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own STYLE

my own STYLE

my own STYLE

이탈리아, 브라질, 스코틀랜드까지 여러 나라의 피를 이어받은 파브리지오 롤로는 출신답게 믹스매치를 좋아한다. 장르와 소재, 시대, 컬러를 두려움 없이 뒤섞어 누구와도 닮지 않은 자신만의 스타일로 집을 완성했다.


패션 잡지에 정기적으로 소개될 정도로 멋진 룩을 뽐내는 파브리지오 롤로 Fabrizio Rollo. 잡지 에디터로 일하다 인테리어 디자이너로 전향한 그는 그레이, 블루 마린, 블랙, 브라운 등 컬러를 몇 가지로 제한해서 옷을 입지만 인테리어에서는 많은 상상력을 발휘한다. 그가 사는 곳은 상파울루의 번화가에 있는 300㎡ 규모의 아파트로 1960년대에 지어진 건물이라 예스러운 분위기가 있다. “나폴레옹 3세 시대와 19세기 말, 1930년대와 70년대의 오브제로 집을 꾸몄어요. 각 시대마다 가장 아름답다고 느껴지는 물건들을 여기에 한데 모았죠.” 독창적인 것은 본성에 있다고 주장하는 그는 지브라, 레오퍼드, 지오메트릭, 플로럴 패턴으로 장식된 실크, 태피스트리, 중앙아시아의 자수 패브릭인 수자니 등을 곳곳에 펼쳐놓았다.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으로 믹스매치한 것이다. “저는 아름다운 오브제를 통해 에너지를 느껴요. 여러 스타일의 물건을 조화롭게 꾸미는 것은 삶의 기쁨 중 하나죠.”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구현했지만 그 역시 프랑스에서 가장 유명한 데커레이터의 영향을 받았다. “복제하는 건 정말 싫고 새로 창조하는 걸 더 좋아하지만 레퍼런스가 필요하긴 했어요.” 자신에게 영감을 준 거장으로는 메종 얀센 Maison Jansen과 마들렌 카스탱 Madeleine Castaing 두 사람을 언급했다. 그는 그들이 디자인한 직물 몇 가지와 의자도 하나 갖고 있다. 자신이 기억하기로 여섯 살 때부터 패브릭을 수집하기 시작했다니 여러 종류의 텍스타일을 다량 소유하고 있는 것이 이해가 간다. 그의 집에는 이제 새 가구를 놓을 공간이 없다. 벽마저도 빼곡하다. 피카소의 석판화부터 추상화, 건축 크로키, 중국의 작은 조각상까지 벽에도 다양한 스타일이 공존한다. 패턴과 컬러에 대한 그의 집착에서 해방된 공간은 부엌과 욕실뿐이다. 대리석과 샹들리에, 프랑스를 대표하는 아르데코 가구 디자이너 장 미셸 프랑크 Jean-Michel Frank가 만든 작은 테이블이 있어 고급스러운 무드는 이어가지만 흰색을 바탕으로 해 비교적 잔잔해 보인다. 

 

 


파브리지오는 양피지를 바른 벽에 건축 크로키와 1930년대에 그린 데생을 걸었다. 그리고 미셸 얀센의 소파와 벼룩시장에서 구입한 1970년대 벤치를 함께 두었다. 잡지 등 책 더미를 포함해 각각의 오브제는 파브리지오가 생각하기에 개성 있는 데커레이션을 완성하기 위한 자리에 정확히 놓여 있다.

 

 


여러 가지 재미있는 오브제로 꾸민 공간은 ‘랑방 블루 Lanvin Blue’색을 좋아했던 어머니에 대한 오마주다. 푸른색 중국 도자기로 포인트를 주고 판화, 데생, 작은 장식품 등으로 벽면을 빼곡히 채웠다.

 

 


19세기 프랑스산 태피스트리를 걸어놓은 침실. 그 아래에 놓은 지브라 패턴의 의자는 파브리지오가 가장 아끼는 물건이다. 그는 계속해서 이 물건을 보기 위해 침대 바로 앞에 이 의자를 놓았을 정도다. 그가 우상처럼 숭배하는 이 작은 소파는 예전에 마들렌 카스탱이 소유했던 것이다.

 

 


과감한 조합을 좋아하는 파브리지오의 취향은 밀라노에 살았을 때부터 시작되었다. 침대 위쪽 벽에 늘어뜨린 실크 패브릭은 사피라 세다스 Safira Sedas 제품. 침대 옆에 놓고 테이블처럼 쓰고 있는 빨간색 지오메트릭 패턴의 스툴은 파브리지오가 디자인했다.

