로도 멋진 인테리어가 될 수 있다. 30대 중반 싱글남이 꿈꾸던 펜트하우스는 그렇게 완성되었다.

  매운 카레로 유명한 아비꼬로 시작해 일본식 우동 전문점 카네마야제면소, 사바스시 전문점 하꼬쥬 등으로 브랜드를 확장하며 30대 중반의 젊은 나이에 성공한 사업가인 쿠산코리아의 최재석 대표. 그가 <메종>과 인연을 맺게 된 건 2010년, 서교동에 있는 사무실을 공개하면서다. 그가 4달 전 마포에 있는 109m² 규모의 아파트로 이사했다는 이야기를 전했고 반가운 마음에 그의 집을 찾았다. “한강을 조망할 수 있는 곳을 찾고 있었어요. 이 집은 베란다가 널찍해서 좋았는데 가족, 친구들과 바비큐도 해 먹고 식물도 키울 수 있겠다 싶어서 마음에 들었죠. 이곳에서 벌어질 재미난 일들이 자연스레 떠오르니 다른 곳은 더 볼 필요도 없었어요.” 12살 된 반려견 쮸비와 함께 지내는 그는 오래전부터 희망해온 펜트하우스를 계약하고 이 일이 새로운 도약을 할 수 있는 삶의 전환점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알맞게 집을 고치기로 했다. 그리고 6년간 쿠산코리아의 프랜차이즈 매장 인테리어를 도맡아온 숨엘리먼트에 레노베이션을 부탁했다. “오랜 시간 호흡을 맞춰오면서 제 취향을 잘 알고 있었어요. 숨엘리먼트의 서일영 대표는 아주 꼼꼼하고 사후 관리도 확실히 챙겨주는 분이어서 믿고 맡겼죠.” 서 대표는 깔끔하면서도 고급스러운 것을 좋아하는 집주인의 취향을 반영해 좋은 자재들로 바닥과 벽 등을 채워 나갔다. 무엇보다 눈길을 끈 건 복도와 거실, 안방까지 이어지는 원목 바닥재. 한창 인기를 끌었던 헤링본 대신 백화점이나 고급 매장에 종종 시공되는 애로 Arrow 공법을 적용했고 화살촉 모양이 공간에 재미를 주면서 길어 보이는 효과까지 노렸다. 오크 원목 소재라서 발에 닿았을 때 촉감이 부드럽고 내구성이 좋아 생활하며 생기는 흠집에도 강하다는 장점도 있다. “저는 평범한 것보다는 인테리어에 독특한 요소를 더하는 것을 좋아해요. 가령 저희 사무실의 경우, 휠체어로 사무용 의자를 대신하고 천장에는 수술용 전등을 달아놓는 등 파격적인 시도도 즐겨 하죠. 이 집에도 곳곳에 재미를 주려고 했어요. 가장 대표적인 게 거실 천장이죠.” 본래 우물천장이었던 곳을 트고 비스듬한 삼각형 모양으로 마감해 독특하게 만들었는데 처음에는 많은 기대를 하지 않았던 최 대표도 지금은 이 천장 모양에 만족스러워한다며 서일영 대표가 설명했다. 베란다 두 곳 중 한 곳은 주방과 이어지도록 확장하고 다이닝 공간으로 꾸몄다. 원형 식탁 위에는 세덱에서 구입한 커다란 샹들리에를 달고 천장에는 작은 유리창을 만들어 커튼을 치더라도 은근히 빛이 새어 들어오도록 한 점도 흥미로웠다. 최 대표는 작은 소품들로 집 안을 꽉 채우기보다는 눈에 띄는 몇 가지 아이템으로 공간에 힘을 주었다. 거실 천장에 있는 린지 아델만의 조명은 언젠가 이사를 가면 꼭 달고야 말겠다고 다짐했던 제품. 소파 옆에 둔 버터플라이 체어도 그의 위시 리스트였다. “결혼을 하면 가구를 새로 사야지 하며 한 해 두 해 미뤘는데 마음에 드는 물건이 많아져서 더 이상 기다릴 수가 없겠더라고요.” 지금 사는 모습이 행복해야 앞으로도 충만해질 수 있기 때문에 그동안 견디고 써온 낡은 가구를 정리하고 새 가구들로 삶을 다시 채워 나가는 그였다.    

