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향과 안목으로 이어진 집

취향과 안목으로 이어진 집

취향과 안목으로 이어진 집
서두르지 않고 하나하나 쌓아온 취향과 안목이 곳곳에 스며든 집을 찾았다. 오랜 시간을 거치며 더욱 강한 존재감을 드러내는 작품이 즐비한 공간에서 은은하지만 확고한 기준이 느껴졌다.  
검은색 강마루와 마주 보게 배치한 작품이 갤러리 같은 인상을 주는 거실. 가운데 있는 카키색 바르셀로나 체어가 눈길을 끈다
  그런 집이 있다. 오래된 연식으로 여기 저기 손볼 곳이 생겨나지만, 그럼에도 익숙함에서 기인하는 편안함이 조용히 머무르는 공간. 인윤아 씨 가족이 살고 있는 집이 그랬다. “10여 년 정도 살다 보니까 고장 나는 부분이 많아지더라고요. 공사할 곳도 더러 보이고요. 차라리 이사를 갈까 싶었지만, 이 집만큼 마음에 드는 곳이 없었어요. 아무래도 익숙한 탓이겠죠.” 거주지를 옮기는 대신 인윤아 씨는 지인을 통해 알게 된 톤업 이은주 실장에게 이 집의 리노베이션을 의뢰했다. “클라이언트와 합이 잘 맞는 경우는 드물어요. 믿음이 있어야만 가능하기 때문이죠. 놀랍게도 이번 시공이 제게는 그랬어요. 더구나 서로 추구하는 취향이 비슷했던 터라, 시안이 오가는 과정에서도 무척 자유로웠죠.” 이은주 실장이 지난 시간을 회상하듯 말했다. 리노베이션은 2달이라는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이뤄졌다. 레이아웃을 대거 변경하거나 확장하는 대신 기존의 구조를 최대한 유지한 채 진행됐기 때문이다.  
복도에 자리 잡은 호림이. 타이거 우즈를 한자로 직역해 이름을 지었다.
  “시공에 가장 중점을 뒀던 부분은 기존의 것을 최대한 활용하자는 것이었어요. 예술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 지금까지 수집하고 소장해온 작품이 꽤 많았거든요. 오랫동안 모은 작품이 집에서 큰 역할을 할 거라 생각했어요. 이전 집에서는 좋은 작품들이 빛을 발하지 못해 내심 안타깝기도 했고요. 어떤 공간에 어느 그림을 걸지 또 어떤 가구를 놓을지 함께 상의하면서 소장하고 있는 작품과 고가구가 온전히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자 했어요.” 이은주 실장의 말처럼 집에 들어서자마자 크고 작은 작품이 곳곳에 비치되어 있었다. 복도 끝자락에 놓인 고재 장과 조화를 이룬 홍종명 작가의 작품부터 거실의 양 벽에는 김훈 작가와 박두진 시인의 자제로도 알려진 박영하 작가의 작품이 서로 마주 보는 형태로 벽에 걸려 있어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다이닝 공간과 침실, 심지어 현관 옆 등 집 안 곳곳에 무심한 듯 걸려 있는 작품을 발견하는 것은 이 집의 은근한 묘미다. “양가 부모님께 물려받은 것이 많아요. 저기 복도에 있는 고재 장은 친정어머니한테 받았어요. 거실에 걸어놓은 작품은 작고하신 시아버님께서 선물로 주신 것이랍니다. 예술 작품 수집을 좋아하셨죠. 세월의 흔적이 꽤 묻어나지만, 그래서 더 정이 가요. 오래된 것이 주는 특유의 분위기가 있거든요. 덕분에 거실과 복도가 조금 더 특별해진 것 같아요.” 특히 거실은 부부가 가장 애정하는 공간이다. 거실을 둘러보다 보면 어느 집이나 으레 있는 TV가 없다. 이는 무의미한 TV 소리만 가득한 공간 대신 가족 간의 대화가 자유롭게 오가거나 때로는 의자나 소파에 앉아 음악을 들으며 한가로이 책과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적인 성격의 거실을 원했던 집주인의 바람이 담긴 결과다. 이를 위해 남편과 이은주 실장의 추천으로 밝은 톤의 원목 마루 대신 검은색에 가까운 채도가 낮은 강마루를 깔고 도장 대신 도배로 흰벽을 마감해 그림이 돋보이는 갤러리 같은 공간을 구현했다. 혹여 작품을 가리지 않도록 등받이가 높은 소파는 피하되, 원래 가지고 있던 회색 패브릭 소파와도 어울릴 수 있는 가구를 찾다 놀 Knoll의 바르셀로나 시리즈 데이베드와 체어를 구매했다.  

