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콜렉션의 이태원 아틀리에

그린콜렉션의 이태원 아틀리에

그린콜렉션의 이태원 아틀리에
식물만큼이나 공간을 사랑하는 그린콜렉션의 원안나 대표가 직접 꾸민 이태원 아틀리에.
식물을 둘러볼 수 있는 라운지처럼 구성한 거실. 아이보리색 라운지 체어는 알프 스벤손 Alf Svensson 디자인의 60년대 빈티지 제품.
“완상 玩賞하는 자연을 추구해요. 스스로를 가든 디자이너나 플로리스트라고 명명하지 않고 아름다움을 컬렉팅하는 사람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유앤어스와 앤더슨씨, 밍글스 청담 등 감각적인 공간에는 그린콜렉션의 식물이 함께한다. 원안나 대표는 정원 조경부터 실내 크고 작은 식물들까지 모두 제안한다. 주로 식물을 다루지만 아름다운 공간을 연출하기 위해 가구와 조명, 공예품 등을 모은다. 그렇다 보니 자신만의 기준으로 ‘즐기는’ 방법을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했다. 더욱이 일과 생활의 구분이 어려운 직업 특성상, 작업에 온전히 몰두할 수 있는 환경을 찾고 있던 그녀는 과감하게 쇼룸 역할을 할 수 있는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았다.
식물 그 자체를 즐기는 방법을 제안하는 그린콜렉션의 원안나 대표.
“식물과 화분이 자주 드나들고, 디스플레이도 계속해서 바뀌다 보니 작업하기 편한 환경을 찾았어요. 마당이 있는 이 집을 본 순간 이곳이다 싶었죠.” 이태원에 있는 이 빌라와의 만남은 그야말로 발견의 기쁨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여름 내내 나무와 돌 하나하나의 위치를 정하고 직접 심으며 지금의 정원을 완성했다. 내부도 두 달 동안 직접 손봤다. 정원과 연결된 작업실과 서재를 지나 안쪽으로는 넓은 거실이 펼쳐진다. 천장 높이까지 자란 크루시아, 잎이 돌돌 말린 모양의 바로크벤자민, 화려하게 만개한 동백나무 등 독특한 식물들이 시선을 먼저 사로잡는다. 주거 공간이지만 고객을 만나는 곳이다 보니 부담없이 찾을 수 있도록 생활감을 덜어내는 것이 중요했다. 생활 공간과 작업 공간을 명확히 구분하고, 거실을 식물과 꽃을 감상하는 라운지로 구성한 이유다.
암체어는 찰스 폴록 Charles Pollock 디자인의 60년대 빈티지 제품.
식물도 무늬와 질감에 따라 제각기 다른 초록빛을 낸다는 점을 보여주고 싶어 조명과 마감 디테일에 특히 신경 쓴 것이 특징. 나무 수형이 돋보이도록 새하얀 도화지처럼 페인트로 마감하고, 식물 색이 왜곡되지 않고 온전한 색을 보여줄 수 있게 조도를 맞췄다. 침실과 드레스룸은 거실과 맞닿아 있지만 프레임 형태의 문을 만들어 공간을 구분했다. 욕실에도 기존에 없던 가벽을 세워 프라이빗하게 구성해 고객의 부담감을 덜고자 한 배려가 느껴진다. 공간마다 직접 스케치하고 디자인하며 자연스레 자신의 취향을 알아갈 수 있었다.
천장 높이까지 자란 크루시아. 펜던트 조명 ‘에어리어50’은 마리오 벨리니가 디자인한 아르떼미데 Artemide 빈티지 제품.
 
식물을 다듬는 작업실. 오픈형 선반 위를 수형이 아름다운 식물로 채웠다.
“셀프 인테리어를 하다 보니 제 취향이 보이더라고요. 70년대 빈티지 가구와 조명, 그동안 모아온 공예품을 꺼내놓고 보니 동양 무드가 혼합된 이탤리언 집이 그려졌어요.”
만개한 동백나무와 함께 둔 장우철 작가의 사진.
생활 공간과 작업 공간의 경계를 오가듯 동양과 서양, 빈티지와 모던, 공예품과 기성품이 어우러지며 다양한 스타일이 조합된 그만의 공간을 완성했다. 비로소 그가 공간을 ‘즐기는’ 방법을 풀어낸 기분이다.
빈티지 화분과 공예품으로 어루어진 선반.
말 그대로 마음껏 일하고 싶어 마련한 공간인 만큼 앞으로 더 넓은 스펙트럼의 작업을 선보일 계획이다. “2024년 진행할 동백 전시를 위해 여름 동안 동백을 키울 거예요. 공예 작가들과 함께 나무에 꼭 맞는 화분부터 만들 겁니다. 화분 깊이 뿌리를 내리고 꽃망울 맺히는 과정을 살피며 수형을 직접 다듬을 계획입니다. 정원이 생겼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죠. 오랫동안 염원하던 일이라 벌써부터 기대가 되어요.” 사계절에 따라 매 순간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식물처럼 새로운 공간에서 뻗어나갈 원안나 대표의 정원이 기대되는 순간이다.
정원으로 이어지는 작업실. 작업대는 높이와 사이즈를 직접 스케치해 제작한 것.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이예린
TAGS
두 채의 아파트를 연결한 건축가의 집

