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CANCE HOUSE

VACANCE HOUSE

VACANCE HOUSE

아망딘과 프랑크는 1960년대 지어진 파리의 듀플렉스를 바캉스 하우스처럼 만들었다. 과거 브루탈리즘 건축양식의 흔적을 지우고 집시 스타일로 시크하게 꾸몄다.

 

숨막힐 듯 멋있는 파리의 지붕들이 내려다보이는 테라스. 끈으로 된 암체어 ‘아카풀코 Acapulco’는 상투 에디시옹 Sentou Edition을 위한 OK 디자인 OK Design. 조약돌 모양의 바닥 쿠션은 마크 리빙스톤 Marc Livingstones 디자인으로 스마랭 Smarin. 등나무 암체어는 보나치나 Bonacina를 위한 프랑코 알비니 Franco Albini 디자인으로 빈티지 제품. 낮은 테이블 ‘페블 Pebble’은 에어 디비전 Air Division 디자인으로 리네 로제 Ligne Roset. 선으로 이뤄진 오브제는 파리의 부티크 아이외르 Ailleurs.

 

인테리어 디자이너 낭시는 자연에서 온 소재를 우선적으로 사용했다. 낮은 테이블 ‘페블’은 호두나무 소재로 에어 디비전 디자인으로 리네 로제. 암체어 ‘고스트 Ghost’는 리넨 소재로 파올라 나보네 Paola Navone 디자인으로 제르바소니 Gervasoni. 태피스트리는 양모 소재로 카펫비스타 CarpetVista. 선으로 이뤄진 오브제와 쿠션은 파리 부티크 아이외르.

 

“파리 한가운데 있는 바캉스 하우스예요.” 아망딘과 프랑크 는 저스틴 디자인 Just′in Design의 인테리어 디자이너 낭시 기에르내르트 Nancy Geernaert에게 이 프로젝트에 대해 간단히 설명했다. 파리 테른 지구의 아파트에서 가장 이상적인 7~8층에 자리 한 이 듀플렉스(하나의 필지에 두 가구가 나란히 지어진 형태의 집)는 220m² 크기로, 파노라마 뷰를 볼 수 있는 25m²의 넓은 테라스와 빛이 충분히 들어오는 큰 통유리가 있다. 게다가 13살인 쥐스탱과 11살인 클라라의 학교와도 아주 가깝다. 그들은 건축가 프랑수아 피노에게 맡긴 리 노베이션이 끝나면 이 집이 완벽하게 재탄생할 거라고 확신했다. 특히 다시 손본 방들은 그들의 기대를 완벽하게 충족시켰다. 그런데 여전히 이 집에서는 어떠한 생기도 느껴지지 않아 안타까운 상황이었다. 다시 말해 이 집만의 고유한 개성이 부족했던 것이다. “1960년대의 기능적인 건축은 아쉽게도 딱히 특별한 특징이 없어요” 하고 인테리어 디자이너 낭시가 설명한다. 이런 이유로 그는 이 집을 우아하면서도 살기 편한 보 헤미안풍으로 바꾸려고 했다. 직선으로 이뤄진 공간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유기적인 선을 지닌 가구들을 가져다놓았다. “너무 매끈한 새 것의 느낌을 피하기 위해 빈티지 가구를 우선적으로 골랐어요.” 그리고 나무와 텍스처를 느낄 수 있는 패브릭을 사용해 공간에 온기를 주었다. 자연적인 색감의 의자들은 몸과 마음을 편안히 해주고, 우아함을 부여 하기 위해 사용한 블랙과 블루마린은 공간에 생기를 준다. 아망딘은 언론사에서 일하고 프랑크는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를 운영한다. 그들은 일상에서 겪을 수밖에 없는 스트레스를 집에서 풀고 싶었다. “현관을 넘자마자 휴가를 온 것처럼 편안해요. 파리의 한가운데에서 말이죠. 그리고 배경으로 개선문과 에펠탑을 볼 수 있다는 사실에 항상 놀라고 감사하죠.”

 

넓은 거실과 부엌으로 구성된 낮을 위한 공간과 위층의 밤을 위한 공간을 연결하는 계단. 랜턴은 파리 부티크 아이외르.

 

생투앙의 폴베르 시장에서 구입한 1950년대 스칸디나비안 암체어는 양가죽으로 커버링했다. 쿠션은 파리 부티크 아이외르. 선반위에있는꽃병은임페르페토랩 Imperfetto Lab. 촛대는 톰 딕슨 Tom Dixon. 아니 르팔라 Anni Leppala의 사진 작품은 갈르리 타익 페르송 Galerie Taik Persons에서 구입. 거울로 된 상자는 안티크 미러 Antique Mirror.