청록색으로 상하부장을 마감한 팬트리 공간. 바닥 타일과 어우러져 마치 유럽의 다이닝 공간을 연상시킨다.
  “집주인도 바르셀로나 체어를 좋아하셨어요. 흔히 볼 수 있는 블랙이나 캐멀 톤이 아니라 카키에 가까운 색이라 소장 가치가 있겠다 싶었어요. 리미티드 에디션으로 나온 만큼 꼭 이 거실에 두고 싶다고 하니 너무 좋아하셨던 기억이 나네요”라며 이은주 실장이 설명했다. 과감한 색 선택을 시도한 주방도 눈에 띈다. 기존의 목제 장과 어울릴 수 있는 가구를 고심하다 비슷한 톤으로 구매한 테이블로 꾸린 다이닝 공간을 지나면 팬트리 공간이 등장한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독특한 색으로 마감한 상하부장. 청록색의 상하부장은 집주인과 이은주 실장의 취향이 반영된 것이다. 입구를 기준으로 오른쪽 벽에는 간단한 주방 가전이나 도구를 비치할 수 있는 선반을 설치했고, 바닥은 타일로 시공해 마치 유럽의 다이닝 펍을 연상시키는 아이코닉한 공간을 완성했다. 매일 새로운 것이 넘쳐나는 요즘, 확고한 취향을 기준으로 자신만의 공간을 만드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그런 만큼 켜켜이 쌓인 오롯한 안목으로 꾸려나가는 공간은 쉽사리 질리거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천천히 그리고 오래도록 사랑받을 것이다. 마치 이 집처럼 말이다.  
코럴 컬러의 몬타나 수납장과 침대 헤드보드 위에 건 안국주 작가의 태몽 시리즈가 포인트인 딸아이 방.
 
헤드보드 대신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선반을 설치한 침실.
 
여닫이문 대신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해 한층 깔끔해 보인다.
 
남색 수납장으로 컬러 포인트를 준 화장실.
 
원래 있던 중문을 제거하고 철제 슬라이딩 도어를 달았다. 중문 옆에 비치한 그림은 종종 다른 작품으로 교체하기도 한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박형인(프리랜서)
TAGS
어느새 보이는 것들

어느새 보이는 것들

어느새 보이는 것들
리빙과 아트. 분야가 맞닿은 곳에 두 사람이 있었다. 경험은 여유가 되었고, 천천히 쌓아온 안목은 확고한 기준이 되었다. 오래된 건물을 개조한 복합 문화 공간 성수야드, 그곳에서 스튜디오 트루베 조규진 대표와 유승은 아트 디렉터가 합심해 거창한 주제 대신 편안하지만 뚜렷한 취향의 장을 펼쳤다.  
버려진 가다(목형 틀)로 만든 박지현 작가의 도무송 시리즈와 몰딩으로 제작한 사이드 테이블, 스툴이 묘한 합을 발휘하는 전시장 한 켠. 파이프를 골조로 한 자크 히티어의 선반 겸 램프, 벽에 설치된 카린 잔더의 오브제와 세르지오 로드리게스의 오스카 체어를 비치해 한층 레트로하다.
  시가지 속 푸르게 움튼 서울숲 인근에 위치한 건물 하나. 벽돌을 쌓아올린 외벽에는 자연히 드러나는 시간의 흐름이 역력한 흔적과 질감이 남아 있고, 곳곳에는 섣불리 의미를 짐작할 수 없는 수학기호 장식이 걸려 있다. 이곳의 이름은 성수야드. 젊은 예술가들이 거침없는 행보를 선보이는 성수에 새로운 대안 예술 공간이자, 복합 문화를 표방하는 건물이 탄생한 것이다. 꽤나 연식이 느껴지는 이 건물은 조소은 아틀 리에의 조소은 소장의 손을 거쳐 다시금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났다. 처음 공간을 마주할 때면, 붉은 벽돌과는 대조를 이루는 창문과 문의 초록색 틀이 인상적인 외관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그러다 보면 문손잡이나 건물 외관 곳곳에 새겨진 수학기호를 발견하게 되는데, 이것의 정체는 바로 현대미 술가 리암 길릭의 작품 ‘And House Can Speak’. 클래식한 벽돌 건물에 그의 작품이 더해져 독특한 조형미마저 느껴진다. 내부는 한층 빈티지하다 . 훤히 골조가 드러난 내벽과 함께 테라스에는 레트로한 느낌이 물씬 풍기는 타일이 깔려 있기 때문. 복합 문화 공간답게 이곳에 자리한 가게들도 눈에 띈다. 지하에 위치한 갤러리 바톤의 전시 공간 챕터 투 야드를 시작으로, 아이웨어를 선보이는 스펙스 몬타나의 플래그십 스토어 등을 만나볼 수 있다. 2층 한 켠에서도 독특한 시도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인테리어 디렉터이자 스튜디오 프루베를 운영하고 있는 조규진 대표와 아트 디렉터 유승은 대표가 합심해 선보인 팝업 전시 <아워야드 Ouryard>다.  
슬림한 황동 바퀴와 하단의 삼각 선반이 기하학적인 미를 발산하는 브라질 가구 디자이너 호제 잘주핀의 JZ 트롤리. 그 위를 장식한 그림은 빈센트 트라소브 Vincent Trasov의 드로잉이다. 플립 북에 플랜터스 땅콩 브랜드 캐릭터를 소재로 드로잉 작업을 진행한 그는 이후 자신이 직접 미스터 피넛으로 변신해 행위예술로까지 작업을 확장시켰다.
 
