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의 생각

건축가의 생각

건축가의 생각

새카맣게 보이는 건물 속은 환하고 반짝였다. 더 이상 비타민D 결핍을 걱정하지 않아도 될 만큼 빛을 머금은 더북컴퍼니 사옥. 2014년부터 시작해 3여 년 만에 완성된 이 건물의 설계를 맡은 엔이이디 건축사사무소 김성우 소장에게 더북컴퍼니 사옥에 대한 생각을 캐물었다.

엔이이디 N.E.E.D. 건축사사무소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해주세요. 엔이이디 건축사사무소는 2007년부터 함께 작업해온 김성우, 김상목 소장이 2008년 미국 건축사협회 뉴욕 지부에서 주관하는 ENYA(Emerging New York Architects) 국제 현상 설계 공모에서 당선한 것을 계기로 20011년에 서울과 뉴욕에 문을 연 설계 사무소입니다. 지금의 사회가 필요로 하는 건축을 하고 싶다는 뜻으로 Need라는 단어에 주목했고 여러 의미가 개입할 여지를 두기 위해 엔이이디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어떤 작업을 하고 있나요? 현재 진행하고 있는 작업은 일원동에 있는 30년 된 단독주택 레노베이션과 압구정, 논현동에 있는 근린 생활 시설, 무교동 근처에 있는 공원 그리고 신림초등학교 1학년 교실 레노베이션 등 다양합니다.
국내에 알려진 대표작으로는 김수근 건축상 프리뷰상과 미국의 유명한 건축상을 3개나 받은 ‘상계동 341-5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기존 원룸 구조를 탈피해 도심에서 살고 있는 1인 가구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시도였는데, 건물을 설계할 때 가장 고려하는 점은 무엇인가요? 건물을 설계할 때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연속적인 공간 경험’입니다. 사람의 입장에서 도시 공간에서부터 사적 공간까지 어떻게 이어지는지 상상하면서 설계를 구체화하는 거죠. 다시 말해 건물이 분절된 덩어리이고 그 집합을 도시로 보는 게 아니라 거대한 도시부터 아주 작고 사적인 개인 공간까지 세밀하게 살펴보면서 새롭게 더해야 할 부분이나 놓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열린 자세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대지면적 491.80㎡ 건축면적 282.78㎡ 연면적 5,014.59㎡ 규모 지하 5층 / 지상 15층 구조 철근 콘크리트조 외부 마감 GFRC 패널, THK24 로이 복층 유리 내부 마감 벽체 노출 콘크리트, 석고 보드 위 비닐 페인트 바닥 포슬린 타일, 콘크리트 하드너, 코르크 바닥재 천장 콘크리트 면 정리 위 노출 보수, 석고 보드 위 비닐 페인트 시공 씨앤오건설 주식회사 설계 N.E.E.D. 건축사사무소 준공 2017년 2월

더북컴퍼니 사옥 1층

엔이이디 건축사사무소의 김성우 소장

사무실은 어쩌면 집보다 더 오래 머무는 곳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사무 공간, 특히 잡지를 만드는 회사 건물을 설계하면서는 어떤 기준을 고려했나요? 일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 아주 중요한 것이 근무 환경입니다. 특히 잡지사의 경우 컴퓨터 작업을 많이 하게 되는데, 외부의 직사광이 컴퓨터 화면에 바로 비치면 방해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조도를 갖는 북측광을 채택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남향을 선호했지만 사실 업무 공간에 더 좋은 빛은 북측광입니다. 몇 차례 검토해서 남측으로는 엘리베이터, 계단실 등을 배치해 밝은 쪽으로 두었고 사무 공간에는 북쪽으로 크게 열리는 창을 만들었습니다. 또 중요하게 생각한 것이 공기의 순환입니다. 때문에 더북컴퍼니 사옥에는 모든 층에 창문을 열지 않고도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는 환기 장치와 에너지 효율을 높여주는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세부 공간은 어떻게 설계되었나요?시공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면서도 각 층의 층고를 조금이라도 더 높이려고 했습니다. 공용 공간인 3, 4층은 두 층을 오픈해 시원한 느낌이 들도록 했고 3층 테라스에는 개방감을 살리기 위해 코너 기둥을 없앴죠. 12층에 있는 대회의실은 도시 풍경을 한눈에 담을 수 있도록 수평으로 길게 뚫린 창을 두었습니다. 또 옥상정원은 자유로운 선형을 적용해 하나의 건물 속에서 다양한 공간적 경험을 할 수 있기를 바랐습니다.

