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RY IN TIME

ARTISTRY IN TIME

ARTISTRY IN TIME

뉴욕 트라이베카의 역사적 건축물을 단 6주 만에 리노베이션했다. 과거의 흔적과 현대적 미학이 어우러진 아티스틱한 펜트하우스다.

르네상스 리바이벌 시대의 고전미가 남아 있는 거실과 다이닝룸. 두 공간을 나누는 소파는 제작한 것. 커피 테이블은 리즈 홉킨스, 바닥에 놓인 오른쪽 작품은 로이 옥슬레이드, 다이닝룸 벽면의 작품은 로즈 와일리의 <닷&디테일 Dot&Detail>.

멕시코에서 태어나 뉴욕에 살고 있는 아티스트 클라우디아 도링 바에즈 Claudia Doring Baez는 프리즈 뉴욕 참여를 축하하기 위해 파티를 열기 로 했다. 그리고 행사 오픈하기 6주 전, 남편 알렉스와 함께 사는 집을 새롭게 바꾸기로 결심했다. 2001년 이사해 20년 넘게 살고 있는 그녀의 집은 1890년 지어진 뉴욕의 대표적인 역사적 건축물 ‘아메리카 스레드 빌딩 America Thread Building’의 펜트하우스다. 당시 뉴욕은 영국 신사 클럽에서 영감을 받은 우아한 업타운 사교 클럽을 한창 짓던 시기다. 클라우디아 집 역시 빌딩의 클럽 룸으로 지어서 과거의 웅장한 느낌을 간직하고 있었다. 역사적인 공간을 보존하면서도 새로운 현대적 미학을 불어넣어줄 디자이너가 필요했다. 더욱이 이 프로젝트를 완료하기까지 단 6주 만이 남아 있었다. 도전적인 과제에 부응해준 이는 그녀의 친구이자 건축가 크리나 아기레스쿠 로가드 Crina Arghirescu Rogard다. 크리나는 루마니아에서 태어나 이탈리아 밀라노 폴리테크니코 Politecnico di Milano 건축학부에서 공부한 후, 파리에서 일하다가 뉴욕에 정착했다. 국제적인 배경을 공유하는 두 사람은 앤티크 마켓과 디자인 페어를 함께 다니며 예술적 다양성에 대한 열정을 나누는 사이다. 짧은 시간에 클라우디아의 의도와 취향을 이해해 인테리어에 적용해줄 완벽한 파트너다.

아티스틱한 작가들의 커스텀 가구와 조명이 가득한 거실. 노란색 커피 테이블은 리즈 홉킨스. 둥근 좌석이 유머러스한 암체어는 타라스 젤티셰브 Taras Zheltyshev의 ‘림포 Lympho’. 플로어 조명 ‘아프로디테 Aphrodite’는 패트릭 나가 Patrick E. Naggar가 디자인했다.

거실과 다이닝룸으로 이어지는 복도에도 소장한 작품들을 걸었다.

화려한 패턴의 대리석과 스테인리스 스틸 조화가 멋스러운 주방. 벽면에는 클라우디아가 그린 말 그림을 걸었다.

“아메리카 스레드 빌딩에 들어가는 것은 마치 역사를 거니는 것과 같습니다. 제가 애정하는, 그래서 꼭 보존하고자 한 디테일이 많아요. 특히 입구 홀에 있는 기존의 모자이크 바닥과 아파트에 빛을 선사하는 스테인드글라스 천장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흔적들입니다.” 이 집에 대한 첫인상을 묻자 크리나가 말했다. 그녀는 집의 역사적인 요소들을 배경으로 현대적 조각을 도입하며 대비와 긴장감을 불어넣고자 했다. 구조적인 리노베이션은 진행하지 않았다. 다만, 아파트 내 기능적인 동선을 재구성하고, 가족 모임과 부부가 즐기는 파티를 위해 중요한 공간인 거실에 집중했다. 르네상스 리바이벌 시대의 기둥과 몰딩, 짙은 호두나무 패널과 벽난로 등 과거의 요소만으로도 즐거운 곳이다. 이것들이 돋보일 수 있도록 소파, 커피 테이블, 안락의자 등 모든 가구를 맞춤형 디자인으로 교체했다. 거실 중앙에 위치한 좁은 기둥에는 미스터 리즈 홉킨스 Mr. Liz Hopkins의 바게트 조명을 걸었다.

동생 아돌포 도링의 사진들을 벽면 가득 걸어놓은 복도를 지나면 무성한 식물과 아트워크가 가득한 욕실에 도착한다.

르네상스 리바이벌 시대의 스테인드글라스와 고전적 디테일이 살아 있는 아메리카 스레드 빌딩. 창 아래에는 어머니 루세로 곤잘레스의 그림을 걸었다.

클라우디아가 자신의 어머니를 그린 작품 <어머니 My Mother>.