 

거실에서는 침실과 마찬가지로 가구를 주인공으로 만들기 위해 나무 수납장을 짜서 라디에이터와 스피커, 전선을 가렸다. 카나페와 암체어 ‘고스트’는 제르바소니. 벨벳 쿠션은 엘리티스 Elitis. 플로어 조명 ‘스위치 온 Switch on’은 랑베르 Lambert. 그 뒤 벽에 걸린 거울 ‘켈리 Kelly’는 포막스 Pomax. 바닥 조명 ‘오다 ODa’는 세바스티안 헤르크너 Sebastian Herkner가 퓔포 Pulpo를 위해 디자인한 제품. 태피스트리는 카펫비스타. 책장 안의 왼쪽 그리스 조각상 옆모습 사진은 아르노 피브카 Arnaud Pyvka. 오른쪽의 계단 사진은 프랑수아 들라데리에르 Francois Deladerriere 작품. 갈르리 르 레베르베르 Galerie Le Reverbere에서 판매. 아래쪽의 다리 달린 조명 ‘타이드라이트 Tidelight’는 프티트 프리튀르 Petite Friture. 앞쪽에 있는 1950년대 스칸디나비안 암체어는 생투앙의 폴베르 시장에서 구입. 사이드 테이블은 자라 홈. 낮은 테이블 ‘페블’은 리네로제.바닥에놓은조약돌모양의쿠션은마크 리빙스톤 디자인으로 스마랭. 선으로 이뤄진 오브제와 쿠션, 나무 타부레는 파리 부티크 아이외르.

 

대조를 이루는 부엌. 농가에서 쓰던 빈티지 테이블의 투박함이 펜던트 조명 ‘베르티고 Vertigo’의 정제된 디자인과 대비를 이룬다. 조명은 콘스탄스 기세 Constance Guisset 디자인으로 프티트 프리튀르. 의자 ‘위시본 Wishbone’은 한스 베그너 Hans Wegner 디자인으로 칼한센앤선 Carl Hansen&Son. 나무접시와조리대위의소품은모두파리의 부티크 아이외르. 테이블 아래의 태피스트리 ‘카스바 Casbah’는 툴르몽드 보샤르 Toulemonde Bochart. 부엌 쪽 태피스트리는 엘리티스.

 

벽지 ‘에투알 뉘 Etoile Nuit’로 마감해 꿈 같은 분위기를 연출한 게스트룸. 벽지는 로 몽드 소바주 Le Monde Sauvage. 거울 ‘모닝 Morning’은 엠 뉘앙스 M Nuance. 리넨 이불 커버는 메르시 Merci. 리넨 베개 커버는 소사이어티 Society. 벨벳 쿠션은 엘리티스. 태피스트리와 벤치, 돌 접시는 파리 부티크 아이외르.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가엘 르 불리코 Gaelle Le Boulicaut

writer

비르지니 뤼시 뒤보스크 Virginie Lucy-Duboscqr

TAGS
나의 세 번째 작업실

나의 세 번째 작업실

나의 세 번째 작업실

다세대 주택의 꼭대기 층을 작업실로 개조한 디자인서다 홍희수 대표. 그녀의 세 번째 작업실은 독특한 복층 구조의 공간에서 아르데코와 미드센트리, 빈티지 스타일을 향유할 수 있다.

 

머스터드 컬러의 소파와 캐비닛, 카펫이 라운지 공간처럼 따뜻한 느낌을 주는 위층.

 

외관의 문과 디자인 서다의 문은 모두 장 푸르베의 컬러에서 채용했다.

 

좋아하는 베이지 톤의 블라우스를 입은 홍희수 대표.