호제 잘주핀 시니어 라운지 체어와 박지현 작가의 ‘The Air’ 시리즈가 전시되어 있다. 한지에 하나하나 점을 찍어 완성한 회화를 보드 패널에 붙인 것이 특징이다.
  함께 작업하며 친분을 쌓아온 인연과 합이 이곳에서 감각적으로 발현된 것이다. 전시 기획 의뢰를 받고 나서 공간을 둘러보던 두 사람은 각자 소장하고 있는 가구나 작품을 중심으로 전시를 구성해보자는 결정을 내렸다. 예전에 지어진 건물을 리모 델링한 터라, 전시 공간에 남아 있는 예스런 흔적이 빈티지를 좋아하던 서로의 취향과도 조화를 이룰 수 있겠다는 생각에서였다. 단박에 틀이 정해지자 후속 과정은 흘러가듯 순탄했다.서로의 집이나 작업 공간에 놓인 것을 익히 알고 있다 보니 하나하나 리스트를 정해놓지 않더라도 가구와 어울리는 작품을 매치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이 과정에서 자연스레 전시 공간을 구획 짓는 일까지 마무리할 수 있었다. “친해지다 보니 서로의 집이나 작업실도 심심찮게 방문했어요. 말하지 않아도 서로의 취향을 알 수 있었죠. 이번 전시에서는 그 점이 큰 도움이 됐어요. 구태여 장황하게 설명하지 않아도 서로의 언어를 이해할 수 있었으니까요.” 조규진 대표가 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을 회상하며 말했다.  
니메이어의 리우 체어와 빌헬름 사스날의 작품 ‘더 선’. 별다른 장식이나 빛이 없어도 공간이 꽉 들어찬 듯한 웅장함을 자랑한다.
 
벽 선반으로 활용하거나 테이블 본체로도 사용할 수 있을 만큼 변형이 자유로운 조재원 작가의 삼각 선반. 테이블에는 깨진 도자의 파편을 금으로 메워 새로운 조형미를 창조한 이수경 작가의 작품 ‘번역된 도자기’가 놓여 있다.
  가벽 등의 보조장치가 없어도 공간은 확연히 구분된다. 문을 열자마자 펼쳐지는 것은 모듈 변형이 자유로운 조재원 작가의 삼각 선반. 이어 스케이드보드 위 회화가 인상적인 박지현 작가의 h‘Te Air’ 시리즈와 호제 잘주핀 Jorge Zalszupin이 디자인한 시니어 라운지 체어의 우아한 곡선이 펼쳐진다. 고개를 돌리면 또 하나의 벽이 보인다. 수십 개의 패널이 벽을 메우고 있는 모습은 마치 별개의 작품들의 조합 혹은 하나의 큰 작품같기도 하다. 패널의 원형은 바로 우유 박스나 북 커버 등을 대량 생산하는 톰슨 Thomson 기법을 위해 제작된 목형 틀. 그것들을 작품으로 승화해 모아놓은 것이다. 바로 앞에 놓인 사이드 테이블과 스툴은 버려진 몰딩을 모아 제작 했는데, 흡사한 사연을 지닌 두 작품이 절묘한 합을 이룬다. 또한 이 구역에서는 자크 히티어 Jaques Hitier의 설치형 선반과 램프, 브라질 가구 디자인의 아버지라 불리는 세르지오 로드리게스 Sergio Rodrigues의 오스카 체어, 독일의 개념 미술가 카린 잔더 Karin Sander가구현한 석류 오브제까지 함께 비치해 레트로한 면모가 느껴진다. 맞은편에는 건축가 오스카 니메이어 Oscar Niemeyer가 제작한 리우 체어와 빌헬름 사스날 Wilhelm Sasnal의 작품 ‘더 선’이 웅장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조소은 아틀리에의 조소은 소장의 손길이 깃든 성수야드의 외관. 붉은 벽돌의 외관 덕분에 독보적인 존재감을 발휘한다. ⒸJoel Moritz
 
