뻐꾸기 빌라 위로 날아간 새

오래된 빌라 인테리어

오래된 빌라 인테리어
 

건축 설계를 업으로 하는 부부의 손에 30년이 넘어 흰 백지장과 같은 공간이 주어지면 어떻게 변할까?
부부의 취향을 오롯이 반영한 49㎡ 빌라 리모델링 이야기.

 
거실과 주방 사이에 미닫이문을 달아 유동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미국의 유명 건축가 톰 쿤딕은 말했다. “자신의 집을 짓는 사람은 용감하고 삶에 호기심이 많다. 그들은 그저 상품을 사서 작동하게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집에 산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생각한다.” 잘 살고 있던 아파트 대신 30년 넘은 다세대 빌라를 매매해 손수 고친 서준혁, 최세진 부부만큼이나 용감한 이들이 또 있을까. 각각 건축사사무소 지랩과 사무소 효자동을 거친 두 사람은 올해부터 만화기획 건축사무소를 함께 운영 중이다. 합심해 고친 홍은동 뻐꾸기 빌라는 만화기획의 프리퀄인 셈. “주말마다 집을 보러 다녔어요. 애매한 새집보다는 전부 뜯어 고칠 수 있는 15평 내외의 구옥을 찾았죠. 이 집의 첫인상은 굉장히 좁고 낡았었는데, 요즘 보기 드문 직사각형 평면에 경사 지붕이더라고요. 꼭대기 층이라 천장을 트면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어 그 자리에서 바로 계약금을 넣었어요. 가능성을 본 거죠. 곧장 빠루(천장을 철거하는 도구)를 사서 쳤는데, 다행히 아주 높고 반듯한 천장이 나왔어요.” 1986년생 다세대 빌라는 그렇게 젊은 새 주인을 맞이했다.  
1980년대 유행한 건축양식 뻐꾸기창은 당시 다세대 빌라에서 부릴 수 있는 최고의 멋이자 장식이었다.
 
물탱크가 있던 천장 자리를 수납공간으로 만들었다.
 
서준혁, 최세진 부부.
   

작지만 너른 집

 
임스 파이버 글라스 체어를 제외한 테이블과 의자는 아이네클라이네에서 주문 제작했다.
  15평이 채 되지 않는 빌라는 화장실을 제외하면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베란다가 있는 거실 겸 다이닝, 주방 그리고 침실. 법적인 구조를 건들지 않는 선에서 모두 철거하고 새롭게 꾸몄다. 집 안 곳곳에서 부부가 고심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베란다의 문턱을 없애고 길게 마루를 시공해 공간이 넓어 보이게 만든다거나, 남향인 거실의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주방 사이에 난 문을 한지로 발랐다거나, 3.7m에 달하는 거실 천장의 공간감을 살리기 위해 갓이 없는 펜던트 조명을 달았다거나 하는 것들이다. 베란다 천장을 과감히 통유리로 마감한 것도 블라인드 개폐 유무와 관계 없이 빛을 온전히 끌어들이기 위한 의도. 절대적인 공간이 부족하다 보니 수납공간 확보에도 많은 공을 들였다. 천장 안에 숨어 있던 물탱크 공간은 미닫이문을 달아 계절 가전과 옷을 수납하는 창고로 만들고, 베란다 한쪽에는 이동 가능한 장을 설치해 공간 활용도를 높인 것.  
서재 혹은 다이닝 공간이 되기도 하는 거실.
 
소파 대신 이동 가능한 좌식 쿠션을 배치해 공간 활용도를 높였다.
  공사 기간은 약 한달 반. 회사 생활로 바쁜 와중 직접 집을 고친 탓에 웃지 못할 추억도 생겼다. “입주 날짜가 안 맞아서 게스트하우스 생활을 한 달 정도 했어요. 나중에는 정말 기본만 갖춰놓고 입주해서 두 달 동안 화장실 문도 없었죠. 덕분에 서로 더 친해졌달까요(웃음).” 우여곡절이 많았던 공사 과정은 인스타그램 계정(@villa_cuckoo)에 차곡차곡 담겼다.    