 

디자인서다 홍희수 대표의 세 번째 작업실에서는 연륜이 느껴진다. 이는 한 분야에서 오랜 시간 일하는 이들만이 가질 수 있는, 결코 짧은 시간안에 복제하거나 유행처럼 스쳐 지나갈 수 없는 전문가의 특권같은 것이다. 홍희수 대표는 경리단길의 다세대주택 건물을 매입해 1층과 2층은 세를 주고 3층에 작업실을 열었다. 건물 외관도 페인트칠을 새롭게 해서 그 길을 잘 아는 이들은 ‘새 건물이 지어진 건가’ 하며 고개를 갸우뚱할지도 모른다. 채도 낮은 버건디 컬러의 문을 열고 계단을 올라가서 다시 카키색 문을 열고 디자인서다의 안 으로 들어섰다. “장 프루베의 컬러를 채용해 문과 외관을 칠했는데, 요즘 한창 인기인 것을 보니 괜히 했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웃음). 유행이라서 선택한건 아닌데 말이에요.” 문 색깔이 아름답다고 말한 것에 대한 홍희수 대표의 대답이었다. 원래 가정집이었다는 사실을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이제는 작업실의 면모를 갖춰 재탄생한 이곳은 공간 안에 또 공간이 있는 구조다. 꼭대기층의 장점을 살려 복층 구조를 완성한 것. 아래층에는 직원들의 사무실과 간이 주방, 미팅을 위한 큰 테이블이 놓였고, 위층은 온전히 홍희수 대표의 공간이다. 정리를 더 했어야 한다며 겸연쩍어 하는 홍희수 대표는 평소에는 작업실 중앙에 놓인 커다란 아일랜드에서 많은 이야기를 나눈다고 전했다.

위층에서도 단차를 두었다. 캐비닛은 직접 제작한 것이며 앞에 불을 켠 조명은 홍희수 대표가 아끼는 제품이다. 화분 옆에 둔 버섯 오브제에서 그녀의 귀여운 면모가 드러난다.

 

위층에서 내려다본 사무실. 넓은 까시나 테이블은 미팅을 할 때 주로 활용한다.

 

식물 하나 소품 하나에서도 홍희수 대표의 감각을 엿볼 수 있어 작업실을 둘러보는 재미가 있다.

 

디자인서다는 동물에게 관대하다. 직원과 함께 종종 출근하는 캐시는 회색 털이 멋진 샤페이종이다.

 

“불탑의 오래된 모델이에요. 고객이 사용하던 건데 새로 구입하면서 버리지 않고 제가 가지고 왔죠. 서서 커피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거나 원단이나 칩을 볼 때도 넓게 펼쳐놓을 수 있어 작업대처럼 사용하고 있어요.” 새것의 반짝거림은 없었지만 스테인리스의 세월을 입은 흔적이 오히려 멋스럽게 보였다. 이 작업실의 아름다움은 역시 위층에서 드러난다. 홍희수 대표는 낮은 층고의 복층이지만 허리를 다 펴고 설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고 아래 층을 내려다 볼 수 있게 벽을 유리로 만들었다. 덕분에 작은 공간이지만 답답함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위층에서는 어디에 앉아도 바깥의 우거진 나무가 보여서 숲속에 있는 집 같다. 단차를 두어 위에는 책상을, 아래에는 소파를 두었는데, 작업실 가장 안쪽에 자리 잡은 책상 코너는 뾰족한 지붕과 어우러져 다락방처럼 아늑하다. 아르데코 스타일을 좋아하는 홍희수 대표의 취향을 엿볼 수 있는 조명과 빈티지한 미드센트리 시대의가구, 직접 제작한 캐비닛과 머스터드 컬러의 플렉스폼 소파 그리고 사이드 테이블처럼 활용하고 있는 한국 고가구까지 촬영을 위한 세트장인가 싶을 정도로 정돈돼 있지만 스타일링의 세련된 강약 조절을 느낄 수 있다.

 

선물 받은 엥겔포이즈의 폴스미스 에디션과 꼭 어울리는 공간. 홍희수 대표는 작업실의 벽 일부를 좋아하는 베이지 톤의 타일로 시공했는데, 이를 화장실에도 적용했다.

 

카페처럼 공을 들인 화장실.

 

“이전 작업실은 직원 수에 비해 많이 넓었어요. 그러다 보니 짐도 계속 쌓이고 관리도 안되는 상황이었죠. 지금 작업실은 크기는 작아졌지만 있을 것만 갖췄고 동선도 훨씬 편리해요”라며 홍희수 대표는 지금 작업실에 만족한다고 말했다. 디자인서다는 CGV, SM엔터테인먼트, 신세계, GS Shop 등의 대기업 브랜 드와 제주 모노가든, 라니앤컴퍼니처럼 스타일이 돋보여야 하는 개인 공간까지 설계부터 스타일링을 두루 담당한다. 때문에 작업실은 디자인서다의 정체성을 보여줄 수 있는 가장 직관적인 장소여야 할 것이다. 홍희수 대표의 세 번째 작업실은 누구든 포용할 수 있도록 부담스럽지 않지만 컬러와 곳곳에 놓인 소품, 가구 하나까지도 디자인서다의 개성을 담고 있다. 설계와 스타일링은 비슷한 듯 한끗 차이로 다른 영역인데 두 가지 영역을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홍희수 대표의 내공이 빛을 발하는 공간이랄까. 무심코 문을 열었다가 예뻐서 놀라게 되는 크림색 화장실만 봐도 알 수 있듯 말이다. 이제 연륜과 노하우가 집약된 이곳에서 디자인서다의 넥스트 디자인을 즐길 일만 남았다.

