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채의 풍류

전통의 미를 전하는 사랑채 프로젝트

전통의 미를 전하는 사랑채 프로젝트

 

널찍한 대청 사이로 푸르른 노송과 하늘거리는 색색 가지 들꽃이 바람에 흩날리고, 세월을 품어 멋이 서린 서까래 아래에는 한국 작가들의 작품과 가구들이 한데 어우러져 미적 영감을 선사한다.

 

 

강호지락 江湖之樂

 

민병헌 ‘Waterfall, Gelatinsilver Print’.

선병국 가옥은 연꽃이 물에 뜬 형국으로 연화부수형의 명당 자리에 위치한다. 그리고 아름드리 우거진 소나무로 둘러싸여 고귀하다. 1919년, 세 단의 석축에 지어진 이곳은 무려 100년이라는 시간을 꼿꼿하게 지켜왔다. 문 너머로 마이클 아나스타시에이드 Michael Anastassiades가 디자인한 플로스의 오버랩 조명과 사색을 불러일으키는 민병헌 작가의 흑백사진 작품 그리고 또 다른 문 너머 기와 담장 위 싱그러운 자연이 같은 선상에 나란히 서게 되며, 현대와 전통의 콜라주 작품을 그린다. 문틀을 프레임 삼아 말이다.

 

 

대청이 만든 세계

 

이세현 ‘Between Red’ Oil on Linen.

한옥에서 몸체의 방과 방 사이에 있는 큰 마루를 대청이라 한다. H자 모양의 한옥 한가운데는 널찍한 대청이 펼쳐진다. 이곳은 한달음에 모든 방으로 통한다. 대청에는 유남권 작가의 벤치와 이번 프로젝트에서 새롭게 선보인 ‘커브 Curve’ 작품이 서까래와 함께 멋스럽게 뻗어 있다. 종이로 만든 기물을 옻칠로 마감하는 지태칠기 전통 기법으로 100년 된 한옥의 모습 만큼이나 깊이감이 느껴진다. 그 끝에는 이세현 작가의 붉은 작품이 전통 산수의 형상을 연상시키며 방문 너머 또 다른 세계가 펼쳐지는 듯한 판타지를 펼쳐낸다.

 

 

달 너머 달

 

박성욱 ‘Blue Moon, Ceramics’. 민병헌 ‘Snowland, Gelatinsilver Print’.

 

한옥 구조의 특징으로 개방성을 들 수 있다. 모든 문을 활짝 열어 젖히면 공간과 공간이 다층적인 구조로 서로 연결된다. 이는 작품과 작품 간의 연결을 만들어내며 흥미로운 시각적 체험을 선사한다. 15세기 조선 분청사기의독창적인 프로세스인 덤벙 분장기법을 활용한 박성욱 작가의 푸른 달 두 개가 나란히 떴다. 회흑색의 태토를 백토물에 통째 담갔다가 꺼내 표면을 분장하는 기법으로 각각의 편들이 지니고 있는 오묘한 색이 둥근 달의 형태로 드러난다. 두 달 뒤로 민병헌 작가의 눈이 쌓인 산의 모습이 어렴풋이 보이며 서로 다른 두 세계가 공존하는 듯한 신비로운 상상을 하게 한다.

 

 

산수화

 

석철주 ‘신몽유도원도’ Canvas on Acylic, Gel.

 

자연을 병풍 삼은 한옥의 절경만큼이나 방문 너머 석철주 작가의 ‘신몽유도원도’도 운치 있는 풍경을 자아낸다. 한국 화단에서 독보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석철주 작가는 캔버스에 색을 칠한 후 일일이 붓질로 바탕을 지워 서서히 이미지를 부각하는 기법을 활용한다. 자세히 보면 특수한 기법으로 도자기의 크랙처럼 표면을 처리해 섬세한 자연 생태를 화폭으로 옮겨 온 듯하다. 석철주 작가의 오묘한 산 아래 유남권 작가의 ‘Curve’ 작품이 강물처럼 보이며 이들의 조화가 마치 한 폭의 산수화 같다.