옥상정원에 마련된 시설 

높은 층고로 구성된 대회의실 Ⓒsong yousub

대표실이 있는 15층 Ⓒsong yousub

사무 공간의 모습

건물 외부 마감재가 특이합니다. 어떤 재료이며 원래 어디에 쓰는 것인가요? 외관에 사용된 재료는 GFRC(Glass Fiber Reinforced Concrete)라는 재료입니다. 예전에 많이 쓰였던 콘크리트 패널과 비슷한 재료인데 패널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무거운 철근을 삽입하는 대신 가벼운 섬유 소재를 넣은 것이죠. 무게를 대폭 줄이면서 강도는 높은 외장 재료입니다. 고층 건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석재, 알루미늄 복합 패널 등은 이미 제작된 제품을 그대로 적용하거나 재단해서 쓰는 데 반해 GFRC는 원하는 색상, 질감, 패턴으로 맞춤 제작이 가능합니다. 이런 장점 때문에 더북컴퍼니 사옥을 더욱 상징적으로 만들 수 있는 외관 마감재로 적합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또 하나 인상적인 점이 채광입니다. 길게 사선으로 떨어지는 빛의 각도가 그림 속 한 장면 같은데요. 창문의 크기와 위치는 어떻게 결정했나요? 그런 효과를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고맙습니다. 더북컴퍼니 건물 외장의 기본 모듈은 폭 1.2m, 높이 3.6m입니다. 창문도 그 모듈을 따라서 가로 폭만 바뀌면서 설치되어 있습니다. 개별적인 창의 위치와 폭은 각 층의 성격에 맞춰 결정했는데, 밖에서 보았을 때 창이 반복적인 패턴으로 보이지 않고 건물의 존재감을 해치지 않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고층 건물에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커튼월 Curtain Wall’ 공법은 외벽 면에 딱 맞춰서 유리가 설치되는데, 더북컴퍼니 사옥의 큰 창문은 외벽 면에서 약 70cm, 작은 창문은 약 20cm로 깊이를 달리하면서 변화를 줬습니다. 이렇게 하면 실내에서 큰 창에 가까이 다가갔을 때 아찔한 기분이 들지 않지요. 또 실내에서는 창의 폭만큼 수납공간을 만들 수 있어서 내부를 한결단정하게 정리했습니다. 창틀은 고밀도 목재 패널로 만들어서 실내를 마감한 거친 콘크리트와 대비되도록 했는데, 그 목재 패널의 경계를 따라서 깔끔한 선의 빛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엔이이디가 생각하는 좋은 건축이란 무엇일까요? 처음 구상 단계에서 시작해서 건물이 완성되려면 건축주와 같이 일하는 직원들, 시공하는 분들에게까지 건축가의 생각이 잘 전달되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끊임없는 검토와 설득이 반복되죠. 좋은 건물은 건축가 한 명의 생각으로 만들어지는게 아니라 건물과 관계된 모든 이들의 합으로 완성됩니다. 그리고 완공된 다음에는 건축가의 생각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고 건물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느끼는지가 더 중요하죠. 결국 좋은 건물이란 지금 그 건물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만족하는 건물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이 앞으로 이곳을 어떻게 사용했으면 하나요? 매번 현장에 갈 때마다 아쉬운 점이 보입니다. 더북컴퍼니 임직원들도 그런 부분을 느낄 텐데 너그럽게 이해해주시고 짧은 순간이라도 엔이이디가 만든 공간에서 즐거움과 행복을 느끼기를 바랍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이향아

TAGS
New&Different

New&Different

New&Different

국내는 물론 해외의 멋진 사옥이 이슈가 되고 있는 요즘, 더북컴퍼니의 신사옥은 역삼동의 랜드마크가 될 필요 충분 조건을 모두 갖췄다. 날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산해내는 이들을 위한 창조와 휴식이 공존하는 작은 스칸디나비아 같은 건물을 소개한다.

 

더북컴퍼니 신소희, 이소영 대표. 지난 30여 년간 잡지쟁이로 살아온 철학이 응축되어 있는 역삼동 신사옥은 이제 그들의 얼굴이 되었다.

 

13층 대회의실은 문을 여는 순간 그 웅장함에 압도당한다. 6m의 확장된 천장고를 더욱 임팩트 있게 꾸미고 있는 카텔라니&스미스 Catellani&Smith의 ‘산 피에트로’ 펜던트 조명 아래 벽면에는 구자현 작가의 판화 작품을 걸었고 제작한 나무 질감의 너른 테이블에는 벤트 한센의 ‘프리미엄 체어’를 배치했다.