깔끔한 마감 대신 노출된 벽을 통해 한층 빈티지한 면모를 자랑하는 내부. ⒸJoel Moritz
  특이하게도 작품을 감상하다 보면 으레 전시에서 작품을 강조하는 데 쓰이는 핀 조명을 달지 않았다는 것을 눈치챌 수 있다. 이는 전시를 평범한 작품전이나 가구전으로 남기고 싶지 않은 두 사람의 바람이 담긴 것이라고. 또, 자유롭게 작품과 가구를 매치하는 과정을 거쳤지만, 작품 간의 배치만큼은 유승은 대표의 숨은 의도가 어려 있다. “특정한 장르나 국적, 유명세 등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작품을 보여주고 싶었어요. 그 과정에서 버려진 것을 사용한 작품을 묶어보기도 하고, 이탈리아 작가의 작품을 보여준다면 한국 작가의 작품 또한 함께 보여줄 수 있도록 했죠.” 힘을 빼고 그저 좋아하는 것을 보여주려 했다지만 곳곳에서 엿보이는 이런 디테일에서 숨길 수 없는 내공이 드러난다. 이번 전시를 통해 다시 한번 자신이 어떤 것을 좋아하는지 되새길 수 있었다는 두 사람. 함께하는 다음을 상상해본 적이 있냐는 질문에 당연하다는 듯 긍정의 말을 전하는 그들에게서 형언할 수 없는 에너지가 샘솟는 것만 같았다.  
발코니 부근에는 레트로한 타일을 깔아 독특한 느낌을 더했다. ⒸJoel Moritz
 

벽의 외관과 문손잡이를 장식한 독특한 수학기호는 현대미술가 리암 길릭의 작품이다. 특히 문손잡이는 시각과 촉각, 두 가지의 감각으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눈길이 간다. ⒸJoel Moritz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안종환
TAGS
MISE EN SCENES

MISE EN SCENES

MISE EN SCENES
팀 버튼의 환상적인 영화 세계에 매료된 영화감독 크리스텔 레이날은 파리에 있는 자신의 아파트를 여러 가지 이야기가 이어지는 연극처럼 꾸몄다. 다양한 스타일이 혼재되어 있지만 위트 있는 컬러와 장식으로 풍부하면서도 강렬하게 연출했다.  
반만 오픈된 현관은 거실을 아늑하게 만들면서 공간을 넓어 보이게 한다. 크리스텔은 바닥에 광택을 주기 위해 호두껍질로 문질렀다. 에우테르페 Euterpe의 피아노 위에는 랭디 두르트 Lyndie Dourthe의 조각과 카르텔 Kartell의 조명 ‘신디 Cindy’를 올려놓았다. 사진은 피터 비어드 Peter Beard 작품. 오른쪽 벽에 걸린 아카데미풍의 누드는 작자 미상. 작은 콘솔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벽지는 모오이 Moooi 제품으로 오 피 데 쿨뢰르 Au Fil de Couleurs에서 구입했다. 페인트는 패로&볼 Farrow&Ball.
 