집 안 곳곳에 전시된 방대한 예술품과 오브제 컬렉션도 중요했다. 로즈 와일리 Rose Wylie, 로이 옥슬레이드 Roy Oxlade, 파블로 피카소 Pablo Picasso, 로버트 마더웰 Robert Motherwell 등의 작품이 일상 오브제와 어우러져 있다. 또한 클라우디아의 작품과 함께 화가인 어머니 루세로 곤잘레스 Lucero Gonzales, 영화감독인 남동생 아돌포 도링 Adolfo Doring, 딸 알렉산드라 젤만 Alexandra Zelman의 그림, 사진, 조각품이 가득했다. “아파트의 모든 요소는 저마다 특별한 이야기를 숨기고 있지만, 저는 언제나 복도 문 뒤에서 힐끔 쳐다보는 초상화에 끌렸습니다.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한참 시간이 지나서야 그림의 제목을 알게 되었어요. 자신과 마찬가지로 화가인 어머니를 그린 클라우디아의 작품이었죠. 이처럼 집은 풍부한 예술적 유산을 담고 있습니다.” 크리나는 이러한 예술적 작품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을 구상해나갔다. 거실에 걸어둔 로즈 와일리의 대형 딥디크(두 패널로 구성된 작품)가 핵심이다. 자유롭고 대담한 형태와 색상 팔레트를 바탕으로 현대적인 아티스트들과 오직 이 집을 위한 작품을 구성했다. 작품 앞에 놓인 테이블은 리즈 홉킨스가 맞춤 제작한 테이블로 작품과 어우러지도록 청회색을 사용했고, 함께 놓인 의자는 아티스트 리즈 콜린스 Liz Collins가 제작했다. 역시나 푸른 빛의 패브릭을 사용했는데, 두 개의 의자를 솔처럼 묶은 것이 특징이다. 로즈 와일리의 작품과 예술적 대화를 통해 완성된 작품의 의미를 담아 ‘대화 Conversation’라는 이름을 붙였다. 6주라는 짧은 기간에 진행된 리노베이션은 대화의 장을 만드는 작업이었다. 다양한 시기의 작품이 한데 모여 서로 예상치 못한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다. 이처럼 시적이고 신선한 대화가 만들어낸 장면들이야말로 진정한 역사적인 멋 아닐까.

클라우디아와 그녀의 어머니 작품으로 가득한 침실. 작품이 돋보이도록 침대는 짙은 녹색 벨벳으로 맞춤 제작했다.

침실 문 뒤에 마련한 작은 데스크. 헬레네 드 세인트 라거 Helene de Saint Lager가 디자인한 ‘맨해튼 Manhattan’. 벽면에는 로이 옥슬레이드의 그림을 걸었다.

CREDIT

에디터

Photographer

크리스 모탈리니 Chris Mottalini

TAGS
ART OF LIVING

ART OF LIVING

ART OF LIVING

미술계에서 40년 넘게 활동하며 우리 고유의 색을 담은 단색화와 전통 민공예품을 널리 알리는 데 힘쓰고 있는 박여숙 대표. 예술에 대한 그녀의 애정 어린 삶을 엿볼 수 있는 아주 사적인 집을 방문했다.

예사롭지 않은 모습의 거실 풍경. 벽면을 빼곡히 채운 각종 예술 서적만 봐도 예술을 향한 박 대표의 열정을 짐작할 수 있다. 여행하며 사 모은 빈티지 가구와 우리나라 공예품의 조화가 멋스럽다.

한국 미술계를 이끌고 있는 박여숙 대표. 서재에 걸린 정광영 작가의 대형 작품이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오래된 빌라의 문을 열고 들어서자 탄성이 절로 나왔다. 세월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작품들이 집 안을 빼곡히 채우고 있기 때문이다. 마치 그간의 삶에서 발견한 귀중한 물건들을 고이 모셔둔 박물관에 들어선 기분이었다. 무심하게 툭툭 놓여 있는 거장들의 작품과 우리나라 공예품들이 일열 맞춰 전시되어 있는 모습에 경외심마저 드는 이곳은 1983년부터 화랑을 운영해온 박여숙 대표의 집이 다. 집 안을 찬찬히 둘러보고 식탁에 마주 앉은 순간, 그녀의 어린 시절 이야기부터 궁금해졌다. “지금 제 예술적 감성은 아버지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어요. 미국 선박 회사의 한국 지사장이었던 아버지는 아름다움을 굉장히 중요하게 여기셨어요. 옷도 잘 차려 입으시고, 멋쟁이셨죠. 당시에는 보기 힘든 독특한 스타일을 가진 분이셨어요.” 박 대표가 어린 시절을 떠올리며 이야기했다. 이러한 가정 환경은 자연스럽게 그의 진로에도 영향을 끼쳐 미술대학에 진학하게 되었다. 대학 시절, 이경성 미술관장의 조수로 일하게 되면서 예술계에 첫발을 들였다.

