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 그 집처럼

영화 속 그 집처럼

영화 속 그 집처럼
예술 작품으로 힘을 준 영화가 있다. 영화 속 배경으로 자리 잡은 예술 작품을 보며 안목을 키우고 데커레이션 팁도 얻을 수 있는 즐거운 기회를 소개한다.

↑ <베스트 오퍼>에 나오는 예술 작품이 가득한 주인공의 방. 

영화 <베스트 오퍼>에 등장하는 그림이 가득 걸린 방은 남자 주인공의 꿈의 방이다. 주인공 경매사가 오랜 세월 동안 모은 수 백여 점의 여성 초상화가 벽과 높은 천장 위에 가득 붙어 있다. 주인공과 사랑에 빠진 여인의 아름다운 대저택도 등장하는데 천장과 벽면은 부드럽게 연결되어 바로크 스타일의 벽화로 장식되어 있고 고전주의 양식의 화려한 조각, 그림, 가구가 즐비하다. 알고 보면 갤러리라는 말도 복도에 그림을 걸어놓은 귀족들의 건축양식으로부터 유래한 것이 아니던가. 이런 집이 상상이나 영화 속 장면이 아니라 현실이라면 어떨까? 다큐멘터리 영화 <이브 생 로랑의 라무르>에 등장하는 집이 바로 그렇다. 고야, 마티스, 레제의 작품이 즐비한 이브 생 로랑의 집은 마치 옛 왕궁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소장품들로 컬렉터의 가슴을 설레게 한다. 미술관에서 조심조심 봐야 할 작품들을 직접 가까이에 걸고 감상하며 살았다니! 예술과 함께했을 그의 삶이 부럽기만 하다. 영화 속에는 그가 영감을 얻고자 들렀다는 여러 별장이 등장하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마라케시에 있는 마조렐 별장이 압권이다. 패션은 물론이고 아트와 인테리어에 관심 있는 이라면 꼭 봐야 할 영화로 강력 추천한다.
우리에게 좀 더 현실적인 인테리어 팁을 줄 수 있는 영화는 바로 한국 영화 <돈의 맛>. 상위 0.01%의 삶을 리얼하게 표현하게 위해 예술품에도 공을 들였다는 임상수 감독의 말대로 영화에 등장하는 그림은 구색으로 갖다놓은 저렴한 그림이 아니라 실제로 고가에 거래되고 있는 홍승혜, 홍경택, 노재운 등 유명 작가들의 작품이다. 특히 윤여정이 주로 머무는 공간에는 프랑스 작가 아르망의 악기 조각과 책의 글자로 치환한 진주알을 한 알 한 알 붙여가며 만든 고산금의 ‘무진기행’이 설치되었다. 집집마다 별도의 갤러리 공간을 가지기는 어렵겠지만 어떻게 그림을 걸어야 하는지 알려주는 다양한 팁과 실제로 집에 작품을 걸어놓았을 때 조명에 따라 달라지는 느낌도 잘 보여줬다. 이 집을 미술품 없이 고급스러운 인테리어로만 치장했다면 대한민국 최상위 부자라는 설정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았을 것이다.  

 

↑ 작가 고산금이 진주알로 작업한 ‘무진기행’ 시리즈.   

   

1 <이브 생 로랑의 라무르>에서 레제의 작품을 경매장으로 옮기는 장면. 2 이브 생 로랑의 실제 집. 


위의 영화에 등장하는 화려한 미술품을 다시 생각해보자. 그림이 좋아 컬렉션과 아트 인테리어를 시작하게 되었지만 결국엔 그림이 걸려 있는 공간이 주인공의 고급스러운 품격과 취향을 드러낸다는 얘기다. 최근 들어 레스토랑이나 카페, 호텔 등에서 미술품 전시를 겸한 갤러리형 카페와 호텔이 늘어나는 이유도 바로 그 때문이 아닐까. 특히 고급 레스토랑일수록 화장실이나 구석진 복도에 그림을 걸어 자칫 묻혀버릴 뻔했던 공간을 살린 사례를 볼 수 있다. 어느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서 레지던시 사무실을 운영하는 여성 사업가의 이야기가 소개되었는데 모든 공간의 인테리어를 반드시 예술품으로 마무리한다고 밝힌 것이 인상적이었다. 예술품을 통해 고급스러워 보이는 장식 효과는 물론 세계 각지에서 모인 사람들에게 문화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닮고 싶은 영화 속 주인공이 있었다면, 이젠 그의 스타일이 아니라 공간 연출을 따라 해보자. 마치 영화 속 주인공이 된 것 같은 행복한 기분을 느끼면서 말이다.