 

 


게스트룸의 벽은 크리스찬 디올이 디자인한 실크 스카프로 마감했다. 액자에 넣은 그림들은 독일 자기 회사 마이센 Meissen의 제품 크로키. 르 마나슈 Le Manach의 패브릭을 씌운 벤치 위에는 이스탄불 시장에서 구입한 말레이시아산 직물 ‘이카트 Ikat’를, 임스 의자에는 아프리카산 패브릭을 올려놓았다. 금색 플로어 조명은 1940년대 이탈리아산 빈티지 제품이며 거울 파티션은 파브리지오가 디자인한 것이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에릭 피아섹키 Eric Piasecki

TAGS
다양한 색이 있는 빌라

다양한 색이 있는 빌라

다양한 색이 있는 빌라

과감한 시도와 안목으로 뭐든 자신만의 것을 만드는 이들이 있다. 거실이 없는 독특한 구조의 집에 다양한 컬러 매치로 에너지를 불어넣은 플로리스트 노현정의 집이 그렇다.


1 짙은 파란색 페인트칠을 한 거실 벽에 웨딩 촬영한 액자를 기대두었다. 2 극락조를 중심으로 왼쪽은 침실, 오른쪽은 방을 터서 만든 거실이다. 거실 입구는 아치형으로 클래식하게 만들었다. 

 

플라워숍 랩520을 운영하고 있는 플로리스트 노현정 실장의 집은 한남동에 위치한 빌라다. 전용면적 25평의 이 빌라는 원래 건물 주인이 주한미군에게 렌트를 하기 위해 지었다. 그래서인지 널찍한 방 3개와 주방으로 이뤄진 독특한 구조인데 거실이 따로 있지 않고 주방 공간이 꽤 넓다. 노현정 실장은 재미있는 구조의 집이 될 수 있겠다 싶어 이사를 결심했고, 공사할 업체를 알아보던 중 평소 작업하며 친분을 쌓은 디플라트 dplot 이세현 대표에게 디자인을 의뢰했다. “이세현 대표님은 보버라운지를 비롯해 카페 언더프레셔, 에이치픽스의 메누 숍 등 주로 상업 공간을 인테리어해온 분이에요. 주거 공간은 의뢰가 들어와도 맡지 않으신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특별히 부탁해서 저희 집이 대표님이 거의 처음으로 맡은 주거 공간이나 다름없어요. 그동안 대표님이 디자인한 공간을 좋아했기 때문에 믿고 맡길 수 있었죠.” 노현정 실장에게는 정해진 예산이 있었고 그 안에서 공사를 진행해야 했기에 필요 이상으로 공간에 손을 대지 않기로 했다. 대신 집주인의 감각을 엿볼 수 있는 다양한 컬러 매치와 벽을 활용해 새로운 구조를 만들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현관문을 열면 벽에 설치한 김대건 작가의 SC 시리즈 작품과 금속 화분에 심은 시원한 잎을 지닌 극락조가 방문객을 반기는데, 원색의 컬러가 어우러져 산뜻하다. 부부에게는 거실 공간이 필요했기 때문에 현관 오른쪽 방 하나를 터서 거실처럼 만들었고 주방은 오로지 다이닝 공간으로만 활용하기로 했다. “전에 살던 집에서 가져온 가구나 소품이 많지 않아서 둘이 살면서 방이 3개나 필요하지 않았거든요. 넓은 방 하나를 터서 거실 공간으로 만들었고 클래식한 분위기를 좋아해서 입구를 아치형으로 만들고 파란색으로 페인트칠을 했어요.” 거실 입구와 내부는 짙은 블루 컬러로 페인트칠을 해 강렬한 인상을 풍기고 부엌 상부장과 하부장은 겨자색으로 도장을 했다. “녹색을 아주 좋아해서 녹색의 주방을 꿈꿨어요. 그런데 막상 컬러를 입히려니 고민이 되더라고요. 강한 컬러를 사용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질릴 것 같기도 하고요. 그래서 무난하게 베이지색으로 도장을 맡겼는데 좀 더 짙은 겨자색이 됐어요. 의도한 건 아니지만 오히려 톤 다운된 베이지색으로 멋스럽게 나와서 만족스러웠어요.” 노현정 실장은 대신 좋아하는 녹색으로 식탁 의자를 선택했다.

 

 


3 분홍색 임스 체어와 베이지색 USM 가구가 어우러지는 거실. 천장에는 박쥐란을 달았다. 4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방에는 ㄱ자 벽을 만들어서 뒤로는 수납을, 앞쪽은 나중에 아이 방으로 만들 계획이다. 5 헤드보드 뒤로 가벽을 세운 침실. 6 맞춤 제작한 식탁 조명이 독특한 다이닝 공간에서 함께한 노현정 · 김형근 부부.