입을 크게 벌리고 활짝 웃는 모습을 형상화한 도자 작품은 중국의 미술가 웨민쥔의 것.

핀란드에서 사온 빈티지 의자와 이헌정 도예가의 스툴, 그 뒤에 걸린 단색화는 정상화 작가의 작품.

그림을 걸기 위해 여러 개의 벽을 만들었다. 가장 안쪽에 자리한 대형 작품은 김창열 작가의 것.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소반들.

이후 건축 잡지 <공간>의 취재 기자로 일하며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예술가들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공간>이라는 잡지가 수익성이 거의 없는 잡지다 보니 완전 박봉이 었어요.(웃음) 그래도 예술에 대한 열정으로 이를 감내하며 많은 것을 배웠어요. 당시 예술인들과 깊은 교류를 나누며 예술 전반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쌓을 수 있었죠.” 박 대표가 말했다. 본격적으로 우리나라 민예와 공예품에 관심을 갖게 된 것 역시 그때부터였다. “20대 초반부터 아현동과 인사동을 누비며 골동품들을 수집했어요. 초등학교 6학년 때 경주에서 신라 와당을 500원 주고 산 것이 제 첫 번째 컬렉션이에요. 대학을 졸업한 후 에도 매일같이 민예품을 탐구하는 나날을 보냈어요.” 이러한 경험은 후에 화랑을 운영하는 데 큰 자산이 되었고, 박여숙화랑에서는 우리나라 단색화 거장들의 작품을 비롯한 현대 예술품과 공예품들을 조화롭게 선보이고 있다.

다이닝 안쪽에 마련한 작은 공간은 손님을 초대했을 때 시간을 보내는 곳이다.

도예가 권대섭의 달항아리와 조선백자를 도자 흙판 위에 현대적인 감각으로 담아낸 이승희 작가의 평면도자회화 작품. 그 아래 걸린 작품은 하종현(왼쪽)과 윤형근(오른쪽).

화랑은 작가가 작업에 열중할 환경을 만들어주고 세상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기 위해 존재하는 곳이라면, 사적 공간인 집은 그야말로 박 대표가 살아온 시간과 기록이 차곡차곡 쌓여 있는 공간이었다. “여기 이사 온 지는 10년 정도 됐다고 칩시다.” 가물가물한 기억을 더듬으며 말했다. 이 커다란 집(231㎡)에는 그녀가 수집해온 민공예품과 작품이 가득했다. “집이 막 번쩍하게 화려한 걸 좋아하지는 않거든요. 단순하고 소박하게 꾸미면서도 작품을 즐길 수 있을 정도로만 일부 공사해서 살고 있어요.” 무엇 하나 예사롭지 않은 것이 없는 가구와 소품들은 모두 여행을 다니며 하나씩 사 모은 것이다. 호주, 핀란드, 이탈리아 등지에서 수집한 빈티지 가구와 아프리카 모티브의 소품들이 신기하게도 한국적 요소와 이질감 없이 잘 어우러진다. “예술을 가까이 두고 생활에서 즐기는 걸 좋아해요. 손님들을 집으로 초대해 함께 감상하는 게 제 일상이에요. 작은 방에 꾸민 차실은 제 놀이터와도 같은 공간이에요. 디스플레이도 바꿔 보고 차도 마시면서 시간을 보내요.” 박 대표의 집은 ‘예술은 가까이 두고 생활 속에서 즐기는 것’이라는 그녀의 철학을 오롯이 반영하고 있었다. 전통 공예품을 현대 생활 속에서도 이어가고자 하는 박 대표의 갈망은 결코 수집 개념에서 끝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백동 공예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며 입을 열었다. “화랑 2층에서 ‘수수덤덤’이라는 이름의 공예 공간을 소극적으로나마 사용하고 있어요.

설치미술가 최정화의 스탠드 조명 작품. 수십년간 수집해온 우리나라 민예품과 도자기 등을 빈틈 없이 진열해둔 다이닝.

신라시대에 만든 조형물이 놓여 있는 욕실.

아메리칸 포크 아트 미술관에서 구입한 초록색 빈티지 장. 김창열 화가의 작품이 무심하게 찬장 위에 놓여 있다.