두 채의 아파트를 연결한 건축가의 집

두 채의 아파트를 연결한 건축가의 집
밀라노 건축가 알레시아 가리발디의 집에서는 현재보다 과거가 중요하다. 그는 자신의 예술적 도약을 도모하기 위해 두 채의 아파트를 연결했다.
시크한 앤티크. 안쪽 암체어는 토넷 Thonet. 낮고 둥근 테이블과 콘솔, 벤치는 가리발디 아키텍츠 Garibaldi Architects 디자인. 핑크 꽃병은 시모나 카르디네티 Simona Cardinetti. 벽난로 위에 있는 사진은 노부요시 아라키 Nobuyoshi Araki 작품. 꽃병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벽에 건 작품은 안젤라 글라이카(왼쪽)와 조엘 안드리아노메아리소아(오른쪽) 작품으로 프리모 마렐라 갤러리 Primo Marella Gallery에서 구입. 앞에 보이는 암체어는 50년대 빈티지 제품. 태피스트리는 골란 Golran. 카나페는 레마 Lema. 쿠션은 데다르 Dedar. 테이블은 넨도 디자인으로 글라스 이탈리아 Glas Italia.
“단지 작품만 바꿔서 시대를 바꿉니다.” 건축가 알레시아 가리발디 Alessia Garibaldi는 역사에 애정이 많은 건축가로 잘 알려져 있다. 밀라노에 있는 그의 아파트는 타임머신 같다. 두 채의 집을 재편성한 결과, 거실과 다이닝룸은 원래의 19세기에 남겨둔 반면 다른 공간은 컨템포러리한 스타일로 완전히 새로 디자인했다.
건축가 알레시아 가리발디는 자신의 아파트를 마치 몸을 감싸는 이 토넷 암체어 모양대로 ‘고치’처럼 디자인했다.
“밖에서 보면 건물 외관은 그 시대의 특징을 고스란히 보존하고 있어요. 그런데 내부에서는 현대적 마천루를 마주볼 수 있죠. 이런 이분법을 좋아해요.” 차이점을 강조하기 위해 알레시아는 19세기 나무 장식에 금을 살짝 더하고, 현대적 공간으로 바닥과 벽에 콘크리트 효과를 주었다. 무엇보다 ‘밤의 세계를 좋아하는’ 그녀이기에 모든 공간을 회색 톤으로 마무리했다는데, 아트 작품이 이를 더 돋보이게 한다. 혼자 사는 그녀는 사람 초대하는 걸 좋아한다.
서로 연결된 거실과 다이닝룸은 화려한 면을 보존했다. 책장과 테이블은 가리발디 아키텍츠. 의자 ‘세스카 Cesca’는 마르셀 브루이어 Marcel Breuer 디자인으로, 가비나 Gavina. 앞에 보이는 흰색 석고 과일은 피오라이오 Fioraio. 50년대 암체어와 사이드 테이블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알레시아의 침실. 이란의 석회암을 콘크리트처럼 가공한 벽과 바닥이 완벽하게 어우러진다. 침구는 프레테 Frette. 침대 옆 테이블은 가리발디 아키텍츠. 테이블 램프 ‘로이 Roy’는 비아비주노 Viabizzuno. 찻주전자는 중국에서 가져왔다.

“석회암의 매력에 빠졌어요. 돌의 온기와 콘크리트의 거친 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죠.”

