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of Nuances

Full of Nuances

Full of Nuances

마고와 라파엘이 여행을 멈추자 새로운 삶이 시작됐다. 그들은 벵센느 숲의 집에서 자연을 느끼며 새로운 삶을 즐긴다. 건축가 베로니크 코트레는 이 집을 하나의 세계로 만들었다.

각각의 컬러 코드를 지닌 공간은 시선을 때로는 빛으로, 때로는 정원으로 이끈다.

시선을 끄는 거실. 거실이 정원 쪽으로 공간을 연장해 새롭게 만든 온실로 넓게 열려 있다. 카나페는 보날도 Bonaldo. 레오파드 쿠션은 메종 페샤비 Maison Pechavy, 체크무늬 쿠션은 엘리티스 Elitis. 암체어와 낮은 테이블은 포라다 Porada. 둥근 테이블은 데 카스텔리 De Castelli. 태피스트리는 CC-타피스 CC-tapis. 테이블 조명 ‘아톨로 Atollo’는 올루체 Oluce. 플로어 램프는 트리조21 Trizo21. 책장은 맞춤 제작.

층계참에 칠한 ‘베르 안티크 Vert Antique’가 어두워서 서재의 밝은 톤 ‘셀라동 Celadon’에 시선이 더 이끌린다. 두 공간에 칠한 페인트는 아르질 Argile. 벽을 파서 만든 선반에 놓은 테이블 조명은 부샤라 Bouchara. 앞에 보이는 조명 ‘펠로 Fellow’는 스페이스 코펜하겐 Space Copenhagen 디자인, 프레데리시아 Frediricia.

베로니크 코트레는 컬러를 대비시킨다. 벽 아래는 밝은 톤으로, 위는 어두운 톤으로. 그러면 아래 부분이 천창으로 올라가는 리본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벽지 ‘스트라이프스 Stripes’는 레벨 월스 Rebel Walls.

마침내 정착했다. 마고와 라파엘은 일 때문에 여행을 많이 다녔 다. 그들이 파리에 있을 때 머문 집(40㎡)은 이런 삶의 리듬에 맞춰져 있었다. 그런데 지금 그들은 벵센느 Vincennes 숲 가 까이 조용한 곳에 자리한 집에서 좋아하는 도자기와 음악에 몰두하고 있다. 그리고 가족의 미래에 대해 차분히 생각해본다. “오래된 모자이크 타일, 낡은 몰딩과 바닥, 버려진 정원. 이 이층집에서 시간이 멈춘 것 같았어요.” 부부가리노베이션을부탁한실내건축가베로니크코트레가말했다. 리노베이션은 제로부터 시작해야 했다. 도면을 새로 손보고 확장한 공간을 온실로 바꿔 폭을 넓혔는데, 그 덕분에 이 공간에주방과 다이닝룸을 만들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외벽에 있던 넓은 창을 통해 다른 방으로 연결할 수 있었다. 사용하지 않던 지하까지 연결했는데, 이 공간은 마고의 도자기 아틀리에와 라파엘의 작업 공간으로 사용할 것이다. “컬러를 사용하는 걸 정말 좋아해요. 컬러가 공간감을 강화하고 그림을 만들고 시선을 이끌도록 말이죠.” 벽이 어두운 색이어서 계단 벽 아래 부분에는 밝은 톤을 사용했는데, 이 부분이 리본처럼 시선을 천창으로 이끌어준다. 주방의 검은색이 시선을 아래 정원의 녹색으로 이끌 뿐만 아니라, 태양이 온실을 환하게물들일때고요한분위기를만들어준다. 이때 이 집은 그 자체로 자신만의 코드를 지닌 하나의 세계가 된다. 라파엘과 마고는 여러 개의 수납장을 갖춘 ‘부트룸 Bootroom’ 현관을 만들자는 베로니크의 생각을 좋아했는데, 이공간이실내와실외의전환을가능하게하기때문이다. 부부는 부트룸에서 일을 잊어버리고 집에서 남은 하루를 고요히 보낸다. 일종의 ‘감압실’인셈이다.

