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ISTIAN DIOR IN HIS EDEN

CHRISTIAN DIOR IN HIS EDEN

CHRISTIAN DIOR IN HIS EDEN
프랑스 남부의 작은 마을 그라스 Grasse 근처에 있는 성 ‘샤토 드 라 콜 누아르 Chateau de la Colle noire’ 성과 정원. 크리스찬 디올이 정말 사랑했던 이곳을 디올 퍼퓸 Dior Parfums이 충실히 복원했다. 그리고 디올의 조향사 프랑수아 드마쉬 Francois Demachy가 이곳에서 영감을 얻어 새로운 향수 ‘라 콜 누아르’를 선보였다. 이 향수는 크리스찬 디올이 열정적으로 가꾼 ‘로즈 드 메’에 바치는 서정시다.


 

   


하나의 보석 같은 작은 거실. 크리스찬 디올은 이 집에 네오프로방스 스타일을 담아내길 원했다. 클래식한 안락의자와 웨지우드풍의 도자 화분 등 18세기 스타일부터 주름 장식의 작은 가구로 꾸민 로맨틱한 인테리어까지 그의 취향을 엿볼 수 있다. 천장에는 유리를 입으로 부는 블로잉 기법으로 만든 화려한 무라노 샹들리에가 달려 있다. 

   


팔각형 현관 홀에 만들어진 완벽한 대칭. 바닥을 장식한 자갈 모자이크는 프로방스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크리스찬 디올이 직접 디자인한 것이다. 나침반 모티프는 그가 어린 시절을 보냈던 그랑빌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다. 

   


1 크리스찬 디올은 나폴레옹 1세 스타일로 꾸민 서재에서 주로 일했다. 2 대리석 욕조가 있는 욕실. 크리스찬 디올은 목욕하면서 디자인하는 것을 좋아했다. 3 18m에 이르는 큰 거실은 크리스찬 디올이 직접 장식했다. 그는 특히 마음에 들어했던 루이 16세 시대의 콘솔 두 개의 위치를 미리 정해놓고 나머지 가구들을 배치했다. 4 큰 거실의 벽난로 위에 놓인 영감을 주는 오브제들. 천장에 달린 샹들리에는 ‘디오리시모 Diorissimo’ 향수병 디자인에 영감을 주었다. 

 

 

크리스찬 디올은 그의 자서전에 이렇게 기록했다. “이곳은 나의 진짜 집이었다고 말하고 싶다. 신이 내게 장수를 허락하신다면 은퇴해 머물 수 있는 곳이고, 할 수만 있다면 이곳에서 내 존재의 버클을 걸어 잠글 것이다.” 그의 이런 바람이 전부 이루어지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그가 몽토루 Montauroux에 있는 ‘라 콜 누아르’를 얻은 1951년부터 6년 뒤 세상을 떠날 때까지, 이 아름다운 성을 가꿀 시간은 있었다. 그는 두 개의 탑이 우뚝 솟은 19세기 프로방스 성에 자신의 재능과 취향의 흔적을 남겨놓았다. 그는 애초부터 이 성을 사적인 공간으로 만들 생각이었는데, 그가 어린 시절을 보냈던 그랑빌 Granville의 레 륌 Les Rhumbs 하우스에 대한 그리움까지 느껴진다. 그는 이 집을 구입한 뒤 가장 먼저 40㎡에 이르는 멋진 수영장인 ‘물의 거울’을 만들었다. 수영장을 빙 둘러 회양목을 심고 덩굴식물이 자연스럽게 타고 오르도록 만든 정자인 ‘페르골라 Pergola’를 세워 레 륌 하우스를 연상시켰다. 또 메인 현관에 조약돌 모자이크로 웅장한 나침반 모티프를 만들었는데 이 역시 레 륌 하우스에 있던 것과 비슷하다. 대리석 욕조를 놓은 팔각형의 욕실과 그가 행운의 상징이라고 여겼던 별 장식이 달린 침대를 둔 작은 침실 등 모든 공간이 휴식과 아름다움, 고요함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성은 50헥타르의 땅이 에워싸고 있다. 크리스찬 디올은 자연스레 주변의 경작지에 마음을 뺏겨 정원에서 농사를 짓고 싶어했다. 그의 누이인 카트린 디올 Catherine Dior은 옆 마을 칼리앙 Callian에서 그 유명한 ‘로즈 드 메 Rose de Mai’를 길렀다(오월의 장미를 뜻하는 로즈 드 메는 디올의 새로운 향수 ‘라 콜 누아르’의 시그니처 향이다). 그리고 디올은 향이 좋은 장미나무와 포도나무, 백합, 올리브나무, 제비꽃, 오렌지나무 그리고 재스민을 심어 가꾸었다. 재스민은 그의 첫 번째 향수인 ‘미스 디올 Miss Dior’을 만드는 데 영감을 준 꽃이기도 하다. 미식가였던 크리스찬 디올은 손님들에게 맛있는 요리를 대접하기를 좋아했다. 화가 크리스티앙 베라르 Christian Be´rard, 마크 샤갈 Marc Chagall, 베르나르 뷔페 Bernard Buffet, 시인이자 극작가 장 콕토 Jean Cocteau 등이 이웃 또는 친구로 이 성을 찾아와 분수로 장식된 다이닝룸에서 함께 만찬을 즐겼다. 그리고 이 명망 높은 손님들은 대부분 1956년과 1957년에 이곳을 방문해 방명록에 자신의 귀중한 사인을 남겨놓았다. ‘라 콜 누아르’는 크리스찬 디올의 사후에 여러 번 매매되다가 2013년, 크리스찬 디올 퍼퓸에서 구입해 이곳을 복원하는 중요한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기존의 공간을 되살리는 것 외에 샤갈룸, 그뤼오룸, 달리룸 등 새로운 방을 만들었는데, 데커레이터 이브 드 마르세유 Yves de Marseille가 각 예술가들에게 어울리는 스타일을 고려해서 디자인했고 원래의 공간과도 잘 어우러지도록 구성했다. 1956년, 크리스찬 디올은 자서전에 이 마지막 문장을 적어 넣었다. “여기 몽토루에서 마지막 문장을 쓰고 있다. 운명이 나도 모르는 새 결정지은 것이다. 나를 프로방스 시골의 매력 속으로 이끌어 이 작품을 마무리 지을 수 있도록 말이다. 곧 밤이 오고 밤이 오면 끝없는 평화가 이어질 것이다.” 이 집에 남겨놓은 그의 정신과 영혼은 ‘라 콜 누아르’ 향수에 담겨 이제 아름다운 향으로 느낄 수 있다. * La Librairie Vuibert, 2011

