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나사

레고×나사

레고×나사
‘레고 크리에이터 엑스퍼트 NASA 아폴로 11호 달 착륙선’은 어른들의 물욕을 자극하는 장난감이다.  

레고 크리에이터 엑스퍼트 NASA 아폴로 11호 달 착륙선

 
나사 레고나사와 협업한 아폴로 11호 달 착륙선
  50년 전 실제 달 착륙에 성공한 아폴로 11호의 달착륙선 이글을 참으로 정교하게 재현해냈으니까. 심지어 울퉁불퉁한 달의 표면과 황금색 랜딩 패드와 패널, 레이저 해치, 귀환 모듈까지 인류가 달에 첫발을 내디뎠던 그 역사적인 순간을 정확하게 묘사해냈다. 이번 에디션은 실제로 미국 나사 NASA와의 협업을 통해 만든 것으로, 공식 레고 스토어에서만 판매한다. 20×22×20cm, 13만9천9백원.
CREDIT
에디터 문은정
TAGS
무엇이 한국적인가

무엇이 한국적인가

무엇이 한국적인가
자기성찰이 없는 문화가 무너지는 건 한순간이다. 끊임없이 한국적인 것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갤러리가 있다.
 
웅갤러리 최웅철 관장웅갤러리의 최웅철 관장.
 
무엇이 한국적인지를 묻는 것이 구태의연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막상 한국적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고자 하면 그것이 생각처럼 만만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일단 나 자신부터 한국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을 추출해내는 것이 쉽지 않다. 한국인의 삶은 그 자체로 모두 한국적이라고 잘라 말한다면 더 이상 고민할 필요가 없지만, 나에게 현재적 영향을 미치는 한국적 전통의 요소를 끄집어낸다고 하면 얘기는 달라진다. 가파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전통은 충분한 시간과 순리적 과정을 통해 현대로 이양되는 대신 단절과 유실의 시기를 거쳤고, 파란의 근현대사를 겪으며 일부는 왜곡되기도 했다. 굳이 알려고 노력하지 않아도 저절로 알 수 있는 우리 것이라고 하기에, 한국적인 것의 실체는 낯선 무엇일 때가 많다. 실험적인 현대미술 작업을 시도하는 신구 작가들을 꾸준 히 소개해온 웅갤러리의 최웅철 관장은 한국적 미학의 정체를 꾸준히 탐구하고 담론 확장을 도모해온 연구자이자 기획자이기도 하다. 그는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이 자연스럽게 결합되고 서로에게 녹아드는 과정이 압축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충돌과 반목을 중화하고, 이해의 폭 을 확장하는 방식을 고민해왔다. 최근 웅갤러리는 1987년에 자리 잡은 강남을 떠나 부암동으로 이전하고 지난 5월부터 열린 첫 번째 전시<담색물성 潭色物性>을 기획했다. “깊다는 뜻의 ‘담’자를 써서 담색입니다. 색보다는 한국의 빛과 생각, 형식을 담으려고 했어요. 한국의 정체성을 담는 작업을 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모았습니다. 단순히 한 가지 색을 뜻하는 게 아니라는 의미로 사용 한 말이 담색입니다. 수행처럼 반복되는 행위를 통해 완성되는 물성은 한국적미술공예작품의 중요한 특색 중 하나죠. 이번을 시작으로 <담색물성> 전시는 새로운 작가들과 시리즈로 진행할 예정이에요. 이미 다 음 <담색물성>전을 준비 중입니다. 한국의 미술관과 화랑이 한국 작가 들의 작품에 관심을 두지 않으면 다른 나라에서도 관심을 갖지 않아요. 결국 한국 작가들은 설 땅이 없어집니다.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작가들 을 보면 그 작가가 태어난 나라의 컬렉터들이 먼저 작품을 삽니다. 한국적 아이덴티티에 대한 담론을 활성화시키고 꾸준히 작가들을 조명해야 그들이 세계적 작가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담색물성 전한국의 정체성을 담은 작가들을 소개한 <담색물성>전.
 

왼쪽 구자현, Untitled, 2013, Gold Leaf on Canvas, 116.8×91cm. 오른쪽 이진우, Untitled, 2018, 한지에 혼합 재료, 160×117.5cm.