의자는 가리발디 아키텍츠. 의자 위에 놓은 사진은 에르빈 올라프 스프링벨트 Erwin Olaf Springveld 작품. 벽에 건 사진은 노부요시 아라키 작품. 거울로 마감한 나무 콘솔은 파올로 부파 Paolo Buffa 빈티지.
“모든 장르의 아티스트들과 친구들을 불러서 함께 성대한 저녁식사를 합니다.” 그래서 130㎡의 가장 넓은 공간에 이런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해 구성했다. 주방과 거실, 다이닝룸은 서로 연결돼있어 흥겨운 분위기를 더욱 끌어올린다. 식사 공간이 좀 어두운데 이는 우연이 아니다. “식탁에 모인 사람들의 따뜻한 분위기를 좋아해요. 어두운 식탁은 무라노 유리로 만든 샹들리에로만 밝혔죠. 따뜻한 조명의 빛이 공간과 식사하는 사람들을 동시에 기분 좋게 해줘요.”
석회암으로 감싼 벽이 욕실을 보석상자처럼 만든다. 거울은 가리발디 아키텍츠. 세면볼은 세라미카 시엘로 Ceramica Cielo. 수전은 판티니 Fantini. 펜던트 조명은 비아비주노.

“모던한 벽과 바닥은 각각 질감이 느껴지는 소재로 표현했어요.”

 

etc

-나무와 가죽으로 된 암체어 ‘905’는 비코 마지스트레티 Vico Magistretti 디자인으로 카시나 Cassina. 56×58×77cm, 1356유로부터.
-석고 원형 장식 ‘666’은 아틀리에 세답 Atelier Sedap. 지름 21cm, 56유로.
-호두나무와 대리석으로 만든 나이트 테이블 ‘바유스 톤도 44 Bayus Tondo 44’는 가브리엘레&오스카 부라티 Gabriele&Oscar Buratti 디자인으로 포라다 Porada. 44×55cm, 3877유로부터.

-떡갈나무 책장 ‘비블리아 Biblia’. 안토니오 치테리오 Antonio Citterio 디자인. 막살토 Maxalto. 가로 120/140×폭 44×높이 170.5/212/254cm. 9123유로부터.
-손으로 짠 양모와 실크 태피스트리 ‘아바야 스탬프 Abaya Stamp’는 에디션 부겐빌 Edition Bougainville. 250×300cm, 1만2670유로.
-리넨 쿠션 ‘아마랑트 피그망 Amarante Pigment’는 이오시스 Iosis. 33×57cm, 89유로.

-크리스털 낮은 테이블 ‘딥 시 Deep Sea’는 넨도 디자인으로 글라스 이탈리아. 75/125×75/48×37cm, 2568유로.
-떡갈나무와 가죽, 등나무로 만든 의자 ‘카나주 Cannage‘는 레드 에디션 Red Edition. 48.5×52×80cm, 670유로.

-페인트 ‘그리 갈레 Gris Galet’는 오퓌르 O’Pur 컬렉션으로 리폴랭 Ripolin. 리터당 22,45유로.
-페인트 ‘베이지 글래즈 Beige Glaise’는 오퓌르 컬렉션으로 리폴랭. 리터당 22,45유로.
-페인트 ‘CH1 1215 Brun Opole’은 에보카시옹 Evocations 컬렉션으로 귀테 Guittet. 리터당 53유로.

CREDIT
editor 발레리 샤리에 Valérie Charier, 샤를로트 바이유 Charlotte Bailly
photographer 베네딕트 드뤼몽 Bénédicte Drummond
stylist 비르지니 뤼시-뒤보스크 Virginie Lucy-Duboscq
TAGS
이토록 멋진 싱글하우스