유리창이 복도에 빛을 흩뿌린다. 벽지는 모오이 제품으로 오 피 데 쿨뢰르에서 구입. 큰 책은 헬무트 뉴튼. 19세기 중국 펜던트 조명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영화에서 본 듯한 집에서 살고 있어요. 각각의 방마다 독특한 신이 펼쳐져요.” 영화감독 크리스텔 레이날은 다섯 살짜리 딸과 함께 파리에 있는 이 집에서 살게 되면서 삶과 일에서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 집을 새로운 사무실로 꾸밀 때 저를 닮은 공간이 되길 바랐어요.” 타협은 없었다. 그는 오래전부터 이야기꾼이라는 말을 들어왔기에 이 공간에 다양한 이야기를 담기로 했다. 영화를 시작하기 전에 광고 에이전시에서 오랫동안 아트 디렉터로 일했던 그는 이 집의 데커레이션을 도맡았다. “제 감각에 맞게 고치기 위해 낡은 집을 구입했어요. 바닥은 여기저기가 무너져 있었고 창문도 엉망이었죠.” 이전 집주인이 몰딩까지 없 애버린 100㎡의 집에 새로운 영혼을 불어넣기 위해 각각의 공간을 연속되 는 신처럼 꾸몄다. 주요 테마는 극단으로 치달은 판타지다. “순백의 인테리어에서 사는 사람들을 보면 놀라워요. 그렇지만 제게는 컬러와 리듬이 필요했어요!” 마들렌 카스탱의 팬인 그는 과감한 컬러 조합과 서로 어울리지 않 는 프린트를 병치시켰다. 몇몇 방은 레오퍼드 패턴을 키워드로 꾸몄으며 ,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위기에 변화를 주기 위해 빛을 활용했다. “제가 약간 강박증이 있는 것 같아요”라고 말하며 그녀가 웃었다. 그는 컴퓨터 3D 프로 그램을 이용해 각 공간의 아주 디테일한 부분까지 정확하게 계획했다. 그야 말로 하나의 이야기가 펼쳐지는 집이다.  
욕실 벽지 ‘버드 프린트 Bird Print’는 더 빈티지 컬렉션 The Vintage Collection 제품으로 오 피 데 쿨뢰르에서 구입. 벽지가 이 공간의 주인공이다. 크리스텔은 격자 패턴 벽지 ‘윈슬로 플래드 Winslow Plaid’를 매치해 위트를 더했다. 티보 Thibaut 제품으로 오 피 데 쿨뢰르에서 구입. 이 벽지는 다리 달린 거울을 통해 볼 수 있다. 거울은 선물 받은 것. 레오퍼드 수건은 파리 생피에르 시장에서 구입한 천으로 만들었다. 벽 거울은 생투앙 벼룩시장에서 구입.
 
부두아 Boudoir 스타일의 여성스러운 다이닝룸. 형상이 일그러지는 벽 거울은 마티아스 키스 Mathias Kiss의 작품. 농장 테이블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벨벳 의자는 쇠스트레네 그레네 Sostrene Grene. 촛대는 해비태트 Habitat. 꽃은 뮈즈 아 몽마르트르 Muse a Montmartre. 펜던트 조명은 데커레이터 자크 가르시아 Jacques Garcia의 프로토타입. 크리스텔의 프린지 장식이 돋보이는 벽 조명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사진은 야스유키 다카기의 작품. 래디에이터 위에 있는 초벌 도자 오브제는 플뢰 Fleux. 벽난로 위에 있는 구는 데이롤 Deyrolle. 태피스트리는 벼룩시장에서 구입. 페인트는 패로&볼.
 
거실의 단을 높여 무대적인 데커레이션을 완성했다. 덕분에 크리스텔은 그 위에 카펫을 깔고 맨발로 걸어다니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녹색 카나페는 AM PM. 쿠션은 샤를렌 뮐랑 Charlene Mullen(검은색), H&M, 이케아(자수). 노란색 책장은 주문 제작했고 레오퍼드 패턴의 암체어는 생투앙 벼룩시장에서 구입해 도나 윌슨 Donna Wilson의 쿠션을 올려놓았다. 카펫은 하틀리 오브 파리 Hartley of Paris에서 주문 제작. 책장 안에 있는 그림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안쪽에 보이는 작품은 루카스 바인아크테르 Lucas Weinachter의 작품. 그 양 옆의 실크 벽 조명 ‘세젠델로 Cesendello’는 포르투니 Fortuny. 낮은 테이블은 알리네아 Alinea. 꽃병과 화분은 H&M. 펜던트 조명은 미 장 드뫼르 Mise en Demeure. 기도대는 벼룩시장에서 구입. 푸프는 플라망 Flamand. 그 위에 덮은 양털 담요는 이케아. 프린지 장식이 달린 핑크 조명은 BHV. 크리스털이 앞에 보이는 벽 조명은 이전 집주인이 설치한 것으로 전등갓만 교체했다. 페인트는 패로&볼.
 
부엌은 생기 있는 오렌지색으로 스타일링했다. 선반 위에 있는 세라믹 오브제는 발로리 Vallauris. 의자는 필립 모델 메종 Philippe Model Maison. 펜던트 조명 ‘앙겔루스 Angelus’는 포레스티에르 Forestier. 페인트는 패로&볼.
 
부엌은 바로 복도로 이어진다. 장 밥티스트 쿠티에 Jean Baptiste Courtier의 작품이 부엌에 있고 프랑스 비조 France Bizot의 작품은 복도에 있다(가장 큰 것). 벽지 ‘파르뒤 Pardus’는 오스본&리틀 Osborne&Little. 벽지 ‘레가타 스트라이프 Regatta Stripe’는 콜앤선 Cole&Son. 모두 오 피 데 쿨뢰르에서 구입.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로맹 리카르 Romain Ricard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