아래에 있는 정원이 ‘셀라동’(아르질) 톤을 입은 다이닝룸에 반사되는 것 같다. 테이블은 프렌즈&파운더스
Friends&Founders. 꽃병은 부샤라. 카라페는 모노프리 Monoprix. 유리잔은 셰오마 Chehoma. 의자는 보날도.
벤치는 구비 Gubi. 쿠션은 마두라 Madura. 테이블 조명 ‘아톨로’는 올루체. 벽등은 마르셋 Marset. 식기대는 맞춤 제작.

주방과 다이닝룸이 붙어 있다. 테이블은 보피 Boffi. 의자는 보날도. 벽등은 마르셋.

집 아래쪽에 있는 야외 다이닝룸. 테이블 ‘토르사 Torsa’와 의자 ‘라독 Radoc’은 마누티 Manutti. 랜턴은 CFOC.
카라페는 자라 홈 Zara Home.

‘부트룸’의 맞춤 제작한 벤치 아래에 신발 서랍을 만들어서 완벽히 숨길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둥근 테이블 ‘니콜라 Nicola’는 데 카스텔리. 세라믹 피처는 AMPM. 벽등 ‘바딤 Vadim’은 사라 라부안 Sarah Lavoine. 벽에 칠한 페인트 ‘아르두아즈 베르트 Ardoise Verte’는 아르질.

뮤직룸에는 스타인웨이&선스 Steinway&Sons의 피아노가 중앙을 차지한다. 암체어 ‘임스 Eames’는 비트라. 벽난로 위의 조명 ‘셰이드 Shade’는 HK리빙 HKliving. 태피스트리는 CC-타피스. 펜던트 조명 ‘가이아 Gaia’는 오커 Ochre.

빛으로 이끄는 계단. 둥근 테이블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조명 ‘셰이드’는 HK리빙. 뒤에 보이는 유리볼로 구성된 펜던트 조명은 보치 Bocci. 앞에 보이는 검은색과 금색 펜던트 조명은 카텔라니&스미스 Catellani&Smith.

“맞춤 제작한 침대 헤드보드 디자인에 맞춰서 몰딩을 다시 만들었어요.” 담요는 브룅 드 비앙-티랑 Brun de Vina-Tiran. 침대 끝 벤치와 사이드 테이블은 포라다. 스위치는 멜작 Meljac. 조명 ‘펠로’는 스페이스 코펜하겐, 프레데리시아. 벽등은 아누르 Anour. 태피스트리는 CC-타피스.

 

CREDIT

에디터

TAGS
시대를 초월한 와비사비 철학

시대를 초월한 와비사비 철학

시대를 초월한 와비사비 철학

와비사비는 미완성의 아름다움을 뜻하는 일본어로, 프랑스 인테리어 디자이너 엠마뉴엘 시몽을 설명할 때 자주 쓰이는 단어다. 날것의 미학을 부드럽고 감각적으로 표현하며, 쌓아온 능력을 마음껏 발휘한 그녀의 새로운 파리지엔 아파트를 만나보자.

오픈 키친과 다이닝 공간. 테이블은 엠마뉴엘 시몽의 티가, 의자는 샬를로트 페리앙의 메리벨 Méribel.

거실에는 노마드 소파와 오르마 ORMA 커피테이블을 매치했고, 천장에는 자신이 디자인한 조명 노아 NOA를 달았다.

디자이너 엠마뉴엘 시몽.