제 주업은 화상이라 현대 미술을 다루고 있지만 실생활에서 정말 아름다움을 추구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최근에는 한국적인 공예품을 만들어보자는 생각으로 조선의 미감을 그대로 이어가는 백동 공예를 장인과 함께 제작하고 있어요. 앞으로 화랑에서 전시할 계획이고요. 한국의 민예품은 ‘정교하다’의 수준이 아니에요. 어수룩하게 만들어지지만 단순하면서도 깊이가 있고, 또 혼자서만 두드러지게 주장하지 않거든요. 일본 미술평론가 야나기 무네요시가 말했듯이 한국 사람들의 솜씨는 인간의 힘으로 한 것 같지 않아요. 그가 “신의 손이 약해져서 이토록 아름다운 걸 만들지 않았느냐”는 극찬을 했는데, 그 말에 완전 동의해요.” 박 대표는 소박하고 실증이 나지 않으며 그저 덤덤한 미학을 느낄 수 있는 우리 예술에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예술을 생활 속에서 실천하며 한국 미술의 아름다움을 세계에 알리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는 박여숙 대표가 앞으로 화랑을 통해 보여줄 세계가 기대된다.

아프리칸 스타일의 침실.

이경노 장인과 협업해 제작한 백동 공예품. 앞으로 박여숙화랑을 통해 전시할 계획이다.

CREDIT

에디터

TAGS
SUMMER IN FREEDOM

SUMMER IN FREEDOM

SUMMER IN FREEDOM

일렁이는 바다를 바라보며 바람, 대지, 빛 즐기기. 부드러움과 무감각 상태에서, 넓게 펼쳐진 공간과 자유 속에서, 시간을 초월해 자연과 하나가 된다. 마요르카에서는 삶의 즐거움이 실현된다. 푸르도록 진하게!

인디고 홀릭. 테이블을 덮은 포르투갈 순모 만타 ‘만타 그라피코 Manta Grafico’는 라 메종 드 코메르스 La Maison de Commerce. 640유로. (그 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블로잉 기법으로 만든 꽃병 ‘마달레나 Madalena’는 마고 켈러 컬렉션스 Margaux Keller Collections. 22×25cm, 180유로. 세라믹 잔은 베아트리즈 가리고 Beatriz Garrigo, 메종 드 코메르스에서 판매. 18×12cm, 240유로. 블로잉 기법으로 만든 유리잔 ‘파라솔 Parasol’은 마고 켈러 컬렉션스. 4개 세트에 112유로. 블로잉 기법으로 만든 유리잔 ‘문 Moon’은 CFOC. 가격 미정. 기포 있는 유리로 만든 핸드메이드 유리잔 ‘르 드 로세앙 Verre de L’ocean’은 라 로맨 에디시옹 La Romaine Editions. 35유로. 세라믹 카라페 ‘베셀 데 시클라드 Vaisselle des Cyclades’는 라 메종 드 코메르스. 지름 21cm, 157유로.

새로운 분위기. 면 소재의 비치타월 ‘알토 Alto’는 마포에지 Mapoesie. 봉 마르셰 리브 고슈 Bon Marche Rive Gauche에서 판매. 140×200cm, 89유로.

물방울.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기포 있는 유리로 만든 핸드메이드 꽃병 ‘르 바즈 투 드루와 Le vase tout droit’는 라 로맨 에디시옹. 22.5×10.5cm, 195유로. 블로잉 기법으로 만든 붕규산 유리와 유리판으로 만든 꽃병 ‘벨-담 Belle-Dame’은 마고 켈러 컬렉션스. 가로 31×폭 23×높이 30cm, 530유로.

신선함의 물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포르투갈의 핸드메이드 테라코타 굽 잔은 마리아 라 트레조르리 Maria La Tresorerie를 위해 샘 바롱 Sam Baron 제작. 20×34cm, 105유로. 세 가지 크기의 세라믹 바구니는 라 메종 드 코메르스. 130유로부터.

생생한 그림. 당나귀가 메리노 울과 캐시미어로 짠 담요 ‘오브제 뒤 포부르 Objets du Faubourg’를 덮고 있다. 지안파올로 파그니 Gianpaolo Pagni 제작으로 에르메스 Hermes. 140×180cm, 1560유로.

태양 에너지. 치우타델라 Ciutadella 거리에 있는 묵직한 밤나무 타부레 ‘스카벨 Skabell’은 케르 Ker. 지름 30.5×25cm, 360유로. 버드나무와 실크 능직물로 짠 바구니, 라 프레스틱 위스통 La Prestic Ouiston은 봉 마르셰 리브 고슈에서 판매. 125유로. 면, 재활용 폴리에스터, 리넨 소재의 샌들 ‘트레키 Trekky’는 아리조나 러브 Arizono Love 핸드메이드로 봉 마르셰 리브 고슈에서 판매. 175유로.

보물 사냥. 얇은 유리 조각으로 만든 벽걸이 거울 ‘네뷜뢰 Nebuleux’는 체&체 Tse&Tse. 67×42cm, 320유로.

향긋한 바람. 주름진 워시드 리넨 담요 ‘바이스-버사 Vice-versa’는 메종 드 바캉스 Maison de Vacances 제품으로 메종 제네랄 Maison Generale에서 판매. 140×250cm, 230유로.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