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멀 하우스

미니멀 하우스

미니멀 하우스

디자이너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무한한 신뢰는 그를 더욱 열정적으로 만들었다. 과감한 선 정리와 불필요한 요소를 배제해 개방감을 확보한 이 집에는 3대가 함께 산다.

 

우드&화이트 톤으로 마감한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는 원목 가구로 주방을 채웠다. 식탁은 아일랜드와 어울리는 디자인으로 817디자인스페이스에서 제작한 것.

 

열혈 팬과 디자이너가 만났다. 평소 흠 모해왔던 디자이너에게 가장 프라이빗한 나의 집을 맡기는 것은 무엇보다 설레고 기대되는 일이 분명하다. 5년 전, 우연한 계기로 817디자인스페이스의 현장을 접했던 집주인은 이후 열혈 팬이 되었고, 언젠가 집을 마련하면 인 테리어를 의뢰하리라 다짐했다. 그리고 마침내 기회가 왔고, 한 치의 고민 없이 817디자인스페 이스에 연락했다. “기존 집은 오래전부터 부모님과 함께 거주해 세월의 흔적이 담겨 있었어요. 저희 부부에게는 결혼 이후 첫 집이자 그간 팬이었 던 817디자인스페이스가 인테리어를 맡아줘 부푼 마음으로 공사를 시작했죠”라며 아내가 말했 다. 사실 이들 부부는 817디자인스페이스에 대한 무한한 신뢰가 있었기에 어떠한 컨셉트든 상관 없이 믿고 따라가겠다고 결심했다. “집주인의 전 폭적인 지지로 저희도 즐겁게 작업에 임할 수 있 었어요. 딱 한 가지 요청하신 부분이 안방과 분리 된 남편을 위한 작은 서재를 만들어달라는 것이었죠”라며 임규범 대표와 심호경 실장이 말했다. 817디자인스페이스에서 가장 중점을 둔 부분은 바로 선 정리와 그에 따른 개방감이었다. 시각적으로 말끔하게 정리된 선은 같은 평형대에 비해 넓어 보이는 효과를 주기 때문이었다. 181m²라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만큼 넓게 뻗은 현관과 거실을 보는 순간 놀랐는데, 이는 현명한 공간 활용과 선 정리에 따른 결과였다.

 

화이트&대리석으로 마감해 개방감이 느껴지는 현관.

 

오브제 성격이 도드라지는 소품을 모으는 아내를 위한 주방.

 