 

15층 대표실의 입구에는 이우환 작가의 작품이 걸려 있다.

 

휴식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집무실에 앉아 있는 신소희 대표

 

매거진 <메종> <마리끌레르> <싱글즈> <뷰티쁠> <에비뉴엘> <주부생활>등 6개의 잡지와 12개의 CP 매거진, 광고대행사 레드 슈즈를 운영하는 종합 매거진 회사 더북컴퍼니 The Book Company. 잡지계의 빅3로 불리는 더북컴퍼니를 이끄는 수장은 과거 <엘르> 편집장을 지낸 신소희, <쎄씨> 창간 편집장을 지낸 이소영 대표. 20대 청춘에 선후배 기자로 만나 30여 년간 좋은 파트너십을 이어온 두 대표는 잡지계의 파워 우먼으로 불린다. 2004년 싱글 라이프를 담은 패션지 <싱글즈> 창간을 시작으로 10년 만에 커다란 잡지사가 된 더북컴퍼니를 성장세로 이끈 두 대표의 승승장구 스토리는 지금도 종종 회자될 만큼 성공 신화로 남아 있다. 얼마 전 이들은 또 하나의 큰 이슈를 만들었다. 강남구 역삼동에 더북컴퍼니 사옥을 지은 것이다. 지하 2층 지상 15층 규모로 우뚝 솟은 건물은 역삼동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만큼 새로운 이슈를 가득 품고 있다.

 

강남구 역삼동 봉은사로에 우뚝 솟아 있는 더북컴퍼니의 신사옥.

 

신사옥을 준비하게 된 계기는 5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처음부터 건물을 지으려고 했던 건 아니었다. 이소영 대표는 “사내 간담회(한 달에 한 번씩 10명의 직원들과 함께 점심을 먹는 문화)를 2년 동안 진행하면서 꼬마 기자부터 중견 기자들의 바람을 들어본 결과, 그들이 바라는 것은 좋은 업무 환경이었어요. 잡지사의 특성상 미팅이 많고 독자나 클라이언트가 함께하는 클래스와 이벤트가 많지만 그때마다 불편함을 겪어야 했어요. 잡지사의 특성상 24시간 일하는 체제이고 우리와 리듬과 사이클이 맞는 빌딩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이어 신소희 대표는 “일본의 출판사 고단샤가 미디어의 특성에 맞게 건물을 지은 것이 부러웠어요. 기자 시절 누구나 부러워할 만한 잡지사를 다녔는데, 사실 겉으로만 번듯했지 안에서 일하는 직원들을 위한 인테리어라고 보기에는 힘든 일반 회사 건물이었거든요. 건강한 공간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오듯 크리에이티브한 작업을 하는 사람들에게 맞는 공간을 만들고 싶었어요.“이 사옥은 두 대표가 기자 시절부터 꿈꿔왔던 것과 사원들의 바람 그리고 그들의 취향이 함축적으로 녹아 있는 곳이다. 수년간 밀라노 디자인 위크와 메종&오브제, 아트 바젤 등에서 보아왔던 경험치는 전체적인 컨셉트를 잡는 데 좋은 밑거름이 됐다. 그리고 건물을 짓기 전시장조사차 떠난 건축, 인테리어 여행에서도 많은 영감을 받았다. “지금은 퇴사한 강신혜 전무가 만들어준 북유럽의 좋은 건축과 인테리어의 엑기스만 모은 가이드북이 많은 도움이 됐어요. 컨셉트를 잡기 전 고민이 많았는데 오래 두고 보아도 질리지 않을 뿐 아니라 심플한 멋이 있는 스칸디나비안 스타일이 우리가 추구하는 스타일이라고 생각했어요.” 건축주로서 숱한 고민과 시름에 빠졌을 만도 했건만 두 대표는 투철한 기자 정신으로 만든 건물이라고 답한다. “무형에서 유형을 만들어내는 잡지가 그렇듯 건축도 똑같은 것 같아요. 기획하고 설계하고 설계에 따라 건물을 짓고 컨셉트에 맞춰 소재를 선택하는 등 사실 결정해야 할 것이2만 가지도 넘었지만 한 권의 잡지를 만들 듯 모든 일을 대하니 큰 어려움은 없었다고 말한다. 업계에서는 흔히 똑똑한 클라이언트가 자신이 원하는 공간을 만든다는 말이 있다. 건축주가 중심을 잘 잡아야 좋은 건축이 나온다는 의미다. 두 대표는 건축주로서 까다로운 클라이언트였을 것이다. 하지만 자신들이 원하는 방향을 명확히 알고 함께 일한 건축가나 디자이너의 전문성을 인정하고 타협점을 잘 찾아간 똑똑한 건축주였음이 분명하다.