   


1층에 자리한 이 방은 크리스찬 디올이 어린 시절부터 가졌던 고고학에 대한 열정을 표현했다. 가구들은 나폴레옹 1세 스타일이며, 칼립소 섬에 머물던 그리스 신화의 영웅 텔레마코스를 표현한 파노라마 벽지는 쥐베르 Zuber 제품. 

   


크리스찬 디올은 누이인 카트린에게 헌정하기 위해 이 방을 만들었다. 그녀가 살았던 칼리앙의 작은 프로방스 집처럼 꾸민 ‘카트린 디올룸’에는 크리스찬 디올이 소장했던 그림과 자수로 장식했다. 

   


1 크리스찬 디올의 침실. 방 안쪽에 설치한 작은 공간인 알코브 Alcove 안에 루이 15세 시대의 침대가 있다. 벨벳으로 감싼 알코브 위에는 그가 행운의 상징으로 여긴 별 장식을 넣었다. 2 현관에 놓은 소파 위에는 크리스찬 디올이 쓰던 밀짚모자를 놓았다. 벽면에는 마스코트인 백조 그림을 걸었다. 3 붉은색 소파와 커튼, 벽지에 초록색 쿠션으로 포인트를 준 공간. 4 지붕을 담쟁이 덩굴로 만든 정자인 페르골라는 크리스찬 디올이 디자인한 것. 그가 어린 시절을 보낸 그랑빌의 빌라에 있던 페르골라와 아주 유사하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벵상 티베르 Vincent Thibert
TAGS
나무 깎는 남자

나무 깎는 남자

나무 깎는 남자
물건연구소의 임정주는 여기서 물건을 만든다. 통나무를 깎아서 접시를 만들고 아내가 만든 음식을 담는다. 그는 이런 소소한 일상에서 가장 큰 행복을 느낀다.


1 아내가 애정을 쏟아 가꾼 공간. 한쪽 선반에는 임정주 작가가 만든 식기들을 진열해놨다. 2 임정주 작가가 작업할 때 사용하는 장비들 주변으로 다양한 크기의 원목이 쌓여 있다. 3 크고 작은 식기들을 제작하기 위한 끌과 조각칼들. 4 물건연구소의 임정주 작가.