“이번 프로젝트에서 가장 많이 고민했던 게 주방 오른쪽 발코니 부분의 데드 스페이스, 즉 쓸모없이 버려진 자투리공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와 유일한 요구사항이었던 서재를 어디에 만들 것인지였어요. 먼저 아파트 관리실에서 건축도면을 받아 내력벽을 파악 했는데, 다행히 벽체 이동이 자유로운 편이라 마음의 부담을 덜었어요”라며 심호경 실장이 설명했다. 서재를 만들기 위해 내력벽만 남긴 채, 모든 벽을 철거한 결과 부부 욕실 옆방을 할애해 욕실과 복도, 서재로 활용할 수 있었다. 서재 문은 벽장이 시작되는 복도 초입에 만들 수도 있었지만, 확장감과 공간감이 우선이었다. 그 결과 서재 앞으로 자연스럽게 생긴 복도에 책과 각종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벽장을 만들어 수납공간까지 확보했다. 미술 수집을 즐기는 이들 부부한테는 작품이 돋보일 수 있는 인테리어도 중요했다. “미술 작품이나 작은 오브제를 전시할 수 있는 조명이 필요했어요. 다른 인테리어 요소는 최대한 미니멀하게 스타일링하고 작품을 위해 깔끔한 우드&화이트 톤으로 마감했죠”라며 아내가 설명했다. 이 집에서 또 하나 눈여겨봐야 할 점은 부부 침실의 한 코너에 자리한 책장이다. 보통 침실에는 TV 나 작은 화장대를 두기 마련인데, 이들 부부는 라운드 형태의 책장을 만들었다. 부부 욕실에 들어서면 세면대부터 안방 옷장까지 모두 하나의 라인으 로 이어지는데, 이런 라인이 끊기는 것이 아쉬웠던 심호경 실장은 책장을 짜 넣어 라인을 확장하는 동시에 자칫 단조로워 보일 수 있는 붙박이장에 포인트를 부여했다. 고 급 호텔을 연상시키는 욕실은 임규범 대표와 심호경 실장이 가장 심혈을 기울여 완성한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누구보다 럭셔리한 욕실을 만들고 싶었어요. 욕실은 고급 주거 공간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곳이기도 해요. 부부 욕실은 고 김백선 건축가가 디자인한 판티니 브랜드의 수전을 설 치해 수전 자체가 작품이 되어 욕실에 스며들도록 했어요”라며 심호경 실장이 설명했다. 그에 반해 시어머니가 사용하는 거실 욕실은 화려하게 접근했다. 욕실을 선물처럼 드리고 싶었던 부부의 바람대로 발렌티노 매장에 시공했던 타일을 깔아 명품관 같은 분위기를 부여했다. 마지막 으로 거실 욕실 맞은편에 자리한 아이 방은 봄이 깃든 듯 따스한 노란색이 돋보였다. 갓 돌이 지난 아이가 이 방의 주인공으로 아이의 시선에서 인테리어를 구상했다. 둥근 형태의 가구를 배치해 마치 동화 속에 들어온 듯 아이의 상상력을 키워 줄 수 있는 인테리어로 완성한 것. 팬심에서 시작 된 이들의 만남은 3대가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완벽한 보금자리가 되어주었다.

 

보에에서 구입한 라이트 그레이 컬러의 모듈형 소파 옆으로 조형성이 돋보이는 디에디트의 비아비주노 조명을 달았다.

 

주방에 제작한 붙박이장은 아트 컬렉션을 전시하듯 아내가 모은 그릇을 정갈하게 진열했다.

 

호텔 스위트룸을 연상시키듯 고급스러움이 묻어나는 드레스룸.

 

길게 뻗은 세면대가 돋보이는 안방 욕실. 거실 바닥보다 한 톤 진한 타일을 시공해 통일감은 주되, 차별성을 두어 블랙 메탈 수전으로 포인트를 줬다. 일부 공간은 건식으로 사용된다.

 

갓 돌이 지난 아이를 위한 방은 벽은 물론 바닥, 천장까지도 노란색으로 물들여 동화 속에 들어온 듯한 느낌이다. 바닥은 관리가 용이한 볼론 소재를 활용했다.

 

유일한 요구사항이었던 작은 서재는 주방과 안방 사이에 생긴 자투리 공간을 활용했다.

 

거실 욕실은 타일 컬러에 맞는 골드 수전을 달아 화려한 느낌이다. 타일은 발렌티노 매장에 시공한 제품으로 명품 전시관을 연상시킨다.

 

가장 끝에 있는 시어머니 방은 은은한 빛을 내는 매립 조명을 활용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진성기(SOULGRAPH PHOTOGRAPHY)

TAGS
자연을 들인 집

자연을 들인 집

자연을 들인 집

정발산에 소담스레 터를 잡은 주택을 찾았다. 창을 통해 작품처럼 들어오는 풍경과 본연의 물성이 돋보이는 자재로 완성한 집은 자연과 조금 더 가까이 머물고 싶은 마음이 곳곳에 흔적처럼 반영되어 있었다.

 

내추럴 화이트 톤으로 마감한 내부. 돌과 나무 등 자연의 일부를 집안으로 들여와 한층 자연과 가까운 집을 만들었다.

 

거실에 복도와 주방으로 통하는 문이 각각 있어 유기적인 동선을 취했다. 

