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like a Gallery, 갤러리 까비넷

일상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갤러리 속 프라이빗 룸, 갤러리 까비넷

일상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갤러리 속 프라이빗 룸, 갤러리 까비넷

아트와 미술 시장의 열기가 거세다. 생활 속 예술이 어떻게 살아 숨 쉬는지 궁금하다면 이 페이지를 눈여겨보라. 컬렉팅해온 가구, 조명, 그림 등으로 공간을 꾸미는 ‘갤러리 같은 집’이 주거 트렌드의 중심에 선 요즘, 갤러리에서 선보이는 그림과 가구를 ‘일상 예술’이라는 키워드로 자신의 삶으로 끌어들이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갤러리의 뷰잉룸처럼 아주 사적인 공간부터 인테리어 가구숍, 레스토랑, 헬스클럽에 접목되어 있는 아트 작품까지 작품과 가구를 매칭하는 공간 연출법을 소개한다.

자유로운 작품들의 자리, 갤러리 까비넷

왼쪽 식물 위에 있는 그림은 윤미선 작가의 ‘P19-39’ 2020, 50×4cm. 박진선 작가의 실버 스툴 위 연두색 여자 그림은 타케루 아마노의 ‘Venus Citron Vert’ 2021, 116×89cm. 임스 체어 뒤에 위치한 작품은 캐스퍼 강의 ‘별’ 2021, 80×80cm. 책상 위에 놓인 돌 조각은 우고 론디노네의 ‘Small Pink Mountain’ 2016, 11×15×10cm.

 

국내외 아티스트의 회화 작품부터 인테리어 소품까지 다양한 일상 예술을 선보이는 갤러리 까비넷은 창고로 쓰이던 곳을 유현정 디렉터의 사무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박진선 작가의 도자 스툴 위로 5년 전 동경 아트페어에서 만난 타케루 아마노 Takeru Amano의 작품과 무심하게 놓인 캐스퍼 강 작가의 작품, 책상 위에 놓인 우고 론디노네 Ugo Rondinone의 스몰 미니 마운틴 등 그녀가 개인적으로 소장하고 있는 작품들로 꾸몄다. 유현정 디렉터는 “작품을 꼭 흰 벽에 걸 필요는 없어요. 서재의 책장 위에 소품을 올려두어도 좋고 지나다니는 복도 바닥에 작품을 툭 내려두어도 자연스럽고 멋진 연출이 가능하죠. 또 낮은 캐비닛이나 사이드 보드 위에 작품을 걸거나 올려두는 거예요. 작품 한 점과 테이블 조명 그리고 애정하는 작은 오브제만 두어도 나의 개성이 묻어나는 멋진 장면이 연출될 거예요.” 그녀는 작품의 위치를 이불 커버 바꾸듯 바꿔보는 것도 재미있게 작품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CREDIT

에디터

,

포토그래퍼

임태준, 이현실, 박상국, 이예린

TAGS
Home like a Gallery, 이길이구 갤러리

일상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갤러리 속 프라이빗 룸, 이길이구 갤러리

일상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갤러리 속 프라이빗 룸, 이길이구 갤러리

아트와 미술 시장의 열기가 거세다. 생활 속 예술이 어떻게 살아 숨 쉬는지 궁금하다면 이 페이지를 눈여겨보라. 컬렉팅해온 가구, 조명, 그림 등으로 공간을 꾸미는 ‘갤러리 같은 집’이 주거 트렌드의 중심에 선 요즘, 갤러리에서 선보이는 그림과 가구를 ‘일상 예술’이라는 키워드로 자신의 삶으로 끌어들이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갤러리의 뷰잉룸처럼 아주 사적인 공간부터 인테리어 가구숍, 레스토랑, 헬스클럽에 접목되어 있는 아트 작품까지 작품과 가구를 매칭하는 공간 연출법을 소개한다.

이유 있는 갈색 가구, 이길이구 갤러리

붉은색 회화 작품은 홍정희의 ‘Nano’ 2015, 130.3×193.9cm(120F). 조각은 이학의 ‘소녀’ 2002, 15×33×10(D)cm. 작은 푸른색 회화 작품은 최선호의 ‘제주 바다’ 2016, 24×24cm.