2017년 ‘디자인 파라드 툴롱 Design Parade Toulon’ 공모전에서 수상하면서 이름을 알리게 된 엠마뉴엘 시몽은 당시 자연에서 온 소재를 사용한 새로운 미학적 접근 방식으로 심사위원들의 시선을 끌었다. 그 후로 다음해에 에비덩 드 보테 Evidens de Beauté 스파 매장, 리베르테 Liberté 제과점 등 상업 프로젝트를 연달아 진행하며 ‘와비사비’ 철학을 기반으로 한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발전시켜오게 된다. 올해 공사를 마치고 이사한 파리2구의 아파트는 이런 철학의 집결지다. 그동안 쌓아온 모든 감각과 기술력이 반영되어 완벽하게 디자이너의 철학을 말해주기 때문이다. 특히 분명한 오스마니안 건물인데 이를 상징하는 어떠한 몰딩도 그 흔한 벽난로도 찾을 수 없다는 게 신기하다. “원래 있었던 몰딩이 복원이 어려울 정도로 손상된 상태라 뜯어내고 새롭게 보수를 해야 한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어요. 이 시대에 지어진 건물 특유의 높은 천장고를 원했지만 장식적인 몰딩을 유지하기는 싫었거든요. 천장의 높이, 창문 사이즈, 채광은 제가 컨트롤할 수 없기에 이 세 가지 요소만 부합한다면 과거의 것을 완전히 새롭게 바꾸기보다 재창조하는 컨셉트로 공간을 다시 꾸미고 싶었어요.” 현관에 들어오자마자 긴 터널을 마주하는 구조는 매우 신선하다. 어두운 터널의 시작에는 (아마 이 집에서 가장 화려한 패턴을 가진) 현관 바닥이 방문객을 맞이하는데, 비슷한 톤과 컬러가 지배하는 이 집에 장인이 수작업으로 제작한 천연 스톤의 모자이크가 햇살처럼 반짝인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공간은 재미있게도 거실도 침실도 아닌 이 현관이에요. 모자이크 작업에 공을 많이 들였거든요.

이사무 노구치 조명과 바바 BABA 의자가 놓인 서재 및 휴식 공간.

현관에서 거실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터널을 지나야 한다. 기하학적 형태의 스탠딩 조명은 CONE X.

주방에 놓인 네 개의 스툴은 바바.

노마드 소파의 일부분과 오이오 OYO 벽 조명, 그림은 토마 글레브 Thomas Gleb 작품.

노란색 대리석을 손으로 잘라 표현한 패턴은 반대편 거실에 도착해서 느낄 수 있는 햇살을 기대하게 해요.” 엠마뉴엘의 말처럼 방으로 연결되는 문이 있는 터널을 지나면 환한 햇살이 가득한 넓은 거실과 오픈형 주방이 펼쳐진다. 아파트 전체 면적(120㎡)에 거실을 60㎡로 분배할 만큼 주방과 거실은 이 집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이다. 엠마뉴엘 시몽 가구 컬렉션으로 대부분 채워진 공간은 마주보도록 배치한 두 개의 대형 소파 ‘노마드 Nomad’를 중심으로 열 명 정도 둘러앉아 식사할 수 있는 다이닝 테이블 ‘티가 Tiga’, 세라믹으로 제작된 캐비닛 바 ‘라쿠- 야키 Raku-Yaki’가 존재감을 발휘한다. 차분하고 섬세한 컬러팔레트는 전체적으로 우아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가운데 깊이감 또한 느낄 수 있다. 이는 자연의 재료가 가진 독자적인 질감 덕분이다. “가구를 제작하거나 인테리어에 사용된 자재들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수작업으로 완성된 손맛이 느껴지는 마감이에요. 기계로 생산된 것에서는 느낄 수 없는 살아 있는 질감은 똑같은 매끈함이라고 하더라도 분명히 다르거든요.” 그런 이유로 몇 가지 안 되는 컬러가 집 안 전체를 덮고 있는 듯하지만 자세히 디테일을 살펴보면 하나하나 다른 크랙을 가진 타일, 조각을 하듯 마무리된 비정형의 테이블 모서리, 벽마다 사용된 다른 질감의 페인트 등 숨은그림찾기처럼 조금씩 다름을 발견하게 된다. 색감의 조화를 완벽히 이루기 위해 주방의 경우 모든 전자제품을 숨기는 것이 중요했다. 캐비닛을 제작해 그 안으로 배치하고 아일랜드 상판과 마주보는 싱크대의 벽은 둥근 원형의 장식장을 제작해 공간과 어울리는 세라믹 접시와 책, 조각 작품을 배치했다. 숨기는 것의 미학 또한 공간의 아름다움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다.