 

 

차가움과 뜨거움

 

유남권 ‘Untitled_2022’.

 

옻의 농도로 수묵을 겹겹이 쌓아 완성한 유남권 작가의 회화작품 아래 기하학 형태의 프라마의 트라이엥골로 Triangolo 의자의 믹스&매치가 현대와 전통의 감각적인 조화를 보여준다.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간결한 디자인의 차가운 매력과 옻칠의 인고의 과정을 거쳐 완성된 작품의 따스함이 미묘하게 대조되며 낯설지만 아름답다.

 

 

위선최락 爲善最樂

캐스퍼 강 ‘별 181-182’ Burnt Ottchil Hanji by 장지방&Burnt Ottchil Hanji by 전북한지 on 2-panel Folding Screen.

 

태우기, 그을리기, 파쇄, 표백, 찢기, 해짐. 한지의 물성을 해체하는 작업 과정을 거친 뒤 그 흔적을 조형적 미로 활용하고 있는 캐스퍼 강의 작품은 오래전부터 이곳에 있었던 것처럼 자연스럽다. 큰 창문 뒤로는 추사 김정희가 쓴 위선최락 서체가 엿보인다.
*충북 보은군 속리산 자락에 위치한 선병국 가옥의 사랑채에서 갤러리 구조와 덴스크가 그린 한 폭의 그림 <사랑채 프로젝트>가 펼쳐졌다. 위선최락, 선을 행하는 것이 가장 큰 즐거움이라는 가풍에 따라 예술가들을 후원하고 후학을 양성하며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실천한 보성 선씨 가문의 고택. 대를 이어 예술적 행보를 이어가는 사랑채 프로젝트의 다음 전시도 기대된다(10월 25일까지 프라이빗으로 진행된다).
TEL 갤러리 구조 02-538-4573 덴스크 02-592-6058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태준

TAGS
자연아 솟아라, 솟아라

코오롱스포츠가 전하는 친환경 가치

코오롱스포츠가 전하는 친환경 가치

환경을 보호하고 지키는 데 있어 흥미로운 시선을 제안하는 솟솟. 지속가능한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을 선보이는 코오롱스포츠에서 젊은 감각과 예술적인 감성을 더한 솟솟 공간을 이어가고 있다. 건물 외관부터 건물 내부를 채우는 모든 물건과 전시 등 친환경의 가치를 전파하는 솟솟의 세계로 솟을 준비가 되었는가?

 

한남 플래그십 스토어의 전시 전경. 연진 작가의 패딩 소파와 와펜 서비스 존, F/W 신상품 등이 보인다.

 

‘가치를 삽니다.’ 요즘 유행을 이끌고 있는 MZ세대의 소비 행태를 말한다. 구매하는 물건이 곧 나를 표현하는 수단이 되기 때문에 의미 있는 물건을 선택한다. 특히 환경을 대하는 자세가 다르다. 조금 더 비싸더라도 친환경 물건을 구매하고자 하고 ‘N차 신상’과 같은 신조어가 등장할 만큼 중고 거래가 활발하다. 새로운 물건을 찾고 선호하는 시대가 아닌 것이다. 환경을 대하는 MZ 세대의 태도와 소비 행태가 전 지구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게 만드는 씨앗을 뿌린 것은 아닐까? MZ세대의 소비 트렌드에 맞게 수많은 브랜드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가치와 철학을 담은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국내에서는 꽤 오래 전부터 지속가능성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는 브랜드가 있다. ESG 경영을 실천하고 있는 코오롱스포츠는 단순히 친환경 소재의 사용에서 벗어나 관련 캠페인과 전시, 공간을 통해 지속가능한 가치를 전하고 있다. 특히 MZ세대의 눈과 마음을 단번에 사로잡는 ‘솟솟’ 공간 프로젝트는 청계산 입구에 위치한 솟솟618부터 제주 탑동에 위치한 솟솟리버스까지 단순한 매장이 아닌 경험을 통한 장으로 다양한 지속가능한 가치를 전파하고 있다. ‘솟솟’은 코오롱스포츠 로고인 상록수 형상을 흥미롭게 표현해 ‘솟아라, 솟아라’라는 뜻을 담고 있다. 각각 하나의 매장이라기보다는 공간의 위치부터 건물, 인테리어, 판매 상품까지 코오롱스포츠만의 흥미로운 지속가능성에 대한 해석이 담겨 있다. 환경에 대한 힙한 이야기가 있는 솟솟 공간을 지금부터 소개한다.