 

대리석 소재와 녹색, 겨자색이 어우러진 주방은 이 집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공간이다. 부엌과 맞닿아 있는 방은 용도가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특이하게 방 가운데에 ㄱ자로 벽을 냈는데 여러 가지 생각 끝에 나온 아이디어다. 나중에 아이가 생겨도 한동안 방을 같이 쓸 수 있고 지저분해 보일 수 있는 수납장, 청소기 등을 벽 뒤로 수납해 가릴 수 있다. 원래 창문 모양이 마음에 들어 벽으로 가리고 싶지 않았기에 ㄱ자 벽에도 구멍을 내서 빛이 들어오고 창문도 볼 수 있게 했다. 벽을 세운 공간은 여기만이 아니다. 부부 침실에도 파란색으로 페인트칠을 한 벽을 세웠다. 헤드보드 쪽으로 벽을 하나 더 만들어서 뒤에 만든 옷장이 은밀하게 가려지고 양쪽에는 브래킷 조명을 달아서 클래식한 침실 분위기를 냈다. 여기에 8각 기둥 형태의 녹색, 흰색 아놀드 스툴을 사이드 테이블처럼 활용했다. “거실 USM 수납장도 그렇고 식탁과 식탁 의자도 익숙한 디자인 아이템이지만 그래도 너무 뻔하지 않은 집을 꾸미고 싶었어요. 좋아하는 컬러가 곳곳에 반영돼 있고 제 직업을 살려 식물도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집이요. 그래서 주방 조명 등은 제작 맞춤을 했어요. 이사한 지 두 달도 채 되지 않은 집이라 아직 미완성이에요. 키덜트 성향의 남편과 클래식한 분위기를 좋아하는 제 스타일이 잘 어우러진 집으로 완성하고 싶어요.” 노현정 실장은 대학에서 실내 디자인을 전공했다. 전문가 못지않게 공간을 치밀하게 계획해서 활용한 데에는 그녀의 숨은 내공이 있었기 때문이다. 플로리스트의 뻔하지 않은 집은 그렇게 완성됐다.

 

 


원목 바닥과 녹색 시리즈7 체어, 베이지색으로 도장한 주방 시스템이 한데 어우러져 컬러감을 뽐낸다.

 

 


현관 입구의 벽에는 김대건 작가의 SC 시리즈 작품을 설치해 열쇠 등을 수납하기에 유용하다.

 

 

etc. 

플로리스트 노현정 실장은 가장 좋아하는 색으로 녹색을 꼽았다. 녹색을 좋아하는 이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가구와 소품을 모아봤다. 

 


PH3½-3 컬러 펜던트 폴 헤닝센의 탄생 120주년을 기념해 컬러 버전으로 출시된 다이닝 펜던트. 180~220cm 다이닝 테이블과 조화를 이루는 제품으로 몰테니앤씨에서 판매. 레인보 트리벳 접었다 펼 수 있는 냄비 받침은 노만코펜하겐 제품으로 이노메싸에서 판매. 마블 테이블 스몰 천연 대리석 패턴이 그대로 살아 있는 사이드 테이블은 펌리빙 제품으로 에이치픽스에서 판매. USM 모듈 가구 원하는 컬러와 시스템으로 조합할 수 있는 USM 모듈 시스템은 스페이스로직에서 판매.

 

 


 

스트레스리스 스카이라인 자연스럽게 의자가 기울어 편안함을 제공하고 등받이에 기대면 약 180도까지 뒤로 젖혀지는 리클라이너 체어. 에이스침대에서 판매. 세라믹 캔들 말라카이트 원석 패턴을 손으로 그린 세라믹 캔들은 포르나세티 제품으로 10꼬르소꼬모에서 판매. 보네이도 시그니처 팬 3단계로 풍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최대 21m까지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에어서큘레이터. 보네이도에서 판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이과용

TAGS
아트와 디자인이 공존하는 ‘ERD 갤러리’

아트와 디자인이 공존하는 ‘ERD 갤러리’

아트와 디자인이 공존하는 ‘ERD 갤러리’

아트와 리빙의 콜라보레이션으로 갤러리의 새로운 방향을 전개하고 있는 ERD 갤러리 대표 이민주. 그녀가 만든 4층 붉은 벽돌집에 들어선 갤러리를 소개한다.


1 계단의 연장선상처럼 보이는 ‘ㄱ’자형 창문이 인상적인 ERD 갤러리의 계단. 2 북유럽의 풍경을 캐비닛 안에 담은 김희원 작가의 작품 앞으로 핀 율의 펠리컨 체어와 아이 테이블이 놓여 있다.

 

미술 전공자도 아닌데 어떻게 갤러리스트가 됐나?  대학에서 중어중문학을 전공했지만 갤러리에서 일해보고 싶은 꿈이 컸다. 첫 직장은 통의동 아트사이드 갤러리였는데, 당시 중국과의 교류가 많았던 터라 내가 적임자였다. 홍콩에서 열린 중국 작가 장 샤오강의 골드 전시를 성공적으로 치른 후 서울 리안 갤러리에서 일하다 회사를 관두고 3~4년의 공백기를 가졌다. 