거실의 조나단 JONATHAN 책장 옆 흰색 실린더 형태의 가구는 세라믹으로 제작된 홈 바 캐비닛인 라쿠-야키.

베드 헤드는 오르마, 목재 의자는 토이 브레인 Tony Brain 작품이다.

직접 고른 스톤으로 거친 미감을 살려 마감한 욕실에는 반원 형태의 라쿠-야키 벽 조명을 달았다.

주로 자연에서 영감을 받는 엠마뉴엘 시몽의 디자인은 곡선이 주를 이룬다. 도넛 모양의 하이 체어 바바 Baba, 젤리피시 Jellyfish 램프 등 위트가 느껴지는 디자인부터 오르마 Orma 테이블처럼 비정형의 자유로운 곡선 작업까지 다양하다. 침실에서 만날 수 있는 물결 형태의 침대 상판 또한 그녀의 트레이드마크로서 단순하고 유치할 수 있는 형태를 적절한 재료와 마감으로 우아하게 마무리하는 재주가 남다르다. 또 다른 특징을 뽑자면 촉감을 느끼기 위해 만지고 싶은 충동이 들게 한다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 디자이너 자신도 사람들이 만지고 싶어 하는 모습을 목격하면 자연과 친밀해지는 시간처럼 느껴져 매우 행복하다고 말한다. 집에서 시간을 가장 많이 보내는 곳은 당연히 거실이다. 넓은 다이닝 테이블은 친구들과 좋은 시간을 보내기에 완벽하지만 가끔 직원 회의 테이블로 쓰인다. 휴식이 필요할 때면 캐비닛 바와 푹신한 소파가 좋은 친구가 된다. 럭셔리라는 이름 아래 탄생되는 비싸고 화려한 결과물과 반대로 경험을 부르는 디자인은 압도적인 관심보다 세련된 정교함으로 삶의 균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그 중심에 있는 와비사비 철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프랑스인인 제가 표현하는 와비사비에는 당연히 두 문화가 공존한다고 생각해요. 소파의 경우 나무 프레임이 일본식으로 미니멀하게 표현되었다면, 소파에 사용된 패브릭은 프랑스 공방의 전통 기법으로 제작되니까요. 또한 제가 사용하는 둥근 형태의 디자인 또한 동양에서 찾아보기 어렵죠. 하지만 자연으로부터 얻는 편안함의 철학은 똑같이 전달되리라 믿어요. 자연이 가진 비정형의 아름다움은 인간이 컨트롤할 수 없으니까요. 완벽하지 않음이 주는 편안함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 이것이 제가 생각하는 와비사비 철학이에요.” WEB emmanuellesimon.com

CREDIT

에디터

Writer

양윤정

Photographer

다미앵 드 메데이로스 Damien De Medeiros

TAGS
ART IN HOME

ART IN HOME

ART IN HOME

예술가의 정신으로 가득 찬 잉그리드 도나의 파리 아파트.

잉그리드가 제작한 가구와 소품들로 채워진 거실.