대학에서 시각디자인을, 런던으로 유학을 가서는 산업디자인을 전공한 후 브랜딩을 했던 임정주는 지금은 나무를 만진다. ‘물건연구소’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시작하며 이곳 과천으로 온 지 벌써 1년 반이 지났다. “돌이켜보면 어릴 때부터 물건을 좋아했어요. 우연치 않게 그래픽을 전공했지만 물건에 대한 열망이 쉽게 가시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목선반 만드는 걸 배우게 되었죠.” 잘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작가가 되겠다고 아내에게 조심스레 이야기했는데 반대는커녕 든든하게 응원을 해줬다. 임 작가는 그것이 내내 고마워서 10평 남짓한 작업실 한 켠에 아내를 위한 작은 공간을 마련했다. 유리로 방을 만들고 아내가 요리할 수 있도록 수도, 가스를 갖췄다. 그릇을 만드는 사람이니 직접 만든 그릇으로 음식을 해먹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겠다는 의견에서였다. 아내가 애정을 갖고 공간을 꾸미다 보니 작업실에 놀러 오는 것을 좋아하게 되었고 둘 다 이곳에 금세 정이 들었다. 

공간은 작지만 층고는 4m로 꽤 높아서 위층에는 나무를 쌓아두었다. 만들고 남은 목재도 자연스럽게 한 켠에 쌓여갔다. 그냥 버리자니 아까웠고 일단 날카로운 나무 모서리만 쳐냈다. 그랬더니 돌멩이 같은 모양이 되었는데 문득 이렇게 남은 물건을 활용해 문진, 티라이트 홀더, 화병 등 다양한 아이템을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나온 작업이 얼마 전 열린 메종&오브제 전시에서 선보인 ‘레스트 Rest’다. “첫 작업은 기능을 먼저 생각하고 원, 네모, 세모 같은 도형으로 간결하게 풀었다면 새로운 작업은 목적 없이 만든 물건에서 나름의 비례와 멋을 발견하고 그에 적당한 기능을 찾았죠.” 물건연구소는 엄밀히 말하자면 임정주 작가 혼자만의 것은 아니다. 아이디어는 주로 아내인 김순영 씨에게서 얻었기 때문이다. 아내의 제안으로 시작한 ‘소소 프로젝트’는 일상에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을 소량으로만 제작하는 프로젝트다. 케이크 스탠드, 버터 나이프, 도넛 모양의 냄비 받침도 만들었는데 저마다 탄생한 사연이 있다. 임정주 작가가 자주 사용하는 재료는 느릅나무와 다릅나무. 목질이 단단하고 나뭇결과 색이 고와서 특히 좋아한다. 그는 지금은 ‘소소한 물건을 만들지만 앞으로 공간 전체를 채우는 아이템을, 더 훗날에는 건물까지 만들어보고 싶다’고 고백했다. 이 자그마한 작업실에서 큰 그림을 그리고 있었다.

   


아내를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세운 유리 벽은 재고와 출고를 확인하는 메모판으로 활용하고 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박상국
TAGS
Green for Relax

Green for Relax

Green for Relax
초록 식물과 그림이 어우러진 휴식 공간을 마련했다. 따뜻한 나무 가구와 토분에 심은 식물로 꾸민 내추럴한 공간과 미니멀한 디자인의 가구와 선이 아름다운 식물로 꾸민 두 곳의 휴식 공간이 마음에 편안함을 선사한다.


파란 휴식처 

미니멀한 디자인의 가구를 둔 휴식 공간. 뒤의 벽에는 블루 계열의 그림을 걸었고 카펫도 파란색으로 깔아 통일감을 주었다. 높이와 크기가 다른 사이드 테이블을 리듬감 있게 배치하고 그 위에 수경 재배가 가능한 식물을 디스플레이했다. 심플한 스타일의 가구라면 식물을 꽉 차게 두지 말고 커다란 식물을 하나 정도만 두어 균형을 잡는다.   

회색 패브릭 소재 ‘멀티소파’와 소파 앞에 배열한 ‘멀티큐브 사이드 테이블’은 모두 바이헤이데이 제품. 멀티큐브 사이드 테이블은 상판과 프레임 컬러를 변경할 수 있다. 비스코스 소재의 파란색 ‘메디슨’ 카펫은 럭스툴 제품으로 유앤어스. 소파 옆에 세워둔 플로어 조명 ‘트리니티 투명’은 라문 제품. 소파 위의 꽃무늬, 단색 쿠션은 모두 키티버니포니 제품.

 

오른쪽 벽에 건 노랗게 단풍이 든 나무 사진 ‘Cha Urumuchi’는 이경자 작가의 작품으로 갤러리우. 꽃을 수중 촬영한 두 개의 작품은 강용길 작가의 ‘KIL_UWF7970’, ‘KIL_UWF7534’로 갤러리 플로바리스. 연기처럼 퍼지는 듯한 그림 ‘Visual Poetry’는 권현주 작가의 작품으로 유중갤러리. 파란색 잎을 표현한 두 점의 ‘가공된 풍경’은 남상운 작가의 작품으로 씨케이 아트 스페이스. 오브제가 붙어 있는 작품 ‘Refresh’는 조유미 작가의 작품으로 레지나갤러리.