갤러리를 오픈하게 된 이유는 뭔가? 갤러리 일을 하면서 다시는 이 일을 하지 않을 거라 다짐했었다. 당시에는 컬렉팅하는 사람들이 제일 행복해 보였다. 그런데 세월이 흐르면서 나도 모르게 계속 그쪽 일을 하고 있더라. (웃음) 결국 지금 하지 않으면 후회할 것 같아 갤러리를 오픈하기로 결심했다.

 

 


1 남다른 인테리어 감각과 혜안을 가진 갤러리 ERD의 이민주 대표. 2 마치 핀 율의 집 안에서 창밖을 바라보듯 상상력을 불어넣는 공간 연출은 이번 전시의 컨셉트. 3 핀 율의 가장 아름다운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치프테인 의자. 4 새하얀 공간에 김희원의 ‘Someone’s Window’ 시리즈가 창문처럼 걸려 있다. 5 거실처럼 꾸민 4층 공간. 

 

 

ERD가 담고 있는 의미는? ‘이알디’는 ‘아트와 디자인 전시장 Exhibition of Art and Design’을 줄인 말이다. 디자인도 미술관 전시를 할 수 있고 아트와 동등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많은 사람이 아직까지도 파인 아트는 고귀하고 수준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에 반해 디자인은 수준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그런 경계가 없는 전시 공간을 만들고 싶었다. 

이태원 경리단길에 터를 잡은 이유가 있나? 젊은 사람들이 북적이는 곳이어야 했다. 갤러리들이 즐비한 동네는 왠지 뻔한 작품들이 걸려 있을 것 같고, 갤러리를 나설 때는 하나쯤 사서 나와야 할 것 같은 강박관념이 있을 것 같았다. 문턱을 낮춘 갤러리를 만들어 부담 없이 전시를 즐길 수 있게 하고 싶었다. 요즘 젊은이들은 오타쿠처럼 가치형 소비를 하는 시대다. 먼 얘기이긴 하지만 훗날 이들이 컬렉터가 될 수 있다. 그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내가 풀어나가야 할 숙제다. (웃음)     

갤러리 오픈과 동시에 ‘하우스 오브 핀 율 서울’을 기획했다. 어떤 의미인가? 갤러리 컨셉트가 아트와 리빙의 콜라보레이션이듯 아트 영역은 ERD가, 리빙의 영역은 ‘하우스 오브 핀 율’이 담당한다. 핀 율 가구는 이곳에 상주해 있지만 1년에 두 번씩 핀 율 가구와 한국 작가들을 콜라보레이션해 대규모 전시를 진행할 예정이다.  

<메종>에서 두 번이나 집 촬영을 했을 정도로 감각이 남다르다.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구 중 핀 율 가구가 으뜸이었나? 하나의 스타일을 고수하기보다는 다양한 스타일이 뒤섞인 믹스매치를 즐긴다. 공간에 작품이 놓일 때는 가구와의 조화를 신경 써야 한다. 작품 하나하나에는 각각의 기운이 있다. 그것은 가구도 마찬가지인데, 다양한 가구를 작품과 매치하다 보니 핀 율의 가구가 어느 작품에나 좋은 합을 이룬다는 것을 알게 됐다. 

개관전으로 김희원 작가와 전시를 열고 있다. 그와 함께한 특별한 이유는? 핀 율과 재미있는 콜라보레이션을 하고 싶었다. 그의 집 창문을 갤러리로 옮겨오면 재미있을 것 같아 창을 찍는 사진작가를 섭외하던 중 김희원을 만났다. 그는 배낭 하나 달랑 메고 한 달 넘게 덴마크에 머물면서 핀 율의 삶을 분석하고, 그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핀 율이 바라봤을 법한 멋진 창을 뷰파인더에 담아왔다. 

흔히 갤러리 하면 뻥 뚫린 하얀 공간을 떠올리지만 이곳은 집 같은 느낌이다. 일본의 협소 주택에서 착안한 형태다.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 작지만 효율성이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었다. 레노베이션하기 전 이곳은 붉은색 벽돌로 만든 작은 집이었다. 이 동네의 정겨움을 상징하는 것 같아 같은 붉은 벽돌을 선택했다.

앞으로의 행보가 궁금하다. 9월 7일부터 정승혜 작가의 전시가 이어질 예정이다. 파인 아트에 국한되는 전시뿐 아니라 디자이너들과의 협업이라든지 영상, 영화, 음악 등 영역의 구분 없이 재미있는 전시를 해보고 싶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차가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