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like a Gallery, 타데우스 로팍 서울

일상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갤러리 속 프라이빗 룸

일상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갤러리 속 프라이빗 룸
아트와 미술 시장의 열기가 거세다. 생활 속 예술이 어떻게 살아 숨 쉬는지 궁금하다면 이 페이지를 눈여겨보라. 컬렉팅해온 가구, 조명, 그림 등으로 공간을 꾸미는 ‘갤러리 같은 집’이 주거 트렌드의 중심에 선 요즘, 갤러리에서 선보이는 그림과 가구를 ‘일상 예술’이라는 키워드로 자신의 삶으로 끌어들이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갤러리의 뷰잉룸처럼 아주 사적인 공간부터 인테리어 가구숍, 레스토랑, 헬스클럽에 접목되어 있는 아트 작품까지 작품과 가구를 매칭하는 공간 연출법을 소개한다.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접목, 타데우스 로팍 서울

붉은색 작품은 제이슨 마틴 Jason Martin의 ‘Untitled(Quinacridone Magenta/Fluorescent Red)’ 2021, 168×168×20cm. 그 옆은 제이슨 마틴의 ‘Untitled(Permanent Red)’ 2021, 100×80×8cm. 파란색 작품은 제이슨 마틴의 ‘Untitled(Oriental Blue/Prussian Blue)’ 2021, 84×70×13cm. 큰 검은색 회화작품은 올리버 비어 Oliver Beer의 ‘Resonance Painting(Cri du Loup)’ 2021, 152×122cm. 그 옆 회화작품은 로버트 롱고 Robert Longo의 ‘Study of Swamp Tree’ 2017, 26.7×53.3cm, Frame 63, 8×87, 3×3.8cm.
 
디렉터룸의 벽에 걸린 왼쪽 작품은 아르눌프 라이너 Arnulf Rainer의 ‘Geplatzte Frucht’ 1997, 47×60.5cm, Frame 50, 5×64×4.5cm. 오른쪽 작품은 아르눌프 라이너의 ‘Blume’ 1997, Frame 44.5×68×4.5cm. 조각은 에르빈 부름 Erwin Wurm의 Abstract Sculptures ‘What!’ 2018, 67×35×25cm.
타데우스 로팍 서울은 두 개의 건물을 연결한 독특한 공간 구성이 돋보인다. 전시와 디렉터의 사무 공간 사이 뷰잉룸이 위치하는데, 마치 두 공간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듯 기다란 복도 형태로 되어 있다는 점이 신선하다. 뷰잉룸과 디렉터의 룸은 특별히 유러피언 아이덴티티가 강한 타데우스 로팍의 특징을 지키면서도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더하기 위해 해외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양태오 디자이너에게 공간 디자인을 의뢰해 완성했다. 주기적으로 작품을 교체하기 때문에 어떤 그림이 걸려도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도록 튀지 않게 공간과 가구를 디자인했다. 뷰잉룸 뒤로 황규진 디렉터의 룸에서는 그녀가 예술 작품과 가구를 연결한 아이디어를 엿볼 수 있다. “책장에는 작은 조각이나 회화작품을 세워 배치해보세요. 자칫 빼곡한 책으로 지루해 보일 수 있는데, 작품을 배치함으로써 환기를 주는 동시에 좀 더 시선이 오래 머무르게 하는 효과도 있어요.”
CREDIT
에디터