집이란 원래 주인의 취향을 닮기 마련이지만 조각가이자 디자이너인 잉그리드 도나가 사는 집은 그녀가 창조한 하나의 예술 작품과 다르지 않다. 파리 마레지구 중심가의 건물 2층에 위치한 정원이 딸린 독특한 구조의 아파트는 문을 열고 들어가는 순간 잉그리드 특유의 우아함이 반긴다. 작품을 만들 듯이 집 안 전체를 직접 손으로 매만져 거대한 예술품처럼 느껴지는 그녀만의 작가 세계가 가장 완벽하게 존재하는 곳. 현재 장식 예술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살아 있는 예술가의 숨결이 가득한 정교한 곳에 아시아 미디어로는 최초로 <메종>을 초대했다. 자녀들과 가까이 살고 싶어 2016년 구입해 이사 왔는데 넓은 테라스와 정원이 마음에 들었다고 한다. 파리 시내에서 발견하기 쉽지 않은 정원이 딸린 아파트이기도 하지만 2층에 떠 있는 듯한 구조가 흥미로웠다. 이는 개인적으로 꿈꾸던 프랑스식과 영국식 정원의 유쾌함을 모두 갖춘 파리 저택의 분위기를 만들기에 적합했다. “건물의 입구와 올라오는 계단이 오래되고 보기 싫었지만, 천장고가 높아 가능성이 많은 내부 공간과 정원이 좋았어요. 대신 1970년대 이후로 보수를 하지 않은 집이었기에 인테리어 하는 데 3년이라는 대규모 공사 기간이 필요했죠. 벽을 트고, 창틀을 모두 바꾸고, 천장을 뜯어내는 등 일이 정말 많았어요.” 침실 천장에는 처음 건물 지을 때부터 존재했한 노출된 서까래가 있는데, 17세기에 만들어진 프레스코 스타일의 그림이 서까래에 희미하게 남아 있었다. 이 과거의 흔적을 큰 매력으로 여긴 잉그리드는 거실과 다이닝룸의 천장 또한 침실과 동일하게 가짜 서까래 장식을 설치한 후 자신이 직접 패턴을 그려넣었다.

잉그리드의 대표작 중 하나인 <클림트Klimt 캐비닛>.

직접 디자인하고 제작한 소파 위에서 포즈를 취한 잉그리드 도나.

“서까래 장식을 다른 공간에도 연장시키기로 결정하고 나니 아들이 내게 그러더군요. 기존 오리지널 프레스코가 아닌 엄마의 패턴을 그려넣으라고. 그래서 내가 직접 그림을 그려 천장을 장식했어요.” 잉그리드의 아들은 카펜터스 워크숍 갤러리의 공동 창업자 줄리앙 롬브라이 Julien Lombrail다. 천장에는 그녀의 작품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반복되는 원형의 복잡한 패턴으로 가득하다. 천장 아래에는 직접 디자인한 소파와 러그, 다이닝 테이블, 청동으로 제작된 촛대와 조각 작품 등 잉그리드 도나의 세계가 펼쳐진다. 흥미로운 것은 가구뿐만 아니라 시선이 머무는 모든 곳에 그녀의 손길이 닿았다는 점이다. 벽지, 문, 조명, 붙박이장 손잡이, 거울, 문고리, 심지어 열쇠까지 직접 디자인해 커스텀 제작했다. 이로 인해 그녀의 집에 대한 애정과 예술가 정신에 존경심이 생길 정도다. 친구이자 카펜터스 워크숍 갤러리 소속 아티스트 프레데릭 몰렌쇼 Frederik Molenschot가 공간에 맞춰 특별히 디자인해준 샹들리에와 직접 디자인한 대형 테이블이 놓인 다이닝룸은 그녀가 가장 애착을 가지는 공간이다. 일주일에 두 번 정도는 파리 외곽에 있는 갤러리의 워크숍에 가서 12명의 뛰어난 장인들과 함께 작업을 한다. 그리고 나머지 날에는 작업실과 아파트를 오가며 시간을 쪼개 스케치, 프로토타입 제작 등의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집은 휴식하는 장소인 동시에 창작을 위한 장소이며, 전체 팀이 한 자리에 모이는 만남의 장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고전적인 사무실이 아닌 따뜻한 집에 모여 일하고 어울리는 것을 선호하는 잉그리드는 이런 방식이 창작에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자신이 디자인한 다이닝 테이블 주위에 친구와 동료, 그리고 가족이 함께하는 시간이 가장 행복하다고.