이토록 멋진 싱글하우스

이토록 멋진 싱글하우스
내게 완벽하게 맞춘 공간에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한강 뷰. 최혁우씨가 사는 144.77㎡ 집은 혼자 사는 이라면 누구나 꿈꿀 법한 그런 곳이다.
거실에서 바라본 주방과 다이닝룸 모습. 커다란 아일랜드 조리대가 있는 오픈형 주방을 줄곧 꿈꿨다.
“공사하기 전에는 주변에서 다들 미쳤다고 했어요. 이렇게 방을 다 없애버리면 나중에 매물로 내놨을 때 팔리겠느냐면서. 방이 세 개 였는데, 지금은 하나밖에 없으니까요.” 공사를 마치고 입주한 지 이제 갓 두 달 차를 맞이한 최혁우씨의 말이다. 한강변을 면한 자양동의 이 주상복합아파트는 그가 이 지역 대학교를 입학하고 조교수가 된 시간만큼이나 오래도록 눈여겨보던 곳이다.
창 너머로 청담대교와 영동대교, 성수대교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소파와 라운지 체어는 모두 까시나, 조명은 플로스 제품.
처음 매물을 마주하던 날, 20년이라는 세월의 흔적은 의외로 컸다. 하지만 고민의 여지가 없었다. 거실에서 장애물 하나 없이 청담대교와 영동대교, 성수대교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이런 뷰는 흔치 않으니. ‘나에게 꼭 맞는 집으로 새 단장을 하고 오래도록 살리라.’
놀의 사리넨 테이블과 체르너 체어가 집을 디자인하는 시작점이 되었다.
최혁우씨가 꿈꾸던 집의 모습은 구체적이었다. 큰 아일랜드 조리대가 있는 오픈형 주방과 여럿이 함께 앉을 수 있는 다이닝 테이블, 호텔처럼 아늑한 침실. 다만, 1인을 위할 것. 머릿속에만 존재하던 상상의 집을 현실화하기 위해 업체 선정하는 데만 5개월이 걸렸다. 다이닝 공간 한쪽에 서재를 제안한 스튜디오 안도의 손을 잡았다.
1년을 기다려 받은 이배 작가의 100호짜리 작품.
“어릴 때부터 부모님이 직접 집을 짓고 고치면서 사시는 과정을 봐왔어요. 논현동 가구거리도 자주 따라다녀서 익숙하고요. 자연스럽게 관심이 많아졌죠. 집을 계약하자마자 두오모에서 놀 Knoll의 사리넨 타원 테이블을 주문했어요. 이전부터 모아온 체르너 체어도 개수에 맞게 더 주문을 넣었고요. 이렇게 제가 가지고 있던 가구와 작품 리스트를 넘기고 나서 디자인 작업을 시작한 거죠.” 먼저 안방으로 사용하던 가장 큰 방과 거실 사이 벽을 허물었다. 키친과 다이닝, 거실까지 이어지는 넓은 공간이 만들어졌다. 요리하면서 다이닝 공간과 거실을 바라볼 수 있는 구조다. 주방 스탠드 장은 체르너 체어와 월넛으로 색을 맞추고, 중앙에는 길이가 2m에 달하는 사리넨 테이블을 배치했다. 오랜 시간 천천히 만들어온 퍼즐이 하나씩 제 자리를 찾아가는 기분이었다. 입구에 나란히 있던 방 두 개도 하나로 튼 뒤 한쪽은 프라이빗한 욕실과 드레스룸을, 한쪽은 아늑한 침실로 꾸몄다. 침실을 거쳐 드레스룸과 욕실로 들어가는 디귿(ㄷ)자형 구조인데, 그 사이에는 공간 구분을 위해 미닫이 간살문을 달았다. 깔끔한 화이트 톤의 타일을 선택한 거실과 달리 안방에는 따뜻한 분위기의 마룻바닥을 선택했다. 결국 이 집에는 방이 정말 하나인 셈이다.
조지 넬슨이 디자인한 빈티지 사이드 보드는 원오디너리맨션에서 구입한 것.
정형외과 의사로 일하는 그는 오래전부터 작품을 수집해온 컬렉터이기도 하다. 마이클 스코긴스와 조지 몰튼 클락, 이우환, 이배 등의 러프한 만화 같은 작품부터 단색화 작품까지 넘나든다. 거실에 걸린 100호짜리 이배 작가 작품은 조현화랑에서 1년을 기다린 끝에 손에 넣었다. 집의 전반적인 컬러를 깔끔한 오프화이트 컬러 도장으로 선택한 이유다. 현관부터 거실 사이에 난 화장실 문은 벽과의 단차를 최소화해 깔끔한 느낌의 복도를 완성했다.
깔끔한 느낌이 돋보이는 스펙트럼 책장.
 
안방과 드레스룸 사이에는 간살문을 달아 공간을 분리했다.
“제가 정말 오래 살고 싶은 집을 만들기 위해 까다롭게 선택했어요. 수전도 코쿤 Cocoon 제품을 꼭 사용하고 싶어서 고집했고, 화장실 세면대 쪽에 사용한 대리석도 직접 보러 이천을 왔다 갔다 했을 정도니까요. 국내에서 더 이상 수급이 안 되는 패턴을 고르는 바람에 고생을 많이 했죠. 그래서 그만큼 만족스러운 집이 완성된 것 같아요.”
벽처럼 보이는 주방 스탠드장 뒤에는 보조 주방과 홈바가 숨겨 있다.
 
복도에서 바라본 거실 모습. 히든 도어로 통일감과 깔끔함을 더했다.
주말이 되면 반려견 ‘호두’와 함께 한강을 산책하고, 친구들을 집으로 초대해 맛있는 음식과 함께 술 한잔을 기울이는 안온한 일상이 이곳에서 오래도록 지속될 것이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박상국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