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차에 접어든 지금도 여전히 코로나 시대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으니, 마스크를 벗고 다닐 수 있는 자유로운 여행이 언제나 가능할지 궁금하기만 하다. 개인적으로는 해외에 나가지 못하니 한국의 잘 알려지지 않은 숨은 곳을 2년간 많이 다닌 듯하다. 이번에 안동을 투어 장소로 선택한 이유는 답사를 다닐수록 장소성이 가진 역사적 매력에 푹 빠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서애 류성룡 선생의 하회 마을, 농암 이현보 선생의 농암 종택, 퇴계 후손의 퇴계 종택, 의성 김씨의 학봉 종택 등 쟁쟁한 가문의 종택이 자리하고, 조선 후기 세도가인 안동 김씨, 안동 권씨, 안동 장씨 등 세도가 집안이 자리잡다 보니 아직도 안동과 관련한 역사 탐방이 내게는 과제다. 광산 김씨 김유가 쓴 음식 조리서인 <수운잡방>, 안동 출신의 장계향이 쓴 최초의 한글 조리서 <음식디미방>, 안동 반가에서 내려오는 한글 조리서 <온주법>인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 고조리서 3권이 모두 안동에서 탄생했다. 종택이 많다 보니 제사가 많을 수밖에 없고, 지리적인 여건상 내륙 안동만의 독특한 음식과 각 집안의 독특한 소주가 유명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안동의 매력은 많지만 이번 투어에서는 퇴계 이황의 자취가 남아있는 안동 동측 편을 주로 가보고자 한다.
한눈에 반한 역사적인 장소, 고산정
퇴계 선생의 제자인 금난수가 지은 정자로 퇴계 선생도 자주 찾아 빼어난 경치를 즐겼다고 전해진다. 정자는 다시 건축한 것이지만 그 터는 변함이 없으니 맞은편에서 바라보는 풍광이나 정자에서 바라보는 소나무 경치가 무척이나 아름답다.
교육과 기록의 문화, 도산서원·국학진흥원
성리학 연구의 본산인 도산서원은 선생 생전에 유생을 교육하며 학문을 쌓던 도산서당과 선생 사후에 제자들과 유림이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지은 도산서원 영역으로 나뉜다. 쉽게 갈 수 있는 곳이기도 하지만, 여행의 시작을 이곳에서 하려고 한다. 학문의 기록과 그 시대의 네트워킹 상징인 한국의 유교책판은 저작물을 만들던 책판으로, 국내 305개 문중과 서원에서 수집하여 제작 과정의 공론화와 함께 사제 간의 학문을 계승한 내용이 수록되었다는 진정성, 시대를 달리한 기록물의 집합, 영구적인 보존을 추구하는 등 유의미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런 이유로 유교책판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도 보존계승 유물이자 불교에 <팔만대장경> 경판이 있다면, 사가에서는 네트워킹의 힘과 한국인의 교육열로 탄생된 유교경판이 있을 것이다. 현재 이는 안동 국학진흥원에 보존되어 있다.
안동 음식
안동 하면 떠오르는 음식은 문어, 간고등어, 국수, 헛제사밥 등이다. 지역적인 특성상 해산물이 날 수는 없지만 가공법과 조리법의 개발로 안동을 대표하는 음식이 되었다.
현재의 안동, 선성 수상길
안동 선비 순례길 1코스 중 하나로 안동 호위의 선성 수상길을 걸어볼 수 있다.
한옥에서의 체험, 계상 고택
퇴계 16대 손의 고택으로 안동댐이 수몰되면서 물 안에 수장되어 있던 것을 건져 남쪽으로 100m 옮겨 지금 위치에 보존되고 있다. 5월이면 앞마당에 펼쳐진 청보리 밭에서 피크닉과 고택에서의 점심을 비롯해 소소한 공연을 즐길 예정이다.
초여름에 만나요
강변에는 청보리가 피어나고 녹음이 가득한 봄에 진짜 투어로 만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