 

유리 벽이여서 복층이지만 개방감이 느껴진다. 넓지 않지만 동선과 구조가 일하기에 효율적이다.

 

박공지붕의 매력을 한껏 살려 다락방처럼 아늑한 위층. 창밖으로 우거진 나무가 보여 숲 속에 있는 집에 있는 듯한 착각이 든다. 아르데코 스타일을 좋아하는 홍희수 대표의 취향이 듬뿍 묻어난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태준

TAGS
Harmony of OLD&MODERN

Harmony of OLD&MODERN

Harmony of OLD&MODERN

오래된 것과 현대적인 것의 조화가 주는 신선함에 마음을 빼앗겼다. 반짝이는 보석 같은 작품을 만들어내는 뉴욕의 듀오 디자인 스튜디오 아파라투스를 소개한다.

 

가장 최근에 선보인 인터루드 컬렉션이 전시되어 있는 아파라투스의 뉴욕 쇼룸. 고급스러운 올리브빛 벨벳으로 마감해 우아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아파라투스의 공동 대표 가브리엘 헨디파와 제레미 앤더슨.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아파라투스 Apparatus는 패션 디자이너 가브리엘 헨디파 Gabriel Hendifar와 마케팅 전문가 제레미 앤더슨 Jeremy Anderson이 공동 설립한 브랜드로 과감한 컬러와 소재의 조합으로 그들만의 정체성이 묻어나는 하이엔드 컬렉션을 선보인다. 패션 디자이너이자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활동한 가브리엘은 쿠튀르 레이블인 J.MARY와 라쿠엘 알레그라 Raquel Allegra의크리에이티브 팀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으며, 제레미는 아파라투스 제품의 생산과 운영을 감독하기 위해 오랫동안 몸담았던 홍보 업계를 떠나왔다고 한다. 오래된 것과 현대적인 것을 뒤섞어 시대를 알 수 없는 묘한 분위기를 풍기는 이들의 제품은 황동, 대리석, 유리, 말총, 옻칠, 도자 등 실험적인 소재를 적용해 공예적인 작품을 생산하며, 모두 뉴욕 스튜디오의 장인들에 의해 수작업으로 만들어진다. 사실 아파라투스는 <아키텍처럴 다이제스트Architectural Digest> <T 매거진> <월드 오브 인테리어스 World ofInteriors> <보그> <월페이퍼> 등 해외 유명 매체에서 앞다퉈 소개된 바 있다. 또 브랜드가 지닌 특유의 아름다움과 신선한 디자인을 선보이며 밀라노 국제 박람회에서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기도 했다.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가브리엘은 욕망과 감정적 반응이라는 단어를 통해 브랜드의 정체성과 내러티브를 구축해나간다. “사람들에게 욕망의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싶다”고 말하는 아파라투스의 공동 창립자 가브리엘 헨디파와 이야기를 나눴다.

 

장인정신으로 한 땀 한 땀 수놓아 완성한 인터루드 컬렉션은 폐쇄된 모더니스트 오페라 하우스에서 영감을 받은 7개의 작품으로 구성된다. 황동과 말총, 유리, 자수 등 서로 반대되는 물성을 지닌 재료를 조합해 아파라투스만의 정체성을 담은 컬렉션이 탄생했다.

INTERVIEW

아파라투스는 가브리엘과 제레미가 공동 대표로 이끌고 있다. 브랜드를 설립하게 된 계기가 궁금하다.
로스앤젤레스에서 10년간 여성복을 디자인했다. 제레미와 내가 만났을 당시 그는 PR활동을 하고 있었고, 그의 일때문에 뉴욕으로 가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우리가 정말로 원하는 삶이 무엇인지 또 우리의 인생에서 다음 챕터는 어떤 모습일지에 대한 의문이 생기기 시작했다. 뉴욕에 도착했을 때 서로 간의 깊은 대화와 지인들의 도움을 받아 브랜드를 시작할 수 있었다. 아파라투스는 여전히 우리가 세상에서 보고 싶은 것을 창조해내는 곳이며 우리가 살고자 하는 세상이다. 초기 디자인은 주로 주얼리에서 영감을 얻었는데, 이는 나에게 궁극적인 욕망의 대상이며 영감의 원천이다.