뻐꾸기 빌라가 된 이유
1970~80년대 지어진 다세대 빌라는 대부분 밖으로 돌출된 ‘뻐꾸기창’이라 불리는 작은 창이 있다. 천편일률적으로 빌라를 찍어내던 그 시절, 빌라가 부릴 수 있는 최고의 멋이자 유행이었던 것. “이 집을 선택한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 뻐꾸기창이었어요. 단열 보수를 하고 괜찮은 창호로 시공하면 안쪽 공간을 잘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거든요. 좁은 집에 재미와 깊이감을 더할 수 있는 요소이기도 했고요.”

 
좁지만 갖출 건 다 갖춘 욕실. 목욕을 좋아하는 남편 서준혁 씨를 위해 오른쪽에는 작은 욕조를 두었다.
 
냉장고 옆 틈새에는 그릇 수납장을 짜 넣었다.
  홍은동으로 이사한 지 2년이 되어가는 지금, 두 사람은 입을 모아 동네에서 느낀 정겨움에 대해 늘어놓았다. “이 집은 정말 우리가 살고 싶은 집에 살기 위해 찾은 집이에요. 아파트에 살 때보다 이웃을 만날 일도 많고, 서울인데도 마치 작은 마을에 살고 있다는 소속감이 들어요. 솔직히 30~40년된 다세대 빌라를 사서 적지 않은 액수를 들여 고치는 것이 요즘 부동산 이치에는 맞지 않잖아요. 아파트가 더 편리했던 것도 사실이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말 잘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저희 몸에 꼭 맞게 고쳐서 편안한 것도 있지만 삶이 한층 풍부해졌거든요.”  
좋아하는 기물로 채운 주방 모습.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태준
TAGS
The Serif in Wonderland

핑크 빛 홈 스타일링

핑크 빛 홈 스타일링
 

개인의 공간을 개성으로 가득 채우는 맥시멀리즘이 새로운 인테리어 흐름으로 떠오르고 있다.
볼드한 인테리어 컨셉트부터 선명한 시각적 효과를 주는 컬러 아이템까지 과감하게 공간에 펼쳐 보이는 맥시멀리즘의 풍경은 참신한 아이디어와 영감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 요즘 핫한 맥시멀리스트라면 한 번쯤 고민해볼 만한 아이템으로 꾸민 몽환적이고 영감이 가득한 원더랜드로 당신을 초대한다.

 

상상 속 비밀의 정원

 
그린 소파는 B&B 이탈리아의 ‘EDA-MAME’로 인피니에서 판매. 왼쪽 스툴은 박스터 ‘TEBE’ 에이스에비뉴에서 판매.
  대담한 컬러와 패턴으로 발현된 위트와 아트가 공존하는 신비로운 비밀의 정원에서는 즐거운 티파티가 열린다. 블라썸 핑크 컬러를 입은 매혹적인 더 세리프를 중심으로 수많은 꽃과 식물이 가득 피어오르고, 시간을 초월한 유기적인 형태의 가구와 자연의 모티프가 어우러지는 공간. 안과 밖의 경계가 사라지고, 일상과 상상의 세계가 조우하는 초현실적이고 색다른 비밀의 정원이 더 세리프 블라썸 핑크 에디션을 통해 완성되었다.  
테이블 위 티팟은 ‘메가 로즈’, 오른쪽 컵은 ‘로즈 터말 머그’, 화병은 ‘화병 모닝글로리’로 모두 로얄코펜하겐.
   

사자, 옷장 그리고 더 세리프

 
사자 인형은 한사토이, 아래 페르시안 카펫은 세이투셰.
  비밀스러운 옷장을 열고 안으로 들어서면 새로운 세계가 펼쳐지는 동화속 이야기를 기억하는가. 경험하지 못했던 신비롭고 새로운 세상에 빠져들듯, 더 세리프에 탑재된 매트 디스플레이 기능은 밝은 빛에도 반사 없이 선명하고 비비드한 화질의 세계로 당신을 안내할 것이다.    

어느 맥시멀리스트의 방

 
하얀색 털 의자는 박스터 ‘NEPAL’ 제품으로 에이스 애비뉴에서 판매. 옆 사이드 테이블 겸 스툴은 김무열 작가의 작품.
  맥시멀리스트는 단순히 다양한 아이템을 수집하는 것이 아니다. 소품의 홍수 속에서 찾아낸 진주 같은 물건을 과감하게 조합해 영감이 살아 있는 신선한 공간을 연출한다. 트렌디한 감성을 자극하는 핑크 컬러는 개성을 사랑하는 맥시멀리스트의 대표적인 잇 컬러. 다채로운 데코 아이템과 함께 놓인 더 세리프 블라썸 핑크 에디션은 방 안을 낭만적이고 달콤함이 가득한 곳으로 변화시킨다.