 

 


미니멀한 코너 공간 

크기가 다양한 작품을 벽에 오밀조밀 걸었다면 그 주변 공간은 최대한 가볍게 비우는 것이 좋다. 그림과 가구가 부딪혀 자칫 산만해질 수 있기 때문. 낮고 심플한 디자인의 가구를 두었다면 가구 위에 둘 식물도 간결한 것으로 고르도록 한다. 


스틸 프레임 소재의 2단 ‘멀티셸프 01 L2’와 흰색 테이블 조명 ‘판텔라’는 모두 바이헤이데이. 


노란색 배경의 비타민 작품 ‘창조의 비타민’과 그 아래 흰색 배경의 작품 ‘생각의 밥’은 모두 호진 작가의 작품으로 희수갤러리. 도시 풍경을 그린 작품은 지훈 스타크의 ‘에코 타워’ 작품으로 갤러리 에스피. 빨간색 배경의 ‘콘서트’는 신흥우 작가의 작품으로 갤러리위. 캐릭터 그림은 아트놈의 ‘무제’로 갤러리조선. 정사각형 작품 ‘The Mere Flower 4’와 ‘Rag Doll’은 모두 지영 작가의 작품으로 수호갤러리. 소녀의 모습을 따뜻하게 표현한 작품 ‘Going out’은 신철 작가의 작품으로 프린트베이커리. 




식물을 위한 선반

선반 가구의 역할이 책이나 장식품을 위한 것일 필요는 없다. 식물을 위한 장식 선반으로 활용해보는 것은 어떨까. 선반 가구로 파티션처럼 공간을 구분하고 위에 쥐손이, 담쟁이 등의 식물을 연출했다. 선반 전체에 식물을 두지 않고 적당한 곳에 디스플레이하고 선반 앞에는 물무궁화처럼 키가 큰 식물을 곁들이면 한층 풍성하게 연출할 수 있다.


3가지 프레임, 4가지 색상, 10가지 상판을 조합할 수 있는 6단 선반 ‘멀티셸프 01 L6’은 바이헤이데이 제품.




나무 소재로 꾸민 내추럴한 거실

공간을 나무 가구로 채웠다면 식물도 토분에 심어 내추럴한 분위기를 맞추는 것이 좋다. 커피 테이블에 토분을 옹기종기 모아서 연출하고 주변에 무화과나무나 마지나타를 배치해 포인트를 주었다.


물푸레나무 프레임과 패브릭 좌석으로 만든 ‘우드 소파’는 바이헤이데이 제품. 삼각 형태의 크기가 다른 커피 테이블 2개와 심플한 디자인의 나무 스툴, 6인용 식탁은 모두 바이헤이데이 제품. 소파 위에 둔 플라워 패턴의 쿠션은 키티버니포니 제품. 원과 직선으로 이어진 플로어 조명 ‘트리티니 투명’은 라문. 작은 테이블 위에 올려둔 찻잔은 모두 TWL숍 제품. 민트색으로 격자무늬가 그려진 카펫은 간 제품으로 유앤어스.

 

꽃이 핀 숲 속 풍경을 담은 ‘몽환’은 권정열 작가의 작품으로 갤러리우. 눈이 내리는 마을을 그린 ‘North small Village 2’는 윤종 작가의 작품으로 희수갤러리. 정겨운 마을의 모습을 그린 ‘신의상회’는 이미경 작가의 작품으로 갤러리 이마주. 하얀 양 그림 ‘Antic and Lamb’은 정성원 작가의 작품으로 수호갤러리. 금색 액자의 ‘nut Brown Hares’는 아니타 제람의 작품으로 IC갤러리. 파스텔 톤으로 풍경을 그린 두 개의 작품은 마크 햄몬드의 ‘Summer Meadow’와 ‘Purple Hue’로 블링크갤러리. 그릇에 담긴 이끼를 표현한 양종용 작가의 작품 ‘이끼’는 키다리갤러리. 4가지 길을 그린 ‘Freeway’는 김은희 작가의 작품으로 갤러리 고도. 항아리를 2가지 컬러의 배경으로 표현한 ‘Reflective’는 남여주 작가의 작품으로 갤러리두. 하얀 꽃병에 꽂은 꽃을 몽환적으로 표현한 ‘Nature Diary’는 안광식 작가의 작품으로 선화랑. 한지 위에 그린 자주색 그림은 이희령 작가의 ‘비움파장’으로 아르페지오갤러리. 정물화 같은 작품은 엄해조 작가의 ‘Sub Rosa 16-1’스페이스두루.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태준
PlantsArranger 허성하(폭스더그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