지난 5월 솟솟리버스에서 진행했던 연진 작가의 전시를 만날 수 있다.

 

한남동에서 만나는 솟솟리버스제주

제주까지 가지 않고 서울에서도 솟솟리버스제주의 전시와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게 됐다. 코오롱스포츠의 서울 한남 플래그십 스토어에서는 솟솟리버스제주에서 진행하는 전시와 이벤트를 9월 3일부터 10월 3일까지 선보인다. 코오롱스포츠의 제품 중 불량으로 판매하지 못한 캠핑 용품을 해체하고 재조합하는 과정을 거쳐 재탄생한 연진 작가의 작품과 함께 희H22 작가가 코오롱스포츠에서 사용되고 버려지는 비닐을 업사이클링한 상품을 만날 수 있다. 또 고객들이 모아 오는 비닐을 합쳐 새로운 친환경 상품을 만드는 체험도 준비되어 있다. 네이버 예약을 통해 접수할 수 있으니 놓치지 말자. 뿐만 아니라 솟솟리버스제주에서 진행하고 있는 와펜 서비스도 받을 수 있다. 환경을 생각하는 솟솟리버스의 움직임에 동참해보면 어떨까.
ADD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로 260
TEL 02-749-0656

 

텐트 원단 시리즈 상품이 전시되어 있다.

 

H22 작가와 함께 비닐 업사이클을 통한 카드지갑과 에어팟 케이스를 만들 수 있는 체험 존.

 

전시 기간 동안 와펜을 구매하면 와펜 패칭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지난 5월 솟솟리버스에서 진행했던 연진 작가의 전시를 만날 수 있다.

 

코오롱스포츠가 연진 작가와 협업한 작품으로 실제 해녀들이 일제강점기 시대에 사용했던 유리 부표와 오두막텐트 폴대를 활용해 만든 조명 작품 ‘Pole Light’.

 

지속가능성 놀이터 솟솟리버스제주

재생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제주 탑동 지역의 아라리오 로드에 자리잡은 솟솟리버스제주. 두 개의 상록수 마크가 반기는 이곳은 횟집과 노래방이 있었던 건물이며, 최소한의 리노베이션으로 완성됐다. 일본의 스키마타 아키텍트와의 협업을 통해 보이지 않는 개발이라는 테마를 적극 활용한 것. 내부는 환경을 위한 코오롱스포츠만의 이야기가 곳곳에 펼쳐져 있다. 제주 바다에서 직접 수거한 부표와 코오롱 등산학교에서 사용했던 등산 루프를 활용한 테이블과 의자가 곳곳에 놓여 있다. 해양 폐기물을 업사이클링해 가구로 풀어낸 점이 눈길을 끈다. 또 한 켠에는 리버스랩이 마련되어 있다. 이곳에서는 직접 가져온 가방이나 모자에 코오롱스포츠의 와펜을 달아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점차 ‘고쳐 입기’를 전파할 수 있는 실험실의 역할을 계획 중이라고. 상품 역시 1~2년 전의 재고 상품을 업사이클링해 새롭게 디자인한 제품으로 오직 솟솟리버스에서만 만날 수 있다. 또 지역을 활용한 이벤트로 제주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환경단체,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브랜드와의 협업부터 워크숍, 전시 등 다양한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이렇게 코오롱스포츠의 친환경적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 외에도 이곳에는 특별한 스태프 ‘액티비스트’가 상주한다. 액티비스트는 매장에서 상품 판매가 아닌, 친환경 활동과 상품을 기획하고 이를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지속가능성 그 자체인 솟솟리버스제주. 작은 실천으로 충분한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친환경 놀이터 솟솟리버스제주에서 펼쳐질 무궁무진한 이야기가 더욱 기대된다.
ADD 제주시 탑동로 13 1~2층
TEL 064-723-8491

 

지난 7월에 진행했던 패브릭 작가 정희기의 <해녀의 잠수> 전시. 자수 예술을 기반으로 잊혀져가는 제주 해녀에 대한 이야기를 전했다.