 

살짝 눈이 감기는 따스한 햇살이 고스란히 들어선다. 구태여 노력하지 않아도 창문을 열면 소박히 자리한 나무가 눈에 보이고, 만족스러운 큰 숨을 들이쉴 수 있는 꿈 같은 공간. 차소연씨는가족이 함께 사는 이곳이 그런 집이 되길 바랐다. “결심은 작년부터 줄곧 해왔어요. 머릿속에 그려온 상상이 이 집에 녹아들었으면 했죠.” 그녀는 옐로플라스틱에 인테리어와 시공을 의뢰해 다시금 새로운 모습으로 탄생할 집을 그려나가기 시작했다. “목조주택만이 가진 특유의 너른 느낌이 있어요. 일반적인 아파트에서는 쉽게 느낄 수 없는 감각이죠. 이러한 장점을 십분 살리고싶었어요. 자연적인 요소가 어우러지는 집을 바랐던 집주인의 마음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기도 했고요.” 시공을 담당한 황혜수 실장이 설명했다. 주택의 변화는 현관에서부터 시작된다. 나무로 만든 간살 도어를 설치해 입구에 머무르던 빛이 안까지 다다르는데, 거실과 주방 그리고 복도가 모두 연결되는 유기적인 구조 덕분에 1층 전체에 자연광이 고루 퍼져 내추럴한 화이트 톤으로 마감한 내부와 절묘한 조화를 이룬다. 복도에는 1층과 2층을 잇는 계단이 자리한다. 나무 계단을 철거하고 화강암과 금속으로 된 계단을 새롭게 제작했고, 그 옆에는 모오이의 매시매틱스 펜던트 조명을 포인트로 배치해 주택의 구심점 역할을 톡톡히 할 수 있게 의도했다. 복도를 기준으로 왼쪽에 마련된 거실은 1층의 핵심과 같은 구역으로, 단차를 두어 다른 공간과 명확하게 구분했다. “이집에서 가장 신경 쓴 부분 중 하나는 바로 자재예요.이곳 거실 바닥에 깔린 자연석 느낌의 타일처럼 내추럴한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나무나 돌 등 자연의 물성을 닮은 자재를찾아 이집에 녹여냈죠”라며 황혜수 실장이 거실을 소개했다.

 

프라이빗한 다이닝 공간을 위해 불투명한 유리 블럭을 활용한 창을 고안했다.

 

다이닝 공간과 어우러질 수 있도록 대면형 구조로 만든 주방.

 

거실 벽에 문을 내 한폭의 풍경화처럼 소나무를 감상할 수 있다.

 

세안을 하면서도 그림처럼 풍경을 감상할 수 있도록 배려한 거실 화장실.

 

구조 변경을 통해 만든 긴 세면대와 타일 욕조가 자리한 안방 화장실.

 

자재와 함께 고심한 것은 외부의 자연과 어우러진 내부를 구획하는 일이었다. “집주인께서 바깥에 펼쳐진 자연이 집안에도 고스란히 이어지는 모습을 바랐어요. 그래서 떠올린게 바로 액자예요. 그림 작품이 담긴 액자처럼 문이나 창을 프레임처럼 활용해 밖에 서보이는 자연이 마치 그림처럼 집안에 자리할 수 있도록요. 거실은 주택 옆에 자라던 소나무가 보일 수 있도록 문을 냈어요.” 그녀의 설명처럼 복도에서 거실을 바라보면 마주 보게 되는 벽 가운데 아치형으로 난 문 사이로 보이는 소나무가 한폭의 동양화를 떠올리게 한다. 옆에 난 또 하나의 라운드형 게이트는 다이닝룸과 통한다. 옆집과 인접해 있어 불투명한 유리 블럭을 두어 빛은 들어오되 한층 프라이빗한 식사 공간을 만들었다. 부부의 생활 공간인 안방은 드레스룸과 연결되는 것이 눈길을 끈다. 이는 더욱 많은 수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안방 쪽으로 드레스룸을 확장하고 이중 붙박이장을 둔 결과인데 마치 안방 안에 또 하나의 작은 복도가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

 

수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방까지 드레스룸을 확장했다.