프레데릭 몰렌쇼가 이 공간을 위해 특별히 제작한 샹들리에와 잉그리드 도나 디자인의 대형 테이블이 놓인 다이닝룸. 의자는 피에르 잔느레 빈티지.

아끼는 오브제, 초기 브론즈 작품, 가족사진 등이 모여 있는 작업실 책상.

잉그리드가 아티스트로 활동하게 된 계기는 조금 특별하다. 결혼 후 첫아이를 임신했을 때 정원의 흙으로 조소를 시작하게 되었다. 아이들이 성인이 될 때까지 취미생활로 작업을 이어왔고, 훌륭한 아트 컬렉터이던 남편은 아내의 재능을 한눈에 알아보고 뭔가 특별한 것이 보인다며 창작활동을 지지했다. 흙과 종이로 만들던 조각품들을 청동으로 제작하기 위해 주조소로 가져간 것도 남편이었다. 그러면서 집에서 실제 사용할 가구를 제작하는 일로 연결되고, 가끔 집에 찾아오는 갤러리 오너들은 그녀가 만든 가구와 작품들을 보며 전시를 제안했다. 그렇게 40세에 본격적으로 시작된 작가로서의 커리어는 시대를 초월한 아름다움을 간직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오늘날 피터 마리노, 톰 포드, 브래드 피트 등 유명인으로부터 러브콜을 받는 존재가 되었다. “난 전문 인테리어 디자이너가 아니에요. 하지만 인테리어에 관심이 많아요. 내가 사는 공간에 필요한 게 뭔지, 내가 원하는 게 뭔지 정확하게 알고 있었지요. 그런데 집을 꾸미면서 마음에 딱 드는 문고리나 커피 테이블 같은 소품은 찾을 수 없었어요. 그래서 직접 제작하기 시작했죠. 물론 가구를 제작하기로 마음먹은 초반에는 그게 얼마나 복잡한 일이지 몰랐어요. 수많은 장인의 손길이 필요하고 기간도 장인에 따라 최소 몇 개월씩 걸리니 난감했죠. 그래서 청동에 더 애정을 갖게 된 것 같아요. 한 가지 재료로 한 번에 제작이 가능하니까요. 하지만 청동이라는 재료 특유의 차가움에 반감이 있었기에 이를 중화시키고자 최초의 문명 시대에 사용했을 법한 패턴을 개발해 질감을 추가했어요.” 차가운 청동이라는 재료를 아르데코 스타일의 회화적 접근으로 다루는, 정교함의 끝을 보여주는 작업에 대한 영감은 아버지가 사는 레위니옹섬에서 시작되었다.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문화가 융합된 레위니옹섬의 풍부한 역사는 그녀의 창작 과정에 깊이 스며들어 있다. 그곳의 자연이 가진 생생한 컬러와 매혹적인 질감이 창작 과정의 시발점이며 에스닉한 패턴으로 발전한 것이다. 그리고 이런 패턴들은 천장과 벽, 가구뿐 아니라 커튼과 쿠션에서도 발견된다. 하지만 혼잡하다거나 과하다는 느낌은 없다. 트렌드에 얽매이지 않는 잉그리드 도나의 스타일은 시간을 넘나드는 타임리스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WEB ingriddonat.com

침대 옆 사이드 테이블은 <여인상으로 된 기둥의 작은 테이블 Petit Table aux Caryatides GM>, 중앙에 걸린 그림은 아르데코의 상징적인 화가 타마라 드 렘피카 Tamara de Lempicka 작품.

침실 한쪽에는 초기 작업인 <14개 서랍장 Commode 14 Tiroirs>과 아프리카 조각품을 볼 수 있다.

17세기 프레스코가 남아 있는 침실 천장의 모습.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정현

Writer

양윤정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