 

주방 | 모노톤으로 단정하게  연출했고 벽면에 수납장을 짜 넣어 깔끔하게 정리했다. 아일랜드 식탁은 필요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달았다. 

   

 

1 다이닝룸 | 베란다를 확장해 만든 공간. 벽면에 붙인 수입 타일이 볼륨감 있는 조명과 검은색 의자 등 무거운 색과 멋스럽게 어우러진다.

2 욕실 | 전면을 직사각형 타일로 마감한 욕실. 거울과 수납장, 수건걸이까지 모두 타일 선에 맞춰놓은 것에서 집주인의 꼼꼼한 성격을 엿볼 수 있다.

   

 

침실 | 미닫이문을 열면 침실과 거실이 이어지므로 확장된 느낌을 주기 위해 침실도 거실과 같은 바닥재를 사용했다.

   

 

서재 | 컴퓨터를 하고 빔프로젝터로 영화도 보는 공간. 책상 앞에 둔 휠체어는 주문한 의자가 올 때까지 숨엘리먼트에서 잠시 빌려준 것이다.

   

 

베란다 | 침실과 이어지는 베란다에서는 하나둘 모아온 식물을 키우고 있다. 집주인 최재석 대표는 여기서 가족, 친구들과 바비큐 파티를 즐기곤 한다.

   

 

*<메종> 홈페이지 내의 오픈하우스 게시판에 독자 여러분의 감각으로 꾸민 집을 자랑해주세요. 채택된 집은 <메종>에 실어드립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박상국
TAGS
스타일의 귀재

스타일의 귀재

스타일의 귀재
음악에는 절대음감이 있지만 인테리어 데커레이션에는 궁극의 취향이란 것이 없다. 이 사실에 대한 완벽한 예증이 바로 메르시의 예술 감독 다니엘 로젠스트로크다. 파리 16구에 위치한 그의 아파트가 그에 대한 표본이다.

  메르시 Merci의 예술 감독으로 다니엘 로젠스트로크 Daniel Rozensztroch는 늘 트렌드의 중심에 있지만 그는 대중 속에 융합되지 않는 기술을 연마하고 있다. 심미주의자인 그는 사생활에서도 유행을 따르기보다는 본능에 충실한 것을 선호한다. 4년 전 그가 바스티유 Bastille 경영자가 살았던 집인 호텔 파티큘리 Hotel Particulier의 현관에 들어섰을 때 그의 눈을 사로잡은 것은 오래된 석재가 아니라 화재로 훼손된 건물 옆면을 대체하기 위해 건축가 에펠이 1970년 프랑스식 정원에 건립한 건물이었다. “제가 참 좋아했던 아파트에서 30년을 살고 나니 새로운 계획이 필요했고 걸어 다니면서 뭐든지 할 수 있는 공간을 원했습니다. 저의 생활 방식에 초점을 두고 모든 것을 선택했죠. 그래서 저에게 맞는 로프트를 만들었습니다. 거실을 아주 크게 만든 것은 손님이 많이 오기 때문이지만 손님용 침실은 없습니다. 호텔에서 묵는 것처럼 살고 싶었거든요”라고 말하며 그가 웃었다. 다니엘은 매우 친한 건축가 발레리 마제라에게 개방형 욕실과 거대한 옷 방, 그리고 중간 높이의 벽 뒤로 감춰진 안락한 방을 설계해줄 것을 부탁했다. “공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시각적인 단절 없이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오갈 수 있기를 바랐어요.” 스스로를 완벽주의자이고 약간은 강박주의자라고 말하는 다니엘은 소파만큼이나 스위치, 수도꼭지를 고를 때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이 새로운 공간은 그에게 기폭제 역할을 하기도 했다. “제 자신이 정리하는 일에서는 구제불능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수집에는 열정이 있지만 그동안 수집한 물건에 깔릴 지경이었으니까요. 공사는 시간이 걸렸고 그 오랜 기간 동안 친구의 집에 머물면서 유랑 생활을 했어요. 그러면서 모든 물건에서 벗어나길 바랐죠. 이삿짐 운송업자들이 거실에 수십 개의 박스를 가져다 놓는 것을 보며 새로운 출발을 할 때가 되었다고 느꼈습니다.” 다니엘은 평생을 모아온 물건의 상당 부분을 팔아버렸지만 과거를 청산하겠다는 의미는 아니었다. “현재의 취향에 포커스를 맞추기로 했어요. 그래서 가장 멋지고 감동적인 물건들을 보관하고 있어요. 지금 이곳에 놓이기 전에 지하실에 수년간 처박혀 있었던, 부모님께 물려받은 희귀한 램프인 사비노 Sabino 같은 것들 말이에요.” 금속 수납장으로 분리된 주방에서 거실까지는 그의 시크한 취향이 묻어나는 수집품을 볼 수 있다. “수년째 수집하고 있는 이 18세기 유리 제품을 진열장 안에 가둬두지 않고 매일 사용합니다. 깨질 수도 있지만 그래도 할 수 없죠.” 그는 눈요기를 위해 쓰임새가 여전한 물건의 사용을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곳에서 제가 매우 행복하다는 사실이에요.”    