 

벤치룸에서는 모오이의 메시매틱스 펜던트 조명을 포인트로 한 복도와 1, 2층이 한눈에 보인다.

 

계단을 타고 2층에 오르면 사뭇 다른 공간이 펼쳐진다. 주거 공간에 특화된 구역이 1층이었다면, 2층은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적 성격이 진하기 때문. 가장 먼저 마주하는 것은 선룸이다. 이곳은 식물을 좋아하는 집주인의 취향에 맞춰 실내 가드닝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자리매김했다. 창을 새로 낼 수 있는 목조 주택의 특성을 살려 햇살이 가득 들어오도록 이전에 있던 창을 더욱 넓혀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꾸린 것이다. 더욱 재밌는 점은 선룸과 인접한 서재에서 발견할 수 있다. 본래 있던 미닫이문은 없애고 거실처럼 액자 역할을 하는 창을 내 책읅 읽다가도 고개를 돌리면 아기자기한 식물이 놓인 선룸을 작품처럼 감상할 수 있는 위트를 발휘했다. 2층의 백미는 바로 패밀리룸. 이곳은 가족들이 2층의 거실이라 부를 만큼 가족 간의소통이 활발히 이루어진다. 높은 박공지붕에는 실링팬을 달아 허전함을 덜었고, 아래에는 의자와 테이블을 두어 언제든 가족이 모여 두런두런 대화를 나눌 수 있다. 특히 패밀리룸을 통해 들어갈 수 있는 비밀 공간이자, 1층과 2층의 모습을 한눈에 담을 수 있는 벤치룸은 이곳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더욱 잦게 만드는 요소다. 집안으로 들어온 자연을 만끽하고 그곳에서 가족간의 이야기가 자유로이 오간다. 두 가지 요소가 조화로운 정발산 주택은 자연에 버금가는 또 하나의 가치가 온통 도사리고 있는 것만 같았다.

 

조도 확보를 위해 넓게 창을 낸 선룸.

 

선룸과 서재 사이에 난 미닫이문을 제거하고 대신 사각형 창을 내 두 공간을 그림처럼 감상할 수 있는 재치가 엿보인다.

 

제2의거실이라할만한 패밀리룸. 노출 레일을 설치해 문을 열면 벤치룸이 나오는 구조를 꾸렸다.

 

패밀리룸은 가족 간의 소소한 대화가 오가거나 한가로이 휴식을 취할 수 있다.

 

패밀리룸을 통해 들어갈 수 있는 벤치룸.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김덕창(스튜디오다)

TAGS
AT THE END OF THE STORY

AT THE END OF THE STORY

AT THE END OF THE STORY

마크와 캉디스는 마지막 작품으로 산악 삼부작을 완성했다. 오두막과 중간 오두막 그리고 작은 오두막의 화음이 아름다운 동요처럼 울려퍼진다.

 

부엌과 거실 사이에는 공간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문을 달지 않고 그을린 나무로 만든 미닫이 문을 만들었다. 부엌 가구는 파브리스 아르보 Fabrice Arbaud가 디자인하고 원 아틀리에 One Atelier에서 제작했다. 벽은 메탈릭한 느낌이 나는 그을린 나무판으로 마감했다. 미소니 Missoni 패브릭 ‘Weggis 174’로 커버링한 소파는 올리비에 게이가 디자인하고 에토프 에 메종 Etoffes et Maison에서 제작했다. 그 위에 걸린 사진은 슬림 아론스 Slim Aarons의 작품으로 므제브 Megeve의 아틀리에 55에서 구입했다. 타투 장식을 한 테이블은 세실 고노 Ceceil Gauneau 디자인이다. 므제브의 아틀리에 55에서 구입한 1960년대 빈티지 의자는 벨벳으로 다시 커버링했다.

