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브릭 전문 브랜드 현우디자인이 로로피아나 인테리어와 손잡고 패브릭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펼쳐낸 세컨하우스를 공개했다.
거실에 있는 가구는 모두 로로피아나 인테리어의 긴자 Ginza 컬렉션. 캐시미어와 리넨 등으로 제작된 쿠션은 사이즈, 원단 선택이 가능하다. 캐시미어 카펫은 원 스텝 투 헤븐의 카샤 Kasha 컬러를 선택했다.
한국 아파트에서 벽체를 마감하는 데 쓰이는 시공 방식은 주로 도배다. 취향에 따라 도장을 선택하는 이들도 늘었지만 여전히 도배지로 마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각종 오염에 취약한 패브릭보다 관리가 쉬운 가죽 소파나 원목 가구 등으로 쉬운 길을 택하는 이들이 많다. 왜 이토록 패브릭 사용은 어렵게만 느껴질까. 패브릭 전문 브랜드 현우디자인의 김민정 대표는 집에 있어 패브릭이란, 우리가 옷을 입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한다. 부피가 큰 가구보다도 변화를 주기에 용이하며 계절감을 표현할 수도 있기 때 문이다. 현우디자인은 패브릭이 가진 마력을 입증하기 위해 실제 생활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는 패브릭 하우스를 열었다. 지난 10년 간 로로피아나 인테리어의 감도 높은 패브릭을 전개해온 현우디자인이 김민정 대표의 한남동 세컨하우스를 로로피아나의 미학을 엿볼 수 있는 공간으로 변신시킨 것. 로로피아나 인테리어와 현우디자인은 서로 간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집이 주는 편안함과 안락함과 더불어 다재다능한 직물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을 탄생시켰다.
울 패브릭으로 감싼 침대 헤드보드. 쿠션은 젠 컬러의 아타카마 울 캐시미어.
방염 소재의 월페이퍼 맨해튼 비앙코레 위에 김지혜 작가의 도자 오브제를 장식했다.
논현동에 위치한 현우디자인 스튜디오가 조금 더 실질적인 패브릭 쇼핑을 위한 장소였다면 새롭게 오픈한 한남동 세컨하우스는 로로피아나 인테리어가 전개하고자 하는 직물에 대한 이해와 일상에서 진정한 패브릭의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곳이다. 이 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바로 조선 시대 병풍에서나 볼 법한 동양화풍의 벽화가 그려진 다이닝이다. 10년도 더 전, 이 집을 구입했을 당시 김남규 작가가 직접 그린 이 그림이 멋스러워 이를 기점으로 동양의 고즈넉함과 현대적인 세련미를 가미해 고풍스러운 인테리어를 완성했다. 가장 놀라운 점은 커튼, 러그, 가구뿐 아니라 화장대와 의자 등 가구의 일부분과 벽, 장롱, 건식 욕실의 거울 프레임, 세면대까지도 패브릭을 적용한 모습이다. “패션 패브릭이 아닌 인테리어 홈 패브릭으로써 수만 번의 보풀 방지 테스트를 거치고 물과 오염에 강한 레인 시스템을 갖춘 아웃도어 패브릭을 비롯해 캐시미어도 집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예요. 어렵게만 여겨지는 패브릭의 한계점을 풀어내고 무궁 무진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어요.” 현우디자인의 김민정 대표가 설명했 다. 아쉽지만 현재로서 이 세컨하우스는 현우디자인의 고객을 위한 프라이빗한 공간으로만 운영될 예정이다. 하지만 분명 현우디자인의 세컨하우스는 그간 패브릭의 한계에 부딪혀 도전을 망설던 이들에게 좋은 이정표가 될 것이다.
방염 소재의 맨해튼 월페이퍼로 벽을 마감했다. 둥글게 굴려 벽의 모서리 부분까지 꼼꼼하게 마감한 것이 특징.
벨기에 브랜드 JNL의 가구로 완성한 다이닝 공간.
김남규 작가의 벽화가 멋스러운 미니 다이닝. 스타토 Stato 다이닝 체어와 스툴의 뚜껑을 열어 트레이로 활용할 수 있는 스몰 스툴을 두었다. 붙박이 소파와 테이블은 자체 제작한 것.
하이어 컬러의 맨해튼 월페이퍼로 마감한 붙박이장과 알타이 울 원단으로 완성한 문.
사이잘과 면 소재의 아스트라토 다이아몬드 월 커버링.
자연 소재이자 방습에 강한 내구성을 갖춘 알타이 울 소재로 욕실의 거울과 하부장을 마감했다.
화장대는 자체 제작한 것. 오른쪽 하부장은 까사 컬러, 왼쪽 하부장은 그린 블루 컬러의 타이폴로 울 패브릭으로 마감했으며 스툴은 로즈 컬렉션의 까사 그린 블루로 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