,

포토그래퍼 임태준, 이현실, 박상국, 이예린
TAGS
루밍의 방

디자인 경험을 만끽할 루밍의 네 번째 공간

디자인 경험을 만끽할 루밍의 네 번째 공간
루밍이 네 번째 이사를 마치고 오픈했다. 지금까지 디자인을 소개하는 데 집중했다면, 현재의 루밍은 디자인을 경험하길 권한다. 달라진 루밍에 만들어진 많은 방을 보며 각자만의 디자인 경험을 만끽해볼 것.
비트라의 소파가 놓인 1층 거실에는 ‘디종’ 컬러의 페인트를 발라서 아늑하게 완성했다.
루밍이 네 번째 이사를 했다. 이번 쇼룸은 매장에서 얻은 노하우가 총집약돼 있고, 앞으로 루밍이 나아갈 방향성을 미리 엿볼 수 있는 공간이다. 박근하 대표는 새로운 보금자리를 셀프인테리어로 완성했다. 세로로 긴 매장을 브랜드별로 나누어 다양한 방처럼 꾸민 점도 실용적이다. “매장 운영을 하다 보니 데드 스페이스가 꼭 생기더라고요. 발길이 잘 닿지 않고 버려지는 공간이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좋아하는 아르텍을 제일 안쪽으로 배치하거나, 작은 장소에는 컬러가 강한 멤피스의 제품을 두는 등 어느 곳도 허투루 사용하지 않았어요”라며 소품이 중심이었던 루밍에서 이제 가구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가 가장 좋아하는 브랜드는 비트라와 아르텍이다. 사심과 애정을 담은 두 브랜드는 1층과 2층의 주인공이다. 그리고 드러나지는 않지만 벽 너머로 B2B팀과 MD팀, 무역팀 등이 있는 사무실과 창고를 두었다. 1층 94평, 2층 91평, 지하 170평 쇼룸에 루밍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인력과 공간이 집결된 셈이다.  
루밍과 비라인이 협업한 컬러로 출시된 보비 트롤리와 비트라의 오피스 가구.
“이번 쇼룸에는 가구가 바뀌어도 공간을 빨리 구성할 수 있도록 가벽을 많이 설치했어요. 제가 생각한 것은 하얀 스케치북 같은 공간이었거든요. 원하면 언제라도 쉽게 변형할 수 있도록요”라는 박근하 대표의 말처럼 이번 루밍은 벽을 파티션 삼아 여러 개의 방이 모여 있는 형태다. 셀프인테리어로 오랜 시간 완성한 여러 개의 방은 박근하 대표의 고민과 개성이 반영돼 있다. 아르텍 공간은 핀란드 지역인 ‘라플란드’와 이름이 같은 벤자민 무어의 페인트를 발랐고, 1층의 리빙룸은 프랑스의 지명인 ‘디종’ 컬러를 사용했다. 장식성이 짙은 멤피스의 공간은 무티나의 민트색 타일을 시공해 확실한 포토 스폿이 됐다. 루밍을 말할 때 소품을 빼놓을 수 는 없을 것이다. 선물을 구입하거나 집 안에 필요한 주방이나 리빙 용품을 구입하기에 완벽한 소품 백화점 같다고 할까. 가구가 많아지면서 소품이 줄어든 것은 아닐지 걱정했다면 지하로 내려가보자. 1층과 2층이 리빙룸의 연속이었다면 지하는 기존 루밍의 소품과 프라이탁을 만날 수 있다.  
프라이탁 로드숍의 전용 가구가 설치된 지하의 한 코너.
집기 가구 대신 실제 판매하는 가구를 소품과 어우러지게 연출해 쇼핑을 하기에 더욱 편리하고, 무엇보다 프라이탁 코너에서는 이들의 전용 금속 가구를 만날 수 있다. 보통 독립적인 로드숍에만 설치되는 프라이탁 전용 가구이지만 오랜 파트너십을 유지한 루밍에서도 설치할 수 있게 돼 더욱 의미가 있다. 키링 하나의 디스플레이까지 프라이탁 본사가 꼼꼼하게 관여했을 정도로 공을 들인 코너다. “아직도 첫 루밍 매장의 빨간 문을 기억하는 분들이 계세요. 작은 공간에서 소품 판매 중심으로 시작했죠. 디자인 제품을 일상에서 누리는 기쁨을 알리고 싶은 마음은 그때나 지금이나 똑같아요. 가구 비중이 더 높아졌지만 소품을 자연스럽게 연출해서 오히려 실생활에 더 가까워진 느낌이에요. 루밍의 방들을 둘러보며 디자인을 경험하고, 집에 디자인을 들였을 때 어떨지를 미리 느껴보시길 바라요.”라며 박근하 대표는 좋은 가구만 있다면 큰 공사를 하지 않아도 얼마든지 멋진 공간을 꾸 밀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던 마음이 커서 셀프인테리어를 감행했다고 말했다. 루밍은 끊임없이 변화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지만 디자이너고 디자인 애호가인 박근하 대표의 초심이 지켜지는 한, 국내를 대표하는 1세대 리빙 편집숍으로써의 위치를 굳건하게 지킬 것이다.  
비트라의 팬톤 체어와 사이클론 테이블로 꾸민 다이닝룸.
 
