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갤러리의 K1 건물이 대대적인 리뉴얼을 거쳐 재개관했다. 단순히 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가 아닌 카페와 레스토랑, 웰니스 센터가 공존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찾아왔다.
지난 1987년부터 현재까지 삼청동을 지켜온 국제갤러리의 K1 건물이 2년여간의 리노베이션을 거쳐 새롭게 탄생했다. 올해로 설립 38주년을 맞은 국제갤러리가 역사 그 자체인 K1 건물을 통해 새로운 출발을 알린 것. K1은 단순히 작가의 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의 개념을 넘어 카페와 레스토랑, 라이프스타일과 예술이 결합된 웰니스 센터를 갖춘 복합 문화 공간으로 변신했다. 2년여 간의 시간 동안 공들여 완성한 이곳의 건축 설계 및 1층 카페와 전시 공간의 인테리어 디자인은 아워스튜디오의 김수란 대표가 맡았으며, 지하 1층과 지상 2층, 3층은 태오양스튜디오가, 갤러리 사이니지 디자인은 디자이너 크리스 로 Chris Ro가 담당했다. 1층 카페는 그래픽디자이너 김영나의 벽화 작업 ‘Tracing 4-1’, ‘Tracing6-1’(2020)으로 시각적 즐거움을 높였으며 2층 ‘더 레스토랑’은 국제갤러리와 오랜 시간 함께해온 셰프 아베 고이치 Abe Koichi가 다채로운 계절 메뉴와 정통 프렌치, 일본 퓨전과 이탈리아 요리를 선보이는 파인 다이닝으로 운영된다. 특히 레스토랑 중앙에는 양혜규 작가가 개념미술가이자 미니멀리즘 작가인 솔 르윗 Sol LeWitt의 입방체 구조를 참조해 제작한 ‘솔 르윗 뒤집기 – 22배로 확장되고 다시 돌려진, 열린 기하학적 구조물 2-2, 1-1’(2017)을 매달아 압도적인 분위기를 연출했다. 또 벽면에는 런던 디자이너 그룹 OK-RM과 협업한 벽지 작업 ‘이모저모 토템’(2013)의 일부를 차용해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가능케 한다. K1건물의 3층에 자리한 ‘웰니스 K’도 빼놓을 수 없는 관전 포인트다. 갤러리에서의 피트니스 공간은 다소 낯설게 다가오기도 하는데, 사실 웰빙 Well-being과 건강Fitness의 합성어인 웰니스는 뉴욕 현대미술관과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런던 테이트 모던 등 다수의 국내외 미술관에서 주목하는 주제로, 요가와 명상 같은 프로그램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국제갤러리 역시 관람객의 라이프스타일과 밀접하게 연계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미술과 운동을 접목한 웰니스 K 공간을 설계했고, 갤러리의 오랜 회원들을 위해 운영될 계획이라고 한다.
K1의 2층과 3층, 지하 1층의 가구, 조명 등 전반적인 인테리어를 디자인한 양태오 디자이너는 갤러리가 기본적으로 지니는 고유의 모던함과 비움의 미학에 포커스를 맞춰 이번 프로젝트의 컨셉트를 고안했다. 실제 수년간 그가 방문한 해외 컬렉터의 집에서 많은 영감을 받아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갤러리를 집으로 가정해 작품이 걸린 모습을 상상하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고 한다. 관객들에게 조금 더 친숙하게 다가가고자 했던 국제갤러리의 의도를 반영하면서도 자신만의 감각을 더해 K1의 일부 공간을 완성한 양태오 디자이너에게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INTERVIEW
지하 1층과 2층, 3층의 전반적인 인테리어를 맡았다. 해외 컬렉터의 집을 주요 컨셉트로 작업했다고 들었는데, 디자인 의도와 관람객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무엇이었나?
갤러리가 화이트 큐브 안에서 보여지는 작품의 감상이었다면, 조금 더 실제적인 공간에서 예술을 바라보고 또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다는 것이 국제갤러리의 의견이었다. 나 역시 그런 부분에 공감했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웰니스를 갤러리를 통해 보여주고, 또 그것이 예술과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지 논의했다. 그러다 보니 작품을 일반 집이나 사람들이 실제 살고 있는 공간에서 보여주고자 했고, 조금씩 그 방향이 잡혀나갔다.
2층의 더 레스토랑을 작업하면서 가장 신경 쓴 점은 무엇인가?
K1에있는모든 조명과 가구를 디자인했다. 강한 존재감이 있으면서도 아트피스와 대립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했다. K1 프로젝트는 설계에 앞서 작품을 먼저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보통은 완성된 장소에 작품이 더해지면서 공간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도구로 많이 사용되지만, 이번 프로젝트는 처음부터 작품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레스토랑은 양혜규 작가의 행잉 구조물을 중심으로 인테리어 설계와 가구, 조명이 디자인됐다. 결과적으로 작품을 둘러싼 주변이 아트를 돋보이게 하며 또 그것이 실질적이고 실용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지 고민했다. 내게 있어서도 일종의 도전이었지만 만족스러운 결과물이 나온 것 같다.
다소 생소하기도 한 미술관 안의 피트니스 공간인 웰니스 K를 디자인 하는데 가장 중점을 둔 부분은 무엇인가?
일단 예술이란 사람들한테 평안함을 주며 생각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된다. 때문에 요가 홀에도 우고 론디노네 Ugo Rondinone의 작품을 설치한다든지, 본격적인 피트니스 공간으로 올라가는 계단에는 제니 홀저 Jenny Holzer와 바이런 킴 등의 작품을 비치해 관람객들에게 자신의 웰빙과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또 올라가서 운동하는 공간에는 줄리안 오피Julian Opie의 ‘조깅하는 사람들’의 작품을 배치해 끊임없이 작품을 통해 질문을 던지고, 또 작품을 바라보며 운동하는 식의 고차원적인 휴식 공간을 만들고자 노력했다.
앞으로 갤러리는 어떤 모습으로 변화할 것 같은가?
갤러리는 더욱더 가깝게 사람들의 삶에 스며들고 있다. 이제는 권위적인 모습에서 탈피해 갤러리나 미술관 또는 박물관에서만 예술 작품을 볼 수 있다는 선입견이 없어지는 것 같다. 예술을 우리의 삶 속에 더욱 가깝게할 수 있는 중간자적인 역할을 갤러리가 담당하게 될거라고 생각한다. 국제갤러리뿐 아니라 하우저&워스와 화이트 큐브 등 해외 갤러리만 봐도 레스토랑과 카페, 스토어 등 다양한 체험이 가능해지고 있다. 갤러리는 점점 더 크리에이티브하고 파격적인 모습으로 변신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