 

지난 7월에 진행했던 패브릭 작가 정희기의 <해녀의 잠수> 전시. 자수 예술을 기반으로 잊혀져가는 제주 해녀에 대한 이야기를 전했다.

 

제주도에서 수거한 해양 폐기물을 활용해 만든 테이블과 선반. 원형 그대로 활용해 폐기물을 최소화한 인테리어 공법을 사용했다.

 

코오롱스포츠의 시제품 혹은 불량품과 같이 판매되지 못한 텐트 상품을 연진 작가와 함께 협업하여 작품으로 탄생시킨 전시.

 

지하 1층에 마련되어 있는 네임 태그 제작과 와펜 커스터마이징 공간.

 

자연과 거리 좁히기를 실천하는 솟솟618

첫 번째 솟솟 스토어, 솟솟618은 자연과 함께한다. 청계산 초입에 위치한 것부터 흥미롭다. 최근 MZ세대의 취미 활동으로 등산이 떠오르면서 이곳은 청계산의 가장 힙한 장소로 자리잡고 있다. 청계산의 해발고도 618m를 뜻하는 이름에서부터 코오롱스포츠만의 자연친화적 컨셉트를 느낄 수 있다. 솟솟618은 ‘재생’이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총 2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쓰고 남은 자재를 활용한 네임 태그를 만들 수 있는 제작 서비스부터 부자재를 활용한 클래스, 과도한 의류 구입을 방지하기 위한 렌털 서비스까지 자연을 보호하고 함께할 수 있는 다양한 재생 활동을 실천하고 있다. 지상 1층에는 어느 산골짜기에 위치한 산장에 온 듯 아늑한 카페가 있어 등산 전과 후에 커피 한잔과 디저트도 즐길 수 있다. 자연의 초입에서 사람과 자연을 위한 사랑방 역할을 하고 있는 솟솟618에서 아름다운 이 계절을 만끽해보길!
ADD 서울시 서초구 원터2길 9
TEL 02-545-8886

 

네임 태그를 제작할 수 있는 와펜과 알록달록한 카라비너.

 

등산에 필요한 장비를 대여해주는 렌탈 서비스가 마련되어 있다.

 

1층에는 산장 컨셉트의 카페로 전통차를 비롯해 솟솟618만의 음료, 디저트를 즐길 수 있다.

 

 

 

CREDIT

에디터

TAGS
쓸모없는 몸을 위한 전시

육체와 의식에 대한 물음표를 던지는 전시

육체와 의식에 대한 물음표를 던지는 전시

 

지난 밀란디자인위크에서 많은 이들이 인상적이었던 전시로 손꼽았던 엘름그린&드라그셋의 개인전은 팬데믹과 메타버스가 공존하는 이 시대에 육체와 의식에 대한 물음표를 던진다.

 

‘화가(2021)’, ‘하녀(2017)’와 기존 컬렉션인 그리스 조각상 등이 함께 놓인 전시 전경. © Fondazione Prada

 

사실 프라다 파운데이션의 엘름그린&드라그셋의 개인전이 아니었나 싶다. 수많은 언론을 통해 또 SNS를 통해 전시의 놀라움이 번져나갔고, 작가의 유명세는 더욱 드높아졌다. 이미 국내에서도 플라토 미술관에서 대규모 개인전을 통해 이름을 알린 바 있는 이 듀오 작가는 덴마크 출신의 엘름그린과 노르웨이 출신의 드라그셋이 결성한 예술가 그룹으로, 1995년부터 현재까지 베니스 비엔날레에 작가로 참여하는가 하면, 이스탄불 비엔날레에서는 총감독으로 활동하며 개념적인 작업을 펼쳐왔다. 이번에 그들이 들고 나온 건 ‘몸’, 게다가 쓸모없는 몸이다.