 

15층 대표실. 거실과 서재로 꾸며진 공간 양옆으로 두 대표의 집무실이 있다. 세월이 지나도 변치 않는 가치가 있는 핀 율의 원 컬렉션 가구로 꾸며 작은 북유럽 같은 느낌이다.

 

아르네 보더의 빈티지 책상을 사용하고 있는 이소영 대표.

 

5층부터 11층까지 직원들의 사무실이 있다. 기능적인 책상과 의자를 배치해 업무를 보는 이들에게 편안함을 제공한다.

 

신사옥의 테마는 회사의 슬로건인 ‘New&Differnt’. 직원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근무하며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행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환경 친화적 디자인에 중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건축은 엔이이디의 김성우 소장, 시공은 씨앤오 건설 주식회사, 가구 및 조명 스타일링은 이노필의 김계연 대표, 조경 식재 시공은 에이트리 김상윤, 박지호 대표가 맡았다. 김성우 소장이 신사옥을 설계하면서 중점적으로 고려한 것은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건물의 인상 만들기였다. 건물의 외장재는 여러 질감의 표현이 가능한 GFRC (Glass Fiber Reinforced Concrete) 패널을 사용했는데 주목할 만한 점은 회사의 슬로건인 ‘New&Differnt’를 모르스Morse 부호화시켜 패널 하나하나에 입혔다는 것이다. 실내 공간은 건물 외관의 짙고 육중한 느낌과 상반되는 전체적으로 밝은 톤을 사용해 반전의 기분을 만끽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공간 곳곳 시원하게 열린 창에는 도시의 풍경이 그림처럼 걸려 있어 내부 공간의 답답함을 없앴고 각 층마다 열교환기 설비를 설치해 창문을 열지 않아도 항상 신선한 공기가 순환 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건축과 설계를 맡은 김성우 소장이 기능적이면서 환경적인 공간 만들기에 집중했다면, 가구 및 조명 스타일링을 담당한 김계연 대표는 ‘Create in Comunal Comfort’를 주제로 사무 공간에 온기를 더하는 작업을 했다. 공간 곳곳은 덴마크에서 공수해온 북유럽의 디자인 가구들로 꾸몄는데, 원 컬렉션 One Collection, 벤트 한센 Bent Hansen, 보우드 Woud, 콘스탄트베르크 Konsthantverk 등이 온기를 품은 모습으로 안착되어 있다. 옥상정원 구름 마루는 각진 건물과 대비되는 유선형의 곡선으로 에워싼 정원으로 계획됐고 다층구조 식재 교목, 관목수, 지피 초화류 식물 30여 가지를 심어 리듬감있게 사계절의 변화를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정원으로 완성했다.

신소희, 이소영 대표는 직원들이 신사옥에서 행복감을 느끼고 생명력을 충전 받을 수 있기를 소망한다. 회사는 어쩌면 집보다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일 수 있다. 하루하루 일상과 내 모습이 가장 많이 담겨지는 곳. 더북컴퍼니 사옥은 직원들에게 두 번째 그 이상의 집이 아닐까 싶다.

 

3층 로비 라운지와 4층 자료실은 오픈되어 있는 독특한 구조를 띤다. 더북컴퍼니를 찾아온 손님뿐 아니라 직원들이 자유롭게 오가며 북유럽 인테리어와 디자인 가구를 경험해볼 수 있는 곳이다.

 

탁 트인 하늘과 마주할 수 있는 루프 가든 구름 마루.

 

로비 라운지는 더북컴퍼니를 기억하게 만드는 얼굴 같은 공간이다

 

지하 2층에 자리한 이벤트홀 토브 TOBE. 각종 이벤트를 비롯해 작은 콘서트도 열 수 있는 규모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태준

TAGS
Secretive Cube House

Secretive Cube House

Secretive Cube House

심플한 공간을 지루하지 않게 만들기. 건축가 데이비드 툴스트럽은 이 도전에 성공했다. 덴마크 코펜하겐에 자리한 큐브 모양의 집에는 식물이 자라면서 강철, 유리와 상호작용한다.

