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like a Gallery, 이길이구 갤러리

일상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갤러리 속 프라이빗 룸, 이길이구 갤러리

일상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갤러리 속 프라이빗 룸, 이길이구 갤러리
아트와 미술 시장의 열기가 거세다. 생활 속 예술이 어떻게 살아 숨 쉬는지 궁금하다면 이 페이지를 눈여겨보라. 컬렉팅해온 가구, 조명, 그림 등으로 공간을 꾸미는 ‘갤러리 같은 집’이 주거 트렌드의 중심에 선 요즘, 갤러리에서 선보이는 그림과 가구를 ‘일상 예술’이라는 키워드로 자신의 삶으로 끌어들이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갤러리의 뷰잉룸처럼 아주 사적인 공간부터 인테리어 가구숍, 레스토랑, 헬스클럽에 접목되어 있는 아트 작품까지 작품과 가구를 매칭하는 공간 연출법을 소개한다.

이유 있는 갈색 가구, 이길이구 갤러리

붉은색 회화 작품은 홍정희의 ‘Nano’ 2015, 130.3×193.9cm(120F). 조각은 이학의 ‘소녀’ 2002, 15×33×10(D)cm. 작은 푸른색 회화 작품은 최선호의 ‘제주 바다’ 2016, 24×24cm.
이길이구 갤러리 백운아 대표의 집무실이자 뷰잉룸 그리고 프라이빗 라운지는 작품 선정의 스펙트럼이 넓은 이곳 갤러리의 개성을 잘 보여준다. 눈길을 끄는 점은 조지 나카시마의 가구부터 바르셀로나 체어 등 대부분의 가구가 갈색 계열이라는 점이다. 백운아 대표는 “뷰잉룸이나 라운지는 결국 작품이 주인공이 되는 공간이에요. 가구가 튀거나 강렬하지 않아야 했고, 블랙 색상의 가구는 흰 벽과 지나치게 대조적이어서 꺼려지더라고요”라며 가구 선택의 이유를 말했다. 가구가 조연의 역할을 톡톡히 해주니 작품을 걸 때도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특히 조지 나카시마의 가구는 많은 목제 가구를 사용해봤지만 단연 최고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백운아 대표가 좋아한다. 묵직한 나무 가구와 갈색 가죽의 가구는 홍정희 작가의 강렬한 붉은색 작품부터 조각이나 추상화, 모빌 등을 넓은 포용력으로 끌어안는다.    
회화 작품은 홍정희의 ‘Off Self’ 1998, 97×130.3cm. 스탠딩 모빌은 최선호의 ‘봄바람’ 2016, (Standing Mobile), 90×55×67cm. 왼쪽 조각은 이학의 ‘소녀’ 2002, 14×22×10cm. 오른쪽 조각은 이학의 ‘새’ 2002, 7.5×30×7cm.
   
회화 작품은 전재은의 ‘The Place Where the Camellia Was’ 2020, 55×46cm. 테이블 위의 조각은 이학의 ‘새’ 2002, 7.5×30×7(D)cm. 왼쪽 돌 조각은 이학의 ‘소녀’ 2021, 14×37.5×8cm. 오른쪽 조각은 이학의 ‘소녀’ 2021, 12×34×8cm. 단상 위의 조각은 문신 작가의 ‘Light up My Life 2’ 1987, 22×27cm. 행잉 모빌은 최선호의 ‘12月’ 2016, 90×90×100cm.
CREDIT
에디터

,

포토그래퍼 임태준, 이현실, 박상국, 이예린
TAGS
Home like a Gallery, 지갤러리

일상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갤러리 속 프라이빗 룸, 지갤러리

일상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갤러리 속 프라이빗 룸, 지갤러리
아트와 미술 시장의 열기가 거세다. 생활 속 예술이 어떻게 살아 숨 쉬는지 궁금하다면 이 페이지를 눈여겨보라. 컬렉팅해온 가구, 조명, 그림 등으로 공간을 꾸미는 ‘갤러리 같은 집’이 주거 트렌드의 중심에 선 요즘, 갤러리에서 선보이는 그림과 가구를 ‘일상 예술’이라는 키워드로 자신의 삶으로 끌어들이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갤러리의 뷰잉룸처럼 아주 사적인 공간부터 인테리어 가구숍, 레스토랑, 헬스클럽에 접목되어 있는 아트 작품까지 작품과 가구를 매칭하는 공간 연출법을 소개한다.