제품 협찬 삼성전자 더 세리프
WEB samsung.com/sec/lifestyletv/home/

 
CREDIT
에디터

,

포토그래퍼 임태준
스타일리스트 민송이(세븐도어즈)
플로리스트 정은정(라마라마)
TAGS
작가 허명욱의 길

허명욱 작가의 세계

허명욱 작가의 세계
  허명욱 작가는 무경계의 작업을 하고 있지만 멈춰 있었던 적이 없다. 호기심과 끈기를 무기 삼아 끊임없이 길을 만들어가는 그를 새로운 갤러리에서 만났다.  
새로 지은 갤러리 건물 지하에서 포즈를 취한 허명욱 작가. 지하이지만 빛이 들어오는 코너에 나무를 심어 시적인 공간이 됐다.
  사진, 회화, 조각, 옻칠. 자신만의 시각과 재해석으로 다양한 분야를 오가는 허명욱 작가는 최근 그 어느 때보다도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다. 올해 9월에는 파리 메종&오브제에 프린트베이커리 전속 작가로 참여해 큰 호응을 얻었으며, 에르메스와는 판교 매장에서 대형 아트워크를 진행했다. 용인에 있는 작업실 옆에 새로 지은 갤러리에서 그를 만난 날은 주말이었지만 공방은 분주했다. 그는 12월 2일부터 청담동 분더샵에서 진행되는 개인전 <Overlaying>을 앞두고 있다. “이곳은 작품만 따로 모아서 보여줄 갤러리 공간을 지은 건데, 처음 계획대로 완성되지는 않았어요. 우여곡절이 좀 많았죠. 그래도 넓은 지하와 1층에 작품을 두고, 가구와 운동기구 등을 두어서 혼자 시간을 보내기도 하고 방문객이 왔을 때 둘러볼 수도 있어요. 지하는 제가 직접 작품 배치를 시뮬레이션해볼 수 있어 유용하고요.” 허명욱 작가는 한창 비가 많이 내렸던 때 물이 차서 작품과 가구를 위로 급하게 올려야 했는데 그 자체로 또 자연스러운 배치가 마음에 들어서 지금처럼 그냥 두었다고 했다.  
어린 시절 자신의 모습을 표현한 소년 군상 작품. 아톰의 머리 형태를 본뜬 딴 모자 같은 가면을 씌울 수도 있다.
 
꼭 필요한 기둥 외에는 공간을 시원하게 터서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작품을 전시할 수 있다.
 
아라리오 갤러리의 전속 작가였을 때 선보였던 옻칠 작품을 마주 보고 서 있는 소년 작품.
 

언제나 그랬듯 이번에 지은 갤러리 건물도 박공지붕 형태다. 시원하게 뻗은 천고는 삼각형 지붕과
만나 안정감을 이룬다. 허명욱 작가가 좋아하는 검은색 작품과 가구, 오디오 등을 자유롭게 배치했다.

  갤러리 건물은 옆에 지은 두 개의 작업실처럼 세모 지붕 형태지만 외벽은 적벽돌 대신 콘크리트로 마감했다. 1층에는 주로 검은색 작품과 가구를 두었는데 내부의 콘크리트와 검은색의 만남이 묵직하면서도 쓸쓸한 초겨울과 몹시 잘 어울렸다. 색이 쌓이면 결국 검은색이 되고, 검은색이야 말로 모든 색을 포용하고, 다른 색을 돋보이게 한다는데서 매력을 느낀다는 허명욱 작가는 그래서인지 언제나 검은색 의상을 입는다. 위에서부터 자연 채광이 은은하게 내려오는 지하에서는 그가 아라리오 갤러리 전속 작가였을 때부터 현재까지의 작품을 두루 살펴볼 수 있다. 갤러리 로얄에서 진행했던 <Trace> 전시에서 소개한 ‘문’ 시리즈, 하나의 스틱을 만들어 촘촘히 이어 붙이는 과정을 반복하는 ‘스틱 시리즈’, 설치작품으로 선보인 옻칠한 용기 작품들 그리고 어린 시절 그의 모습을 본뜬 ‘소년 군상’들은 성인이 된 허명욱 작가의 작품을 마주보고 있다.  
2016년 아라리오 갤러리에서 설치작품으로 선보인 옻칠 용기. 노란빛으로 옻칠한 용기 200여개는 누군가에게 보내진 후 각기 다른 쓰임으로 사용되다 돌아왔다. 개개인의 환경과 사용 용도가 모두 달랐기에 돌아온 옻칠 용기 또한 제각기 다른 모습으로 변해있었다. 옻칠의 자연적인 특성과 시간의 축적을 느낄 수 있는 독특한 작품.
 