옛 기차의 바닥을 활용한 나무 바닥은 본래 상태가 그대로 보존되었다. 금속 수납장 뒷면은 다니엘이 받은 초대장과 엽서를 꽂아놓는 메모판으로 사용하고 있다. 제롬 르페 Jerome Lepert에서 수집한 주철과 알루미늄으로 만든 전등과 책장, 산화 금속 계단은 모두 발레리 마제라 Valerie Mazerat가 디자인했고, 벽 쪽에 놓은 조각은 에릭 슈미트 Eric Schmitt의 작품이다.

   

주방과 식당을 구분하는 금속 캐비닛은 제롬 르페에서 발견한 것. 수납장과 차고 가구, 나폴레옹 3세 시대의 금속 진열장, 닥터 캐비닛 등은 메르시에서 바겐세일때 구입하거나 골동품 상점을 돌아다니며 공수했다. 중국 빈티지 의자는 에트모스피어 다이에르 Atmosphere D’ailleurs에서 구입. 천장에 매달아놓은 전등은 도미니크 페로 Dominique Perrault 제품이고, 나무 좌판 위에 금속판을 올린 테이블은 파올라 나보네 Paola Navone가 시제품으로 만든 것이다. 테이블 주변에는 마티유 마테코트 Mathieu Mategot가 디자인한 톨릭스 Tolix 의자가 있다.

   

거실에는 파올라 나보네가 디자인한 고스트 소파를 놓았고 이탈리아에서 구입한 카라라 아카데미 Academie de Carrare 소속 조각가의 작업 받침대를 탁자로 사용하고 있다. 탁자에는 사부아 Savoie 지방의 나무 술 단지 컬렉션을 올려놓았고 왼쪽에는 검은색 도자기 스툴을 두었다. 아래에는 베르베르산 양모 카펫을 깔고 앞에는 붉은 천으로 덮어 씌운 빈티지 안락의자로 포인트를 주었다. 벽면에는 이사무 노구치 Isamu Nogushi가 디자인한 플로어 조명을, 그 옆으로는 19세기 산업용 철제 캐비닛과 1950년대 금속 의자를 두었다. 캐비닛 위에 놓은 사비노 조명은 부모님의 유산으로 희귀 제품이다.

     

왼쪽부터 나폴레옹 3세 시대의 마네킹과 19세기 부리망, 11세기 중국 랴오허 Liao 지방의 도기들, 1970년대 잉고 마우러 Ingo Maurer 조명과 19세기 중국 꽃병이 한데 어우러져 있다. 금속 벽면 뒤쪽에는 작은 방이 있다. 리넨 침구는 메르시 제품이며 그 주변으로는 고풍스러운 분위기의 램프 그라 Lampe Gras 스탠드 조명, 브리옹 베가 Brion Vega의 빈티지 라디오, 금속과 튀니지산 종려나무로 만든 소가구를 놓았다. 창가 쪽에는 임스 Eames 흔들의자를 배치했고 유리창 앞에는 17세기 스페인 목각 인형 2개를 두었다. 벽에 걸어놓은 그림은 루이스 파란스 Louis Parrans가 1930년대에 그린 것이다. 문이 없는 큰 옷 방에는 가방을 나란히 놓았고 셔츠는 색깔별로 정리했다. 금속 바구니들은 1930~50년대 미국 수영장에서 사용했던 것. 세탁물 가방은 수루아 Suroy 제품이고, 거울은 라 흐두트 La Redoute 제품이다. 부모님의 유품인 모세 조각상은 철제 가구 사이에 놓았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제롬 갈랑 Jerome Galland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