강약의 중요성, 지갤러리

노란색의 큰 페인팅 작품은 에디 마르티네즈의 ‘Love Letter #4(Decade Young)’ Executed in 2016-17, 243.8×190.5cm. 왼쪽 둥근 프레임의 작품은 음하의 ‘Controller- Radar, BRACE’ 2017, Diameter 40cm
 
테일러 화이트 Taylor White의 ‘Sports’ 2021, 193.04×182.88cm. 세라믹 스툴과 화병, 콘솔은 김무열 작가의 작품
 

강약의 중요성, 지갤러리

지갤러리의 라운지는 사이즈가 큰 작품과 소가구의 매칭이 돋보인다. 정승진 대표는 국내 작가의 가구를 두어 공간을 완성했고, 거대한 에디 마르티네즈 Eddie Martinez의 작품과 함께 황형신 작가, 챕터원과 협업한 코르크로 만든 의자와 김무열 작가의 세라믹 스툴, 오스카 니마이어의 벤치를 함께 매칭했다. “무엇보다 강약 조절이 필요했어요. 컬러감 있는 그림일수록 가구의 색상이 너무 무겁지 않게요. 큰 작품 옆에는 작은 작품을 걸어 벽이 복잡해 보이지 않도록 하고요. 또 화려한 작품들을 한 공간에 배치할 때는 한쪽 벽면은 회색처럼 톤다운된 컬러를 도전해보세요. 훨씬 더 정돈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요.”
CREDIT
에디터

,

포토그래퍼 임태준, 이현실, 박상국, 이예린
TAGS
Home like a Gallery, 타데우스 로팍 서울

일상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갤러리 속 프라이빗 룸

일상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갤러리 속 프라이빗 룸
아트와 미술 시장의 열기가 거세다. 생활 속 예술이 어떻게 살아 숨 쉬는지 궁금하다면 이 페이지를 눈여겨보라. 컬렉팅해온 가구, 조명, 그림 등으로 공간을 꾸미는 ‘갤러리 같은 집’이 주거 트렌드의 중심에 선 요즘, 갤러리에서 선보이는 그림과 가구를 ‘일상 예술’이라는 키워드로 자신의 삶으로 끌어들이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갤러리의 뷰잉룸처럼 아주 사적인 공간부터 인테리어 가구숍, 레스토랑, 헬스클럽에 접목되어 있는 아트 작품까지 작품과 가구를 매칭하는 공간 연출법을 소개한다.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접목, 타데우스 로팍 서울

붉은색 작품은 제이슨 마틴 Jason Martin의 ‘Untitled(Quinacridone Magenta/Fluorescent Red)’ 2021, 168×168×20cm. 그 옆은 제이슨 마틴의 ‘Untitled(Permanent Red)’ 2021, 100×80×8cm. 파란색 작품은 제이슨 마틴의 ‘Untitled(Oriental Blue/Prussian Blue)’ 2021, 84×70×13cm. 큰 검은색 회화작품은 올리버 비어 Oliver Beer의 ‘Resonance Painting(Cri du Loup)’ 2021, 152×122cm. 그 옆 회화작품은 로버트 롱고 Robert Longo의 ‘Study of Swamp Tree’ 2017, 26.7×53.3cm, Frame 63, 8×87, 3×3.8cm.
 
디렉터룸의 벽에 걸린 왼쪽 작품은 아르눌프 라이너 Arnulf Rainer의 ‘Geplatzte Frucht’ 1997, 47×60.5cm, Frame 50, 5×64×4.5cm. 오른쪽 작품은 아르눌프 라이너의 ‘Blume’ 1997, Frame 44.5×68×4.5cm. 조각은 에르빈 부름 Erwin Wurm의 Abstract Sculptures ‘What!’ 2018, 67×35×25cm.
타데우스 로팍 서울은 두 개의 건물을 연결한 독특한 공간 구성이 돋보인다. 전시와 디렉터의 사무 공간 사이 뷰잉룸이 위치하는데, 마치 두 공간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듯 기다란 복도 형태로 되어 있다는 점이 신선하다. 뷰잉룸과 디렉터의 룸은 특별히 유러피언 아이덴티티가 강한 타데우스 로팍의 특징을 지키면서도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더하기 위해 해외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양태오 디자이너에게 공간 디자인을 의뢰해 완성했다. 주기적으로 작품을 교체하기 때문에 어떤 그림이 걸려도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도록 튀지 않게 공간과 가구를 디자인했다. 뷰잉룸 뒤로 황규진 디렉터의 룸에서는 그녀가 예술 작품과 가구를 연결한 아이디어를 엿볼 수 있다. “책장에는 작은 조각이나 회화작품을 세워 배치해보세요. 자칫 빼곡한 책으로 지루해 보일 수 있는데, 작품을 배치함으로써 환기를 주는 동시에 좀 더 시선이 오래 머무르게 하는 효과도 있어요.”
CREDIT
에디터

,

포토그래퍼 임태준, 이현실, 박상국, 이예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