CREDIT
에디터

글 김영애(이안아트컨설팅 대표)

TAGS
실로 초록이어라

실로 초록이어라

실로 초록이어라
한 땀 한 땀 정성껏 나뭇잎을 수놓은 테이블 매트가 식탁에 싱그러움을 더한다.

자유 자수에 비해 기법이 단순해 대중적으로 자리 잡은 십자수. 하지만 요즘에는 다양한 선을 표현하는데 탁월한 프랑스 자수가 유행하고 있다. 프랑스 자수는 박음질과 같은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백 스티치’, 꽈배기 같은 모양으로 윤곽선을 강조하는 ‘아우트라인 스티치’, 홈질과 같은 ‘러닝 스티치’, 사선으로 면을 메울 때 사용하는 ‘새틴 스티치’, 작은 꽃잎을 표현하는 ‘레이지 데이지 스티치’ 등 다양한 기법이 있다. 프랑스 자수의 종류 중 흰색 천 위에 스케치를 하고 빨간색 실로 선을 따라 이어나가는 ‘레드워크’ 자수는 그림 속을 채우지 않아 실이 적게 들며, 완성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아 초보자들도 도전해봄 직하다. 레드워크 자수는 빨간색 실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취향에 따라 파랑, 초록 등 다른 색 실을 사용하거나 섞어서 사용해도 상관없다. 리넨 천에 초록색 실로 나뭇잎 모양의 자수를 놓아 테이블 매트를 만들어봤다. 프랑스 자수 기법 중 가장 기본이 되는 백 스티치와 아우트라인 스티치를 이용했더니 쉽고 간단하면서도 멋스럽게 완성되었다.    

준비물
1 원형수틀. 2 쪽가위. 3 자수용 실. 4 바늘. 5 수예용 수성펜. 6 천.

   

만드는 법
1 리넨을 38×42cm 크기로 자른 후 가장자리가 풀리지 않도록 휘갑치기(오버로크)를 한다. 재봉틀이 없을 때는 근처 수선집에 맡긴다.
2 물에 지워지는 수예용 수성펜으로 밑그림을 그린다.
3 밑그림을 그린 리넨을 원형 수틀에 끼워 팽팽하게 만든다. 이때 수틀은 나사가 있는 원형 틀을 원단 위로, 나사가 없는 틀은 원단 아래에 놓고 조이면 된다.
4 자수용 실 6가닥 중 2가닥을 분리하고 적당한 길이(손끝에서 시작해 팔꿈치보다 조금 더 긴 정도)로 잘라 바늘에 꿴 후 한쪽만 매듭을 짓는다.
5 먼저 줄기 부분이 도톰해지도록 아우트라인 스티치(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실을 꿰며 바늘땀을 1/2씩 겹쳐가는 방법)로 수놓는다.
6 잎 부분은 얇은 느낌이 나도록 백 스티치(땀을 일정한 크기로 맞춰 촘촘하게 꿰매는 방법)로 수를 놓는다.
7 도안을 따라 수를 놓은 후 매듭을 지어 마무리하면 끝.

만든 이 김소희
의상 디자인을 전공한 자수 작가 김소희는 공예 작가들이 모여 만든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아티초크 artichoc’의 일원으로 활동 중이다. 클래스원데이에서 일곱 가지 자수 스티치 기법을 배울 수 있는 ‘인트로 프랑스 자수 클래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아티초크 홈페이지 인스타그램 @artichoc_에서 다양한 작품과 강좌 일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박상국
TAGS
생활 속의 공예

생활 속의 공예

생활 속의 공예

우리의 전통 공예품과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한자리에 만나볼 수 있었던 <공예가 맛있다> 전시가 문화역서울 284에서 열렸다. 우리의 공예가 생활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직접 보고 느낄 수 있었던 전시 속으로 들어가보자.

↑ 차분한 색감의 그릇들.   