 

왼쪽부터 장광범, Montagne Verte, 2017, Acrylic on Canvas, Sanding, 128×97cm. 이진우, Untitled, 2018, 한지에 혼합 재료, 117.5×160cm. 장광범, Reflet P, 2019, Acrylic on Canvas, Sanding, 80×80cm.

 
이번 전시에 참여한 작가는 구자현, 김택상, 윤형근, 이진우, 이동엽, 장광범, 장연순의 총 7인이다. 고인이 된 윤형근, 이동엽 작가를 포함한 것은 한국적 물성을 보다 심도 깊게 다루고자 한 기획자의 의도다. 작품들의 면면은 개성적이면서도 ‘담색물성’이라는 주제로 수렴된다. 이번 전시에 소개된 작품은 저마다의 색과 형태, 작업 방식을 통해 한국적이라는 말의 의미를 어떤 활자보다 더 명징하게 보여준다. 최 관장은 지난 2월 한국화랑협회장으로 선임됐다. 갤러리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 화되고 있고, 작가를 발굴하고, 담론을 생산하며 미술 발전에 큰 기여를 했던 갤러리 기획전도 많이 사라진 즈음이다. 한국적 미술을 소개하는 역할은 물론이고 한국 미술계를 위해 풀어야할 많은 숙제를 안게 된 그 가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한국 근대미술의 재발견이다. “근대미술에 대한 관심은 전 세계적으로 활성화돼 있어요. 우리 미술계에서 중요한 근대 작가들을 다시 돌아봐야 합니다. 독립된 근대미술관이 없다는 건 부끄러운 일입니다. 우리 미술계를 대표하는 근대 작가들에 대한 관심이 너무 부족해요. 정부도 컬렉션에 적극적이지 않죠. 큰 화랑들의 전속 작가, 해외 작품의 거래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근대 작가 작품의 거래가 활성화되면 작은 화랑들도 기회를 얻게 되고, 한국 작가들도 함께 성장할 수 있습니다.”
현재  최 관장은 비슷한 성격의 화랑들이 함께 기획하는 전시를 활성화 하고, 일반 관객들의 갤러리 접근성을 높여주는 앱 개발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준비 중에 있다. 갤러리는 단순히 그림을 파는 곳이 아니다. 갤러리와 미술관은 대중이 더 다채로운 미술을 만나기 위해 균형을 이루고 함께 날아야하는 양날개와 같다. 좋은 질문을 던지는 갤러리들의 활약을 기대해본다.

웅 갤러리
add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299
tel 02-548-7371
web www.woonggallery.co.kr

 
장연순 늘어난 시간장연순, 늘어난 시간, 080405, 2008, Abaca Fiber, Indigo Dye, Machine Sewn, 130×130×27cm.
 
장연순 늘어난 시간장연순, 늘어난 시간, 112570, 2007, Abaca Fiber, Indigo Dye, Machine Sewn, 26×56×27cm.
 
대형 조각 작품 전시를대비해 화이트 큐브 한 켠으로 큰 창을 냈다. 창 바로 옆에 전시된 작품은 이동엽, 사이, 1992, Oil on Canvas, 72.7×60.6cm.
 

왼쪽 김택상, Breathing Light-Spring Red, 2016~2019, Water Acrylic on Canvas, 125×82cm.  오른쪽 김택상, Breathing Light-Spring-Camellia Red, 2016~2019, Water Acrylic on Canvas, 118×61cm.

 
장광범, Montagne Noire, 2017, Acrylic on Canvas, Sanding, 100×100cm.
 