조명을 주로 선보이는 이유가 있나?
조명은 내게 있어 공간 속 영혼과도 같다. 언제나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이를 지시하는 것에 흥미를 느끼곤 했다. 조명은 가구처럼 구조적인 한계 없이도 자유롭게 조각품과 주얼리 같은 느낌을 준다는 사실이 가장 흥미롭다.

브랜드 컨셉트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은 무엇인가?
나의 목표는 욕망의 대상을 만드는 것이었다. 개인적으로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주변의 사물에서 매력을 느끼는 편인데, 다른 이들에게도 내가 사물을 통해 느낀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싶었다. 단지 무언가를 만들어낸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우리의 작품을 사람들과 공유하고 보여주며 이야기하면서 우리의 에너지를 전달하고 싶다.

 

아파라투스의 뉴욕 쇼룸은 시원한 개방감을 자랑하는 높은 천고에 채도가 낮은 색감, 거대한 아치형 문, 황금색과 크림색을 띠는 조명, 가구, 오브제가 한데 어우러져 눈길을 사로잡는다. 이곳의 스타일링은 헬레 왈스테드 Helle Walsted가 맡았다.

 

황동과 도자, 유리, 가죽 소재가 많이 쓰인 것 같다. 재료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무엇인가?
나는 이들 물질이 풍부한 영혼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며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그 의미가 짙어진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재료가 주는 특유의 촉감과 질감은 소비자로 하여금 만져보고 싶게 하며 나는 그들의 반응을 즐긴다. 하나의 제품으로 만들어진 순간 또 다른 삶이 부여된다는 점 역시 좋다.

영감은 어디에서 얻나?
일종의 이미지에서 영감을 받는다. 때로는 오래된 레코드 퍼포먼스나 영화의 한 장면 등 실제적인 것이지만 가끔은 어느 한순간의 느낌과 공간감, 사람 또는 존재감과 같은 추상적인 경우도 많다. 그들이 누구이고 어떤 느낌인지 먼저 묻는 것을 시작으로 작품화하는 과정을 이어가지만 결국 모든 것은 이미지로 돌아온다.

뉴욕과 LA 쇼룸의 압도적인 인테리어가 인상적이다.
인테리어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전반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우리의 쇼룸을 방문한 사람들이 방금 전까지 지나온 거리에서 ‘우리’의 세상으로 옮겨온 듯한 느낌을 받길 바랐다. 음악과 냄새, 사람까지도 세심하게 고려했다. 사람들에게 우리의 스튜디오를 경험하게 하는 것은 브랜드에 대한 감각과 작품과의 연결을 제공하는 중요한 시간이기 때문이다.

가장 최근 선보인 인터루드 Interlude 컬렉션에 대해 설명해달라.
제한된 규모로 제작한 이번 컬렉션은 우리의 기술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추진할 수 있는 기회였다. 폐쇄된 모더니스트 오페라 하우스에서 영감을 받은 7개의 작품은 음악에서 받은 영감으로 가득 차있다. 자수 모티프는 공감각적 표현에서 비롯되었으며 아주 작은 조각에 대해 깊이 파고들 수 있는 기회였다.

아파라투스의 다음 행보가 궁금하다.
곧 선보이게 될 ACT IV 컬렉션에 대한 작업을 계속하고 있으며 스튜디오와 외부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수행할 것이다. 또 더욱 의미있고 폭넓은 디자인 커뮤니티를 구축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아파라투스의 가장 최근 컬렉션인 인터루드는 19개의 다양한 형태와 소재로 이루어졌다. 아래로 길게 늘어진 형태의 조명으로 Larita 4 Combination은 작은 공간에서 포인트 조명으로 활용하기 좋다.

 

조명 하단 부분의 불투명한 소재와 기다란 원통형 모양이 특징인 Tassel 3 Staggered.

 

반원을 엎어놓은 듯한 형태의 Trapeze 2 Mobile.

 

6개의 전구로 구성된 월 램프 Trapeze 6 Surface Mount-Black.

 

불을켰을때어두운밤하늘의 별을 연상시키는 Triad 12.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Apparatus, Eric Petschek, Wichmann+Bendtsen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