이길이구 갤러리 백운아 대표의 집무실이자 뷰잉룸 그리고 프라이빗 라운지는 작품 선정의 스펙트럼이 넓은 이곳 갤러리의 개성을 잘 보여준다. 눈길을 끄는 점은 조지 나카시마의 가구부터 바르셀로나 체어 등 대부분의 가구가 갈색 계열이라는 점이다. 백운아 대표는 “뷰잉룸이나 라운지는 결국 작품이 주인공이 되는 공간이에요. 가구가 튀거나 강렬하지 않아야 했고, 블랙 색상의 가구는 흰 벽과 지나치게 대조적이어서 꺼려지더라고요”라며 가구 선택의 이유를 말했다. 가구가 조연의 역할을 톡톡히 해주니 작품을 걸 때도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특히 조지 나카시마의 가구는 많은 목제 가구를 사용해봤지만 단연 최고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백운아 대표가 좋아한다. 묵직한 나무 가구와 갈색 가죽의 가구는 홍정희 작가의 강렬한 붉은색 작품부터 조각이나 추상화, 모빌 등을 넓은 포용력으로 끌어안는다.

 

 

회화 작품은 홍정희의 ‘Off Self’ 1998, 97×130.3cm. 스탠딩 모빌은 최선호의 ‘봄바람’ 2016, (Standing Mobile), 90×55×67cm. 왼쪽 조각은 이학의 ‘소녀’ 2002, 14×22×10cm. 오른쪽 조각은 이학의 ‘새’ 2002, 7.5×30×7cm.

 

 

회화 작품은 전재은의 ‘The Place Where the Camellia Was’ 2020, 55×46cm. 테이블 위의 조각은 이학의 ‘새’ 2002, 7.5×30×7(D)cm. 왼쪽 돌 조각은 이학의 ‘소녀’ 2021, 14×37.5×8cm. 오른쪽 조각은 이학의 ‘소녀’ 2021, 12×34×8cm. 단상 위의 조각은 문신 작가의 ‘Light up My Life 2’ 1987, 22×27cm. 행잉 모빌은 최선호의 ‘十二月’ 2016, 90×90×100cm.

CREDIT

에디터

,

포토그래퍼

임태준, 이현실, 박상국, 이예린

TAGS
Home like a Gallery, 지갤러리

일상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갤러리 속 프라이빗 룸, 지갤러리

일상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갤러리 속 프라이빗 룸, 지갤러리

아트와 미술 시장의 열기가 거세다. 생활 속 예술이 어떻게 살아 숨 쉬는지 궁금하다면 이 페이지를 눈여겨보라. 컬렉팅해온 가구, 조명, 그림 등으로 공간을 꾸미는 ‘갤러리 같은 집’이 주거 트렌드의 중심에 선 요즘, 갤러리에서 선보이는 그림과 가구를 ‘일상 예술’이라는 키워드로 자신의 삶으로 끌어들이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갤러리의 뷰잉룸처럼 아주 사적인 공간부터 인테리어 가구숍, 레스토랑, 헬스클럽에 접목되어 있는 아트 작품까지 작품과 가구를 매칭하는 공간 연출법을 소개한다.

강약의 중요성, 지갤러리

노란색의 큰 페인팅 작품은 에디 마르티네즈의 ‘Love Letter #4(Decade Young)’ Executed in 2016-17, 243.8×190.5cm. 왼쪽 둥근 프레임의 작품은 음하의 ‘Controller- Radar, BRACE’ 2017, Diameter 40cm

 

테일러 화이트 Taylor White의 ‘Sports’ 2021, 193.04×182.88cm. 세라믹 스툴과 화병, 콘솔은 김무열 작가의 작품

 

강약의 중요성, 지갤러리

지갤러리의 라운지는 사이즈가 큰 작품과 소가구의 매칭이 돋보인다. 정승진 대표는 국내 작가의 가구를 두어 공간을 완성했고, 거대한 에디 마르티네즈 Eddie Martinez의 작품과 함께 황형신 작가, 챕터원과 협업한 코르크로 만든 의자와 김무열 작가의 세라믹 스툴, 오스카 니마이어의 벤치를 함께 매칭했다. “무엇보다 강약 조절이 필요했어요. 컬러감 있는 그림일수록 가구의 색상이 너무 무겁지 않게요. 큰 작품 옆에는 작은 작품을 걸어 벽이 복잡해 보이지 않도록 하고요. 또 화려한 작품들을 한 공간에 배치할 때는 한쪽 벽면은 회색처럼 톤다운된 컬러를 도전해보세요. 훨씬 더 정돈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요.”

CREDIT

에디터

,

포토그래퍼

임태준, 이현실, 박상국, 이예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