윤형근, Untitled, 1991, Oil on Linen, 73×116.5cm.
CREDIT
포토그래퍼 김도원
writer 이지연
TAGS
냉장고도 비스포크 시대

냉장고도 비스포크 시대

냉장고도 비스포크 시대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비스포크’ 냉장고는 사용자의 개성과 달라지는 라이프스타일을 두루 반영한 제품이다. 가전제품 중에서도 변화가 적었던 냉장고 제품에 커스터마이징이라는 출사표를 던진 비스포크 냉장고와 여기에 자신만의 해석을 더해 작품 형태로 선보인 양태오 디자이너를 만났다.  
비스포크 냉장고계동에 위치한 태오양 스튜디오에 설치한 비스포크 냉장고. 한옥과 이질감 없이 잘 어우러진다.
  냉장고가 다른 색일 수는 없을까? 냉장고를 내 마음대로 조합할 수는 없을까?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법한 상상이다. 삼성전자에서 선보인 비스포크 Bespoke 냉장고는 이런 상상을 현실에서 실현한 제품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냉장고 문은 흰색, 회색 등 무채색 계열로만 출시되었지만, 비스포크 냉장고는 마치 몬드리안의 작품처럼 원하는 색상을 냉장고 문에 적용할 수 있다. 완벽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셈이다. ‘가전을 나답게’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건 ‘프로젝트 프리즘 Project PRISM’은 우리 모두 서로 다른 컬러를 지니고 있듯, 가전 또한 개개인의 취향과 개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생각을 담고 있다. 삼성전자는 분리보다는 협업, 제조보다는 창조, 표준화보다는 개인의 개성을 중시하는 프로젝트 프리즘 Project PRISM의 첫 번째 결과물로 비스포크 냉장고를 선보였다.  
삼성 비스포크 냉장고문을 열지 않으면 냉장고임을 알 수 없을 정도로 공간에 작품처럼 녹아 있는 양태오 디자이너의 비스포크 냉장고.
  이전에는 집 안의 중심이 거실이었다면 요즘은 주방이 대화와 만남의 장소, 때로는 작업을 하는 장소로 집 안의 주인공이 됐다. 때문에 주방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부쩍 증가했지만, 가전제품만큼은 달라지는 라이프스타일과 인테리어 트렌드에 비해 디자인 면에서 늘 아쉬움이 남았던 것이 사실이다. 삼성전자의 비스포크 냉장고는 마치 제작 가구처럼 도어 전면 패널을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다. 따뜻한 질감의 코타 메탈과 부드러운 광택의 새틴 글래스, 화려한 색감의 글램 글래스 중에서 소재를 선택할 수 있으며 소재의 특성에 맞는 컬러 또한 선택할 수 있다. 집 안 인테리어가 바뀌었다면 냉장고 도어 패널도 어울리는 것으로 교체할 수 있고, 2도어 이상의 냉장고는 칸마다 색상을 달리할 수 있다. 삼성전자에서는 비스포크 냉장고의 커스터마이징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국내 유명 디자이너 6인과 함께 예술 작품에 가까운 냉장고를 디자인했다. 양태오, 김종완, 장호석, 김충재, 문승지, 임성빈 디자이너가 각자의 개성이 돋보이도록 냉장고 도어를 연출한 것. 특히 양태오 디자이너가 디자인한 비스포크 냉장고는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미래에 대한 색다른 제안을 해온 그의 스타일을 고스란히 반영했다. 냉장고 전면에는 3D 프린팅으로 만든 레진 소재의 커튼 장식부터 거울, 촛대 모양의 LED 조명, 텍스타일과 우드 패널을 장식해 문을 열기 전까지는 전혀 냉장고처럼 보이지 않는 독특한 작품이다. 양태오 디자이너의 비스포크 냉장고는 계동에 위치한 태오양의 한옥 스튜디오에 설치됐으며 <메종> VIP 회원들에게 공개하는 시간을 가지기도 했다. 시간과 공간을 냉장고 문에 표현한 양태오 디자이너를 만나 좀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삼성 비스포크 냉장고

삼성 비스포크 냉장고냉장고 문에 스웨이드 카펫과 3D 프린팅으로 제작한 레진 소재 커튼을 연출해 독특한 공간감을 연출했다.
 
삼성 냉장고냉장고를 사용하면서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재미있는 장치.
     

INTERVIEW

양태오 디자이너비스포크 냉장고를 자신만의 시각으로 색다르게 재해석한 양태오 디자이너.
 