 

작은 마을인 쿠르슈벨에는 마크와 캉디 스가 손님들이 머물 수 있도록 지은 오두막 두 채가 있다. 최근에는 그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새로운 오두막을 한 채 더 지었다. 두 채의 오두막을 설계한 건축가 올리비에 게이에게 또다시 의뢰해 완성한 세 번째 오두막은 그중 에서도 가장 작다. 85m²의 면적에 같은 소재와 스타일을 반복하며 변화를 주었다. 외관에는 돌 과 나무, 도료를 번갈아 사용했고 내부는 그을린 나무와 체크 패브릭, 패턴 있는 바닥재로 꾸몄다. “우리의 취향을 반영해 알프스에 있는 작은 여름 철 오두막인 마조 Mazot를 만들고 싶었어요.” 건 축가 올리비에가 설명했다. 그는 이런 소재를 사 용하는 것 외에도 이 건물의 전통을 새롭게 바꾸 었는데, 편리함을 갖추면서 공간을 넓게 사용하 기 위해 다양한 실용적인 아이디어를 적용했다. 계단으로 자투리 공간을 둘러싸고 책장을 짜 넣어 수납공간을 확보했으며, 부엌에는 미닫이문 을 달아 공간의 손실을 줄였다. “공간에 리듬을 주고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컨템포러리 아트 와 앤티크 시장에서 구입한 오래된 그림을 배치 했어요.” 계단 위에 설치한 두 개의 사슴 머리와 거실의 깃털 샹들리에 그리고 박공 아래 연출한 동물처럼 클래식하면서도 정돈되지 않은 느낌이 지만 데커레이션으로 환상적인 분위기를 더했 다. 마치 동화 속 주인공이 된 것마냥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하나로 이어진 두 채의 오두막. 한 집은 이 지역의 돌과 오래된 나무로 지었고 다른 집은 밤나무와 석회칠로 마감했다.

 

거실은 벽난로 그라퓌 Grappus로 난방을 한다. 오른쪽 앞에 있는 카나페 ‘스쿠아드롤레토 Squadroletto’는 비비에페 Vibieffe 제품으로 실베라 Silvera에서 구입. 그 옆의 벽에 걸린 염소 머리는 보젤 Bozel에 있는 르 갈르타 Le Galetas에서 구입했다. 낮은 대리석 테이블은 아르플렉스 Arflex. 푸프는 웨스트윙 Westwing. 왼쪽의 암체어 ‘오드리 Audrey’는 마시모 카사냐 Massimo Cassagna가 갈로티&라디스 Gallotti&Radice를 위해 디자인한 것으로 실베라에서 구입했다.

 

올리비에 게이는 박공 아래 공간에 조화와 박제 동물로 동화 같은 장면을 연출했다. 나무로 된 부엌 가구는 파브리스 아르보가 디자인하고 원 아틀리에에서 제작했다. 메탈릭한 느낌이 나는 그을린 나무판은 파리에 있는 트리뷔&루아이욤 Tribus&Royaumes에서 구입. 펜던트 조명 ‘스푸트니크 Sputnik’는 파리의 아틀리에 55에서 구입했다. 오븐은 아스코 Asko.

 

바사자 Basazza의 깅엄 블루 Gingham Blue 바닥재를 조립하고 벽을 따라 능선을 모방한 구조물을 설치했다. 침대와 헤드보드는 시몬스 Simmons. 담요 ‘네스토르 Nestor’는 부삭 Boussac 제품으로 에토프 에 메종에서 구입했다. 쿠션은 벼룩시장에서 구입했고 커튼과 벽을 마감한 패브릭 ‘레 트루아 발레 Les Trois Vallees’는 피에르 프레이 Pierre Frey에서 구입했다. 조명 ‘오스테르 Austere’는 트리조21 Trizo21 제품으로 엘렉트로라마 Electrorama에서 구입. TV는 삼성의 더 세리프 The Sherif. 암체어 ‘세리 누아르 Serie Noire’는 폴 살레 Paul Salet. 티크와 포마이카로 만든 침대 옆 테이블은 세르페트 Serpette 벼룩시장에서 구입했다.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