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하는 아이템 없이 집주인의 개성으로 채운 집을 만나기가 더욱 어려워진 요즘, 비하우스 김지영 실장의 집은 훌륭한 예가 될 것이다.
작은 응접실처럼 꾸민 거실. 부술 수 없는 내력벽을 벽난로 장식으로 마감한 점이 아이디어다.
거실에서 바라본 다이닝 공간과 주방. 각 공간마다 조금씩 다른 스타일의 가구와 바닥재로 마감했다.
직접 제작한 아이템과 집주인의 취향으로 꾸민 아늑한 집을 만났다. 유행하는 아이템이 눈에 띄지는 않았지만 원하는 아이템은 주문 제작했고, 여행지에서 사 모은 물건으로 집 안을 채웠다. 인테리어 업체 비하우스를 운영하고 있는 김지영 실장의 집 이야기다. 그녀가 진행해온 인테리어 결과물이 그러했듯 자신이 사는 집의 인테리어 또한 유행을 타지 않았다.
김지영 실장이 이사할 집을 찾으면서 우선적으로 고려했던 것은 공간을 마음껏 재구성할 수 있을 것 그리고 1층 혹은 꼭대기 층이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1층을 원했던 것은 앞마당을 활용할 수 있을 거란 기대감 때문이었는데, 공용 공간이라 어렵다는 것을 알게 돼 꼭대기 층을 찾기 시작했다. 어차피 공사를 해야 해서 낡은 아파트를 찾아다녔고, 지금 사는 아파트는 30년이나 되어 몇 개의 내력벽을 제외한 모든 벽을 없앨 수 있어 원하는 공간을 만들기에 제격이었다. 더구나 그녀가 원했던 꼭대기 층이었다. “꼭대기 층에 대한 편견이 있어요. 너무 덥거나 춥다는 거죠. 그 문제는 단열 공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거든요. 기초공사를 탄탄하게 하면 층 수에 상관없이 에너지 효율도 높일 수 있고 관리비도 적게 나와요. 또 윗집의 층간 소음으로부터도 자유롭죠.” 그녀는 꼭대기 층의 예찬론자다. 이 집의 거실은 소파가 놓이고 맞은편에 TV가 있는 전형적인 거실이나 책을 인테리어 요소로 활용한 서재형 거실이 아닌 창문으로 산이 바라보이는 응접실 같은 분위기다. 특정 스타일로 가구를 맞추지 않고 편안함을 위주로 선택한 가죽과 패브릭 소파를 ㄱ자 형태로 두었다. 아버지가 주신 오래된 러그와 의자, 사이드 테이블을 둔 클래식한 공간과 벽난로 장식도 눈에 띈다. “제가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아이디어 중 하나예요. 부술 수 없는 내력벽을 활용해 벽난로처럼 꾸미는 거죠. 윗부분에 장식도 할 수 있어 일석이조예요.” 벽난로 아이디어 덕분에 거실이 한층 더 아늑하고 포근해졌다.
아버지가 물려주신 러그와 클래식한 가구로 꾸민 거실의 한 코너. 벽을 따라 책장 겸 장식장을 설치했다.
이제 막 가족이 된 강아지 수리와 김지영 실장.
부부 침실의 휴식 공간. 이곳에서 프라이빗하게 휴식을 취하거나 낮잠을 자기도 한다.
흰 벽처럼 보이지만 살짝 밀면 회전문처럼 문이 열리는 부부 침실에는 서재 겸 쉴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두었다. 문을 열면 바로 침대가 보이지 않고 소파와 김지영 실장이 취미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작업 공간이 나온다. 서재를 따로 두지 않은 대신 침대에 눕기 전이나 낮에 프라이빗하게 쉴 수 있는 간이 공간을 만든 것. 서재를 만드는 이들은 많지만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창고처럼 변하거나 방치되기 쉬운데, 침실과 연결된 개인 공간을 만들어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다. 아들과 딸의 방도 서로 다른 분위기로 꾸몄다. 이제 중학생인 아들은 깔끔한 느낌을 좋아해 오래전부터 썼던 침대를 흰색으로 칠하고 단정하게 정돈했으며 자유분방한 성격의 딸아이 방은 플라워 벽지를 포인트로 귀여운 느낌을 더했다. 주방에는 식탁 겸 조리대로 사용하는 넓은 아일랜드 식탁이 있지만 가족이 모여서 식사할 때는 거실과 이어진 다이닝 공간을 활용한다. 김지영 실장은 식탁부터 의자, 조명 그리고 의자 방석까지 모두 제작했을 만큼 특히 다이닝 공간에 애정을 쏟아 부었다 . “사고 싶은 아이템을 오랫동안 찾아도 마음에 드는 것이 없을 때는 제작을 해요. 다이닝 공간의 가구도 제작했고 거실 소파 앞에 둔 사이드 테이블도 마음에 드는 것이 없어서 상판 유리랑 다리를 주문해서 맞춘거예요.” 기성 제품을 굳이 고집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 그녀의 주관이다. 유리로 만든 샹들리에와 타원형의 대리석 의자, 벨벳 소재의 방석과 커튼이 어우러져 글래머러스한 스타일을 느낄 수 있다. 계절에 따라 커 튼과 쿠션을 바꾸며 분위기 전환을 한다고.
아이들 방 앞에 만든 책장. 최근 미술학에 빠져 있는 남편의 책이 대부분이다.
클래식한 분위기로 단정하게 꾸민 부부 침실.
침실 한 켠에는 김지영 실장의 취미 공간이 숨어 있다.
안방에 달린 욕실은 대리석으로 화사하게 마감했다.
바닥재 시공 방향도 독특하다. 67평의 넓은 아파트에 한 가지 바닥재를 사용하면 밋밋해 보일 수 있어 석재 타일과 원목 마루를 선택했다. 대신 시공 스타일에 변화를 주었는데, 방에는 갈매기 모양의 헤링본 패턴으로 원목 마루를 시공했고 거실과 주방은 일반적인 방향으로 시공했지만 공간과 공간 사이의 바닥 부분에 황동으로 프레임을 넣어 방향을 다르게 시공했다. 때문에 따로 문이나 문지방은 없지만 공간이 바닥에서 자연스럽게 구분된다. “벽도 전체를 도장하지 않았어요. 비용적인 면도 그렇고 많은 분이 오해하는 부분이 도장을 하면 계속 손을 봐야 해요. 지속적인 A/S가 필요한 거죠. 그래서 아이가 있는 집이나 시간적으로 여유가 많지 않다면 벽지를 바르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고 실용적이에요.” 인테리어 디자이너로 일한 지 10년, 김지영 실장은 그동안 일하면서 얻은 노하우를 발휘해 가족에게 맞는 최적의 집을 선보였다. 고객으로부터 의뢰 받을 때는 취향에 제약이 있지만 이번에는 흰색 캔버스에 그리고 싶은 그림을 맘껏 그릴 수 있었다. 이 집이 그녀의 또 다른 포트폴리오가 될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것은 왜일까.
군더더기 없이 모던하게 마감한 주방. 간단한 식사를 할 때는 아일랜드 식탁을 활용한다. 인덕션 위에는 조명처럼 보이는 후드를 설치했다
깔끔한 것을 좋아하는 중학생 아들의 방. 오래된 침대는 색을 칠해 리폼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