1층의 데드 스페이스에 꾸민 멤피스 공간. 컬러풀하고 오브제 성격이 짙은 멤피스의 제품이 상큼하게 어우러졌다.
 
2층 가장 안쪽 자리에 마련한 아르텍 존. 아르텍의 가구부터 소품, 조명 등을 모두 집약했다.
 

루밍 박근하 대표의 Favorite Thing

조 콜롬보의 보비 트롤리

보비 트롤리는 루밍에서 한정판을 두 번이나(10주년에 한 번, 이번 새로운 매장으로 이전하면서 한 번) 만들 정도로 애정을 지닌 제품. 집에서도 서재, 다이닝룸, 주방에서 사용할 만큼 수납 기능이 좋다.  

 멤피스의 타히티 조명

남편이 이탈리아 집에서 사용하던 타히티 조명을 생일 선물로 갖고 싶다고 했더니 캐리어에 넣어 가져왔다. 가방 안에서 살짝 눌리는 바람에 얼굴이 약간 비뚤어졌지만 그것마저도 추억이 됐다. 조명 기능 말고도 오브제 역할을 하며 집 안에 생동감과 밝은 기운을 준다.

아르텍의 키키 소파

일반적으로 거실에서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것이 소파다. 개인적으로 소파 부피가 작아서 거실을 넓게 사용하고 싶었는데 키키 소파는 오렌지 컬러가 포인트도 되고 작지만 존재감이 강하다. 허리가 안 좋아서 푹신한 소파를 지양하는 내게 적당하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이현실
TAGS
Home like a Gallery, 쾨닉 갤러리

일상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갤러리 속 프라이빗 룸

일상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갤러리 속 프라이빗 룸
아트와 미술 시장의 열기가 거세다. 생활 속 예술이 어떻게 살아 숨 쉬는지 궁금하다면 이 페이지를 눈여겨보라. 컬렉팅해온 가구, 조명, 그림 등으로 공간을 꾸미는 ‘갤러리 같은 집’이 주거 트렌드의 중심에 선 요즘, 갤러리에서 선보이는 그림과 가구를 ‘일상 예술’이라는 키워드로 자신의 삶으로 끌어들이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갤러리의 뷰잉룸처럼 아주 사적인 공간부터 인테리어 가구숍, 레스토랑, 헬스클럽에 접목되어 있는 아트 작품까지 작품과 가구를 매칭하는 공간 연출법을 소개한다.

PART 1 Private Room

틀에 갇히지 않은 작품 선택, 쾨닉 갤러리

왼-드로잉은 요린데 포그트의 ‘Opus 126’ Nr. 4, 2020, Framed, 90.9×190.9×6.5cm. 조각은 카타리나 그로세의 ‘o.T’ 2020, 81×79×68cm. , 오-카타리나 그로세의 ‘Untitled’ 2019, Framed, 119×89cm.
청담 MCM 하우스 5층에 자리 잡은 쾨닉 서울의 프라이빗 공간 겸 사무 공간은 다양한 현대예술의 시도를 보여주는 갤러리의 철학을 집약해놓은 곳이다. 갤러리를 대표하는 요린데 포그트 Jorinde Voigt의 드로잉과 카타리나 그로세 Katharina Grosse의 페인팅과 조각작품이 이곳에 들어선 순간 시선을 압도한다. “페인팅 작품 외에도 다양한 매체의 예술 작품을 시도하길 바라요. 컬렉터들도 작가의 한 작품만 컬렉팅하지는 않거든요. 회화와 조각 작업이 평면과 입체를 오가는 두 매체의 연결이 흥미로움을 더해요. 그리고 드로잉 작품도 대작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고요. 예술 작품에 있어 모험을 시도한다면 오히려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요.” 최수연 대표는 예술 작품으로 인테리어를 할 때 호기심과 모험심을 갖고 시도한다면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이곳이 돋보일 수 있었던 데는 깔끔한 디자인의 한스 올센의 다이닝 체어와 바실리 체어도 한몫한다.
CREDIT
에디터

,

포토그래퍼 임태준, 이현실, 박상국, 이예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