전체가 나무 각재로 마감된 이 묵직한 ‘상자’를 보면 우선 당황하게 된다. 현관과 부엌으로 통하는 문 부분만 트여 있기 때문이다. 덴마크 코펜하겐 브리게 Brygge 지역의 트렌디한 거주지구에 있는 이 인더스트리얼 건물은 본래 270㎡ 규모의 공장이었는데, 건축가 데이비드 툴스트럽과 그의 건축 스튜디오팀이 포토그래퍼 피터 크라실니코프를 위한 주거 공간으로 개조했다. 좁은 길에 자리한 이 건물은 빛이 잘 들지 않았다. 건축 스튜디오는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중앙 정원인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모든 방을 배치하는 도전을 감행했다. 이 집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유리 벽이 3개 층에 이어지면서 시선을 다각화하고 빛을 끌어들인다. 극도의 간결함을 위해 무미건조할 수 있는 위험을 무릅쓴 선택이었다. 피터는 지루하지 않은 공간을 만들기 위해 밝은 색 나무와 모직물, 퍼로 된 태피스트리, 벨벳 등 컬러풀한 텍스타일을 다양하게 활용했다. 그가 심사숙고해서 선정한 사진 작품과 아이코닉한 디자인 가구 그리고 원래부터 이 공간에 있던 소재인 콘크리트 바닥, 검게 변한 강철, 빛바랜 벽돌이 넓은 공간에 독특한 온기를 가져다준다.

저녁마다 높이가 2.2m나 되는 통창에 벨벳 커튼을 치면 집과 하나 된 식물들이 다이닝 공간에 무대 같은 분위기를 부여한다. 피터는 브라질산 나무 자토바 Jatoba로 만든 테라스에 작업실을 열었다. 자토바 나무의 회색 톤이 사과나무와 허브, 벽을 타고 자라는 다년생식물의 은녹색이 녹아들며 도시에서 자라는 이 숲을 매혹적으로 만든다.

 

 

모든 방은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향한다. 1층에는 거실과 연결된 오픈 키친과 사무 공간, 다이닝룸이 있고 2층에는 2개의 침실이 있다. 왼쪽 페이지 자토바 나무 각재가 보여주는 미니멀리즘. 집이 마치 거대한 나무 상자처럼 보인다.

 

 

아트리움으로 확실하게 밝아진 거실. 피터의 사진 작품과 1960년대 지미헨드릭스의 초상화가 록 스타일을 만들어낸다. 콘크리트 블록 안에 쏙 들어간 소파와 작고 낮은 테이블은 데이비드 툴스트럽 스튜디오에서 디자인했다. 쿠션과 퍼 태피스트리는 피터가 여행지에서 구입한 것. 암체어 ‘637 위트레흐트 637 Utrecht’는 디자이너 게리트 토마스 리트벨트 Gerrit Thomas Rietveld가 까시나 Cassina를 위해 디자인한 제품으로 크바드랏 Kvadrat 패브릭으로 커버링했다. 이 암체어의 밝은 컬러가 무채색의 공간에 온기를 준다. 앞쪽에 달아놓은 펜던트 조명 ‘파렌테시 Parentesi’는 아킬레 카스틸리오네 Achille Castiglione가 디자인한 것으로 플로스 Flos 제품.

 

다이닝 공간에는 한스 베그너 Hans Wegner가 디자인한 칼 한센 Carl Hansen의 나무 테이블과 의자를 놓았다. 저녁에 치는 큰 벨벳 커튼이 공간에 세련된 분위기를 더한다. 펜던트 조명은 데이비드 툴스트럽 스튜디오에서 디자인한 것. 벽과 바닥은 시멘트로 마감했다.

 

부엌 한가운데에는 맞춤 제작한 아일랜드 식탁을 놓았다. 조각 작품 같기도 한 아일랜드 식탁은 콘크리트에 유리와 돌을 섞어 만드는 테라초로 마감했다. 아일랜드 식탁과 마주한 벽돌 벽은 옛날 공장의 일부분이다. 벽에 건 아프리카 가면은 피터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케이프타운에서 구입한 것.

 

빛이 잘 드는 피터의 침실. 검은색 강철 프레임이 떡갈나무로 마감한 벽과 바닥, 등나무 암체어, 누비 면 침대보와 퍼 태피스트리 같은 부드러운 패브릭 덕분에 따뜻해졌다. 헤이 Hay의 금속 소재 사이드 테이블 ‘슬리트 테이블 롱드 Slit Table Ronde’와 CTO 라이팅 CTO Lighting의 플로어 조명이 공간에 광택을 더한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벵상 티베르 Vincent Thibert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