  ‘공예’라는 단어가 ‘작품’이라는 단어와 함께 쓰여서일까. 공예는 생활 속에서 사용하기보다는 장식장에 넣고 바라보는 것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예부터 그릇, 잔, 수저 등 공예를 통해 태어난 따뜻한 손맛으로 완성된 제품들은 삶 속에 이미 깊숙이 자리하고 있었다. 공예의 현재는 물론 나아갈 미래까지 엿볼 수 있었던 뜻깊은 전시 <공예가 맛있다>전이 올해로 2회를 맞이하며 문화역서울 284에서 9일간 열렸다. 이번 전시는 직접 느끼고 즐길 수 있는 공예품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로 우리의 공예품을 사용하는 전국의 이름난 맛집과 찻집을 비롯해 각 지역의 100여 개 팀과 300여 명의 작가와 장인이 참여해 다양하고 특색 있는 작품을 한자리에 선보였다. 전시는 주제관, 기획관, 작가관, 지역공예관 등으로 나눠 구성되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관은 주제관으로 서울, 전라, 경상도의 맛집 중에서 우리의 공예품을 식기로 사용하는 ‘공예가 맛있는 집’ 5곳을 소개했다. 아름다운 그릇에 음식을 정성껏 담아냄으로써 요리에 풍미를 더해주는 집을 엄선해 그들의 상차림을 소개한 것. 한국의 발효 과학인 ‘장’을 대중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콩두’의 옹기 상차림, 매년 <버금이전>을 열어 신진 작가를 발굴해 지원하는 ‘달개비’, 직접 만든 도자 그릇에 지역 농산물로 만든 음식을 내놓는 ‘고두반’, 놋쇠를 두드려 만든 방짜유기에 궁중 음식을 담아내는 ‘궁’ 등이 ‘2015 제7차 세계물포럼’에 참석한 정상들을 위해 준비했던 우리의 전통 점심 상차림을 재현해 그릇과 음식의 조화에서 오는 시각적인 즐거움을 직접 느낄 수 있었다.    

↑ 작가 11인의 작품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작가관. 

 

1 카페처럼 꾸민 기획관의 모습. 2 질감이 살아 있는 배연식 작가의 옹이.  

공예에서 빼놓을 수 없는 ‘옹기’의 다양한 표정도 만나볼 수 있었다. 어릴 때 마당에 있는 장독에서 꺼내 먹던 김장김치의 추억이 있던 터라 옹기를 보니 반가운 마음이 먼저 들었다. 옹기는 만드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숨구멍을 통한 우수한 통기성이 특징으로 곡식과 장, 김치, 젓갈 등을 저장하던 용기로 두루 사용되었다. 옹기관에서는 ‘옹기’의 발효 과학과 만드는 과정을 영상으로 함께 보여줘 관람객의 이해를 도왔다. 유약이나 잿물을 사용하지 않고 소금을 뿌려 방부성과 정화 기능을 갖춘 기능성 그릇 ‘푸레도기’의 맥을 잇는 배연식 옹기장과 600년 이상 가업을 이어 판뜨기 기법으로 옹기를 만들고 있는 정윤석 옹기장 등의 작품들이 전시됐다. 한 손에 들 수 있는 작은 옹기부터 허리까지 오는 큰 옹기 등 작가의 작업 방식에 따른 다양한 옹기를 보고 만져볼 수 있었다.   

1 직접 빚은 도자 그릇을 사용한 ‘고두반’의 상차림. 2 김수영 작가의 다양한 크기의 놋그릇. 

   

1 옻칠 기법을 적용한 김은학 작가의 사이드 테이블로 꾸민 공간. 2 문화역서울 284의 문과 어우러지는 공예품.  

   

1 조선백자로 꾸민 상차림. 2 조선백자를 현대적으로 표현한 이기조 작가의 함. 

  11인의 작가가 야심차게 준비한 작가관도 인상 깊었다. 조선백자의 당당함을 담백하게 표현하는 이기조 작가는 현대적으로 풀어낸 백자 그릇과 컵을, 이세용 작가는 새, 꽃, 나무, 산 등을 청화백자에 담은 그릇을, 김수영 작가는 다양한 크기의 놋그릇을 선보였다. 작가들의 작품을 감상하고 보다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이번 전시의 특징. 또한 이기조 작가와의 만남이 준비되어 한국을 대표하는 도자 작가의 작품 세계를 엿볼 수 있었다. 이 밖에도 신진 작가와 대학, 동호회 등 30여 곳에서 공예인들이 직접 만든 공예품을 구입할 수 있었고 아이들과 함께 등, 접시 등을 만들어볼 수 있는 한지 공예 체험 프로그램도 인기를 모았다. 또한 공예품을 사용하는 커피집과 찻집이 참여한 기획관에서는 공예품에 담긴 커피와 차를 무료로 시음할 수도 있었다. 공예품으로 풍미를 더한 드립 커피, 제주도의 흙으로 빚은 찻잔을 사용하는 ‘담화헌’의 차. 유기 그릇으로 유명한 ‘놋그릇 가지런히’와 ‘길따라 인연따라’의 그릇에 마시는 따뜻한 차를 암체어, 스툴, 테이블 등으로 구성한 카페 같은 공간에서 편안히 시음할 수 있어 관람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멀게만 느껴졌던 공예품을 작품의 반열에 두고 볼 것이 아니라 일상 속에서 그 효용을 체감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했던 전시. 공예라는 단어 앞에 드리워졌던 벽이 소리 없이 허물어지고 있음을 느끼며 전시장을 빠져나왔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안종환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