 

‘관점(2019~2021)’. © Fondazione Prada

 

전시장 곳곳에서는 쓸모없는 몸에 대한 연가가 가득하다. 가령 글라스를 쓴 인물 조각은 몸을 현실에 두고 가상세계 속으로 떠난 의식을 상징한다. 전시장 곳곳에서는 이와 같은 인물이 불쑥불쑥 등장한다. 마사지를 받기 위해 베드 위에 엎드려 있는 사람은 점차 노곤해지는 신체의 이완을 느끼며 꿈나라로 떠날지도 모른다. 이미 죽어 시체 보관소에 들어가 있는 인물의 발이 보이기도 한다. 그는 이제 이 세상 사람이 아니지만, 몸은 이곳에 남아 있다.

 

전시장 내부에서 작가 엘름그린&드라그셋. © Andrea Rossett

 

각각의 인물 조각은 진짜 사람인가 싶을 만큼 정교하게 재현되어 관람객들을 깜짝 놀라게 만드는데, 정작 그들의 얼굴은 교묘하게 가려져 있어 표정을 볼 수가 없다. 게다가 전시장은 일상의 공간과 비슷하게 실제처럼 꾸며져 있지만 살아 있는 사람의 온기가 없으니 싸한 분위기를 풍긴다. 특히 전시의 절정은 보통의 사무실과 똑같이 구현한 오피스다. 나란히 배열된 책상과 의자에 컴퓨터와 의자까지 놓여 있는 사무실은 작가들이 프라다 파운데이션의 건축에 맞춰 특별히 고안했다. 그러나 사무실에는 아무도 없다. 모두 팬데믹으로 인해 사무실을 버리고 흩어져버린 것일까? 육체는 없어도 각자 재택근무를 통해 눈에 보이지 않지만 일은 진행되고 있는 걸까? 텅 빈 사무실을 채우고 있는 것은 이곳저곳을 유령처럼 어슬렁거리고 있는 관람객들뿐이다. 헌데 이 작품의 제목이 ‘에덴동산’이라는 것을 알고 나면 웃음이 나온다. 아무도 없는 사무실이 결국 천국인 것일까? 직장 생활의 고단함에 대한 역설적 유머일까 싶지만, 팬데믹이 세계를 덮친 지금 누군가와 함께 있는 것 자체가 위험을 내포한 것이기에 아무도 없어 전염 가능성이 제거된 에덴동산을 빗댄 것일지도 모르겠다.

 

‘에덴동산(2022)’. © Fondazione Prada

 

마치 미스터리 영화처럼 관람객들을 미궁 속으로 빠뜨리고 계속 몰입하게 만드는 이 전시는 ‘몸’이 거추장스럽고 비효율적인 짐 덩어리가 된 오늘날의 상황에 대한 탐구다. 몸과 의식, 어느 것이 진짜 우리인가라는 질문은 새로운 것만은 아니다. 오랜 화두였던 육체와 정신의 이원론에서부터 1990년대 이미 중요한 화두로 미술계를 한번 휩쓸고 간 적이 있었다. 신종 ‘에이즈’라는 죽음의 공포로 인해 몸에 대한 관심이 수면 위로 부상한 시대였다. 테크놀로지가 발전하고 메타버스 세상이 도래한 지금, 몸은 다시금 의미 있는 질문으로 다가오는 듯하다. 전시 제목에는 아예 물음표가 달려 있다. 철학자, 예술가, 작가, 과학자, 사상가 등 35명의 저자가 참여하여 각기 다른 다양한 시각을 제시한 무려 500여 쪽에 달하는 전시회 도록은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한 나름의 참고자료 목록이라 할 만하다.

CREDIT

에디터

WRITER

김영애(롯데백화점 아트콘텐츠 상무)

TAGS