인테리어 디자이너 양태오의 시공간을 담은 냉장고

비스포크 냉장고를 보기 위해 계동에 위치한 태오양스튜디오를 찾았다. 냉장고 문에 시간과 공간, 전통과 첨단 기술을 모두 담은 그의 냉장고는 원래 그 자리에 있었던 것처럼 잘 어울렸다. 사용자의 개성이 고스란히 반영된 삼성전자 비스포크 냉장고의 장점 또한 한눈에 드러나 소장 욕구를 자극했다.  

삼성 양태오

 

이번 비스포크 냉장고 협업은 어떤 경험이었나? 냉장고가 어디까지 발전해왔는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재미있는 기회였다.

제안을 받고 가장 먼저 떠올린 이미지가 있었나? 이미지보다는 먼저 고민이 됐다(웃음). 냉장고는 TV나 에어컨 등 다른 가전제품에 비해 변화가 많지 않았던 품목이다. 형태를 변형하지 않고 문을 통해 기존 냉장고와 달라진 점을 보여줘야 해서 어려웠지만 흥미로웠다.

실제로 본 냉장고는 촉감이 매력적이었다. 스웨이드 카펫과 우드 비니어, 레진 커튼 등 냉장고 문에 붙인 모든 소재는 일상에서 항상 만질 수밖에 없다. 단순히 바라보기만 하는 냉장고가 아니라 매일 문을 열고 닫으며 상호작용할 수 있고 개인적인 경험을 선사하고 싶었다. 만져보면서 ‘냉장고 문이 이럴 수 있어?’ 혹은 ‘냉장고 문에 이런 걸 더할 수 있구나!’ 하는 경험 말이다.

거울과 레진 커튼, LED 촛대 조명 등 각각의 요소가 기발하다. 어떻게 모티프를 얻었나? 편견을 깨는 작업이 었다. 부드러울 것 같은 커튼을 만져보니 레진 소재이고, 거울과 조명도 달려 있다. 전통 창호를 상징하는 격자무늬의 카펫과 우드 비니어 역시 원래 있어야 할 자리가 아닌 곳에 있다. 어떻게 보면 문에 또 다른 공간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기존의 것을 의심 없이 그대로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됐다. 또 과거로부터 온 모티프와 3D 프린팅 같은 첨단 기술의 만남이기도 하다.

 
삼성 비스포크 냉장고과거와 현재, 전통과 첨단 기술, 그리고 다양한 소재가 어우러진 양태오 디자이너의 냉장고에서 또 다른 공간과 시간을 느낄 수 있었다.
 

이런 소재가 현재 디지털 시대에 갖는 의미가 달라졌나? 디지털 시대로 넘어오면서 우리에게 익숙한 소재에 대한 신체적 반응이 달라졌다고 생각한다. 냉장고 문을 통해 우리가 그런 선입견이나 틀을 깰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 ‘커튼은 꼭 부드러워야 할까? 조명은 꼭 벽에 달려 있어야 하나?’ 하는 질문을 통해 말이다. 이번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도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이 더 이상 정답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가전제품이 이런 틀을 깨는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공간 디자이너로서 이번 디자인에서 고려한 부분이 있다면? 늘 그렇듯 생활 공간에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카무플라주’를 생각했다. 물론 이번 냉장고에는 예술적인 요소가 많이 담겨 있지만 이 제품이 어느 가정집에 놓였다고 생각하면 냉장고보다는 스크린이나 파티션처럼 보일 것 같다. ‘배경’처럼 보이길 바라서 스튜디오에 설치할 때도 가장 일반적인 흰색 벽에 냉장고를 설치해 그런 느낌을 강조했다.

첨단 기술이 공예와 선을 긋지 않고 융합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필요할까? 아무리 첨단 기술이 발달해도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작업에는 사람의 감성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 디지털 시대의 이미지도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깃들어 있지 않다면, 이는 그저 기술로만 끝날 것이다. 하지만 동시대적인 사명을 갖고 기술과 크라프트를 생각한다면 결국에는 서로 융합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가전제품 중에서 디자인에 도전해보고 싶은 품목이 있다면? 공기청정기! 이제 필수 가전제품이 된 공기청정기를 어떻게 색다르게 바라볼 수 있을지, 그로 인해 우리 삶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지 고민해보고 싶다.

CREDIT
에디터 신진수
포토그래퍼 임태준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