작품은 구상과 드로잉에서부터 시작된다. 생각날 때마다 끊임없이 드로잉하고 스케치한다.
  “어린 시절의 기억이 나를 만든 것 같아요. 화가 났을 때 방에 서 있는 아톰을 보고 있으면 위안이 됐고, 남들과 똑같은 것에 대한 거부감 때문에 초등학교 때는 점심도 먹지 않았죠(웃음). 정해진 시간에 모두 똑같이 밥을 먹어야 한다는 것이 왠지 싫더라고요. 새것이 싫어서 새 실내화를 비 오는 날 웅덩이에 적시고, 새 청바지는 바위에 문질러 워싱해서 입었죠.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면 그런 기억이 왜 그랬는지 이해가 가요. 그게 곧 저의 본성이었던 거예요.” 허명욱 작가는 보통의 작가들과는 다른 길을 걸어왔다. 여러 분야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그를 누군가는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기도 했다. 하지만 그에게는 정해진 길을 걷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방향대로 길을 개척해나가는 힘이 있다. 사진이나 조각, 옻칠은 길을 만들 수 있는 매개체가 됐을 뿐이다. 그래서 작품을 보고 있으면 분야를 국한할 수가 없다. 공예, 회화, 드로잉, 조각이 과정에서부터 자유롭게 얽혀 있다.  
작업하는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들이지만 한데 모아두니 그 자체만으로도 작품처럼 아름답다.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 도구나 물품은 모두 자리가 정해져 있다. 이렇게 시간을 단축하면 작업에 더욱 몰두할 수 있게 된다고.
  하지만 ‘쌓는다’, 즉 레이어링의 과정은 변함이 없다. 하나의 트레이를 만들기 위해 40회 이상의 과정이 포개져야 하고, ‘문’ 시리즈는 촬영한 사진 위에 드로잉하고, 다시 사진을 찍어 또 드로잉하는 과정을 반복한 것이다. 그가 빈티지를 좋아하는 것도 시간이 쌓여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것을 이해할 때 관람객은 작품을 더 깊게 느낄 수 있다. 아름다운 색감 때문에 사진이 잘 나온다는 이유로 허명욱 작가의 옻칠 트레이나 테이블웨어를 구입했던 이들도 그가 작은 옻칠 접시 하나를 만드는 과정을 보고 나면 마음가짐이 달라진다.  
색을 만들고, 칠하고, 사포로 벗겨내는 작업 과정은 반복적이지만 어느 하나 똑같은 작품이 없다.
  “이번에 분더샵에서 하는 개인전은 작품을 넘어 제가 어떤 사람인지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아요. 전시 소개글을 읽고 전시장을 둘러보는 동안 저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면 좋겠어요.” 허명욱 작가는 요즘 들어 앞날을 생각하게 된다고 말했다. 아직 죽음을 말하기에는 이르지만 어느 날 자신이 사라져도 허명욱이 추구했던 가치와 작품은 그대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고, 작가의 길을 걷고 있는 선배로서 해야 할 일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제주도에서 이를 위한 프로젝트를 준비중이다. 미래의 시간을 어떻게 쌓아갈지 작품으로 치면 밑작업을 준비하고 있는 셈이다.  
획일적인 것을 싫어하고 아름다운 것에 대한 확실한 주관이 있었던 어린 소년은 이제 중년의 작가가 되어 자신이 만든 작품을 흐뭇하게 바라보고 있다.
  허명욱 작가는 매일 오늘의 색을 만든다. 그날의 날씨, 기분, 환경에 따라 결코 같은 색이 나올 수 없는 그날만의 색이다. 이를 바탕으로 칠을 하고, 붙이고, 벗겨내는 무경계의 작업이 매일매일 진행 중이다. 수행하듯 만들어낸 오늘의 과정이 그가 남기고 싶어하는 미래의 색으로 찬란